DOI QR코드

DOI QR Code

The Factors to Influence Residential Satisfaction among Happiness Housing Residents: The Comparison between Young Adults and Newly Married Couples

행복주택 거주자의 거주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요인 분석: 청년 및 신혼부부 비교 중심으로

  • 강용곤 (한양대학교 도시대학원 도시개발경영전공) ;
  • 배기덕 (한양대학교 도시대학원 부동산학전공) ;
  • 조미정 (한양대학교 부동산융합대학원)
  • Received : 2024.08.26
  • Accepted : 2025.01.24
  • Published : 2025.03.31

Abstract

This study utilized the fourth wave of data from the 2023 Seoul Public Rental Housing Resident Panel Survey to analyze the factors affecting residential satisfaction among Happiness Housing residents through an ordinal logistic regression model. It specifically compared the factors influencing residential satisfaction by target group, focusing on young adults and newlywed couples. Residential satisfaction was set as a dependent variable, while household size, area, housing factors, facility factors, location factors, cost factors, and social factors were independent variables in the analysis. The study found that household size, area, facility factors, location factors, and cost factors significantly impacted residential satisfaction among all Happiness Housing residents. For young adults, only household size, facility factors, and social factors had a significant influence on residential satisfaction, while newlyweds showed similar results to the overall findings. This study suggests several implications. First, since the factors influencing residential satisfaction differ between young adults and newlyweds, there is a need to manage the number of units supplied based on categories, such as housing and location, to enhance residential satisfaction. Second, institutional changes are needed to allow for the supply of larger housing areas within Happiness Housing. Third, rental housing for young adults should consider accessibility to cultural and public facilities over unit size, while housing for newlyweds should be provided in areas with good public transportation and living infrastructure. These implications suggest that housing supply policies should be developed and implemented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target groups, such as young adults and newlyweds.

본 연구는 2023년 발표된 서울시 공공임대주택 입주자 패널조사 4차자료를 활용하여 행복주택 거주자들의 거주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요인을 순서형 로지스틱 회귀모형을 통해 분석 하였고, 그 중 청년층과 신혼부부층을 중심으로 공급대상별 거주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요인에 대한 차이를 비교 하였다. 거주 만족도를 종속 변수로 가구원수, 면적, 주택요인, 시설요인, 입지요인, 비용인, 사회요인을 독립변수로 분석을 진행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전체 행복주택 거주자들은 가구원수, 면적, 시설요인, 입지요인, 비용요인이 거주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청년층은 가구원수, 시설요인, 사회요인만 거주만족도에 영향을 미쳤고, 신혼부부는 전체 행복주택 거주자들의 결과와 동일하게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몇 가지 시사점을 제시할 수 있다. 첫째, 행복주택은 청년과 신혼부부의 거주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요인이 다름을 확인하였기에 주택, 입지 등에 따라 계층별 공급되는 가구수를 관리하여 주택 수요자들의 거주 만족도를 개선 시켜 나갈 필요성이 있다. 둘째, 행복주택 공급면적을 현재보다 넓은 면적이 공급될 수 있도록 제도적인 변화가 필요하다. 셋째, 청년에 공급되는 임대주택은 면적보다는 문화 및 공공시설 등의 접근성을 고려해야 하고, 신혼부부에게 대중교통 및 생활인프라가 좋은 입지에 공급되어야 한다. 이러한 시사점이 반영되어 청년 및 신혼부부 등 정책 대상별 특징을 고려한 주택공급정책 마련되고, 추진되어야 한다.

Keywords

References

  1. 고선주(2022), "순서형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활용한 공공임대주택 거주자의 만족도 영향요인 분석", 석사학위논문, 한양대학교. Ko, S. J. (2022), "Analysis of Factors Affecting Satisfaction of Public Rental Housing Residents Using Ordinal Logistic Regression", Master's thesis, Hanyang University. (in Korean)
  2. 고선주・장은련・이경태・김주형(2023), "공공임대주택 유형에 따른 거주자 만족도 평가 및 영향요인 분석", 「대한건축학회논문집」, 39(11): 259~270.
  3. 관계부처 합동(2024), "국민 주거안정을 위한 주택공급 확대방안", 세종.
  4. 국무조정실(2023), "청년 삶 실태조사결과", 세종.
  5. 국토교통부(2013), "행복주택, 지속가능한 도시의 창조공간으로 만든다", 세종.
  6. 국토교통부(2022), "임대주택통계", 세종.
  7. 국토교통부(2024), "제3차 장기 주거종합계획", 세종.
  8. 권창호(2023), "공공임대주택 거주자의 주거만족도 영향요인 연구: 서울시 행복주택을 중심으로", 「한국부동산분석학회 학술발표논문집」, 1~10. Kwon, C. H. (2023), "A Study on the Factors Influencing Housing Satisfaction of Residents of Public Rental Housing: Focusing on the Happy Housing in Seoul", A Collection of Academic Presentation Papers by the Korean Society of Real Estate Analysis, 1~10. (in Korean)
  9. 김민규(2013), "커뮤니티 공간이 임대주택 거주자의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대구 광역시 매천지역 공공임대주택단지를 중심으로", 「대한건축학회연합논문집」, 15(5):127~136.
  10. 김순귀・정동빈・박영술(2003), "SPSS를 활용한 로지스틱 회귀모형의 이해와 응용", 서울: 한나래아카데미.
  11. 김재홍・김진욱(2022), "서울시 청년 주거지원정책 개선방안 연구", 「한국생태환경건축학회 춘계학술발표대회 논문집」, 22(1):62~63.
  12. 김주현・안용진(2018), "공공임대주택 유형별 주거환경만족 결정요인 차이 연구: 서울시 공공임대주택 입주자 패널조사 1차년도 조사자료를 중심으로", 「주택도시연구」, 8(1): 1~17. Kim, J. H. and Y. J. Ahn (2018), "Different Factors Affecting Resident Satisfaction by Types of Public Rental Housing: Empirical Evidence from the Seoul Public Rental Housing Panel Survey in 2016 (First Year)", SH Urban Research & Insight, 8(1): 1~17. (in Korean)
  13. 김준형(2020), "공공임대주택의 과밀주거와 과소주거", 「국토계획」, 55(2):124~142.
  14. 김태완・장미선(2022), "행복주택 입주청년의 주거의 질, 삶의 만족도 및 결혼 의지", 「한국주거학회 추계학술발표대회 논문집」, 34(2):125~128.
  15. 박미선(2018), "주거사다리 강화를 위한 신혼부부 주거지원 정책방향", 「국토정책 Brief」, 662.
  16. 성진욱・남진(2019), "서울시 공공임대주택 주택성능과 주거환경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요인", 「국토계획」, 54(3): 49~62. Sung, J. U. and J. Nam, (2019), "Analysis on the Satisfaction Factors of Housing Performance and Residential Environment of Public Housing in Seoul", Journal of Korea Planners Association, 54(3): 49~62. (in Korean)
  17. 신유정・임종현・전진우・박경옥(2020), "행복주택 거주 청년층의 주거만족도", 「생활과학연구논총」, 24(3): 47~64.
  18. 이다은(2024), "청년을 위한 주거정책", 「Urban Planners」, 11(1): 25~29.
  19. 이미정・김찬호・이창수(2024), "공공임대주택 유형별 주거만족도 영향요인 비교연구", 「토지주택연구」, 15(1): 39~55.
  20. 이영범・유해연(2018), "청년주거 운영방식에 따른 유형별 사례연구", 「IDI도시연구」, 13(1): 7~42.
  21. 이윤재・정윤혜(2020), "신혼희망타운의 주거서비스 계획방안 연구", 「한국주거학회 논문집」, 31(2): 117~126.
  22. 정윤혜・성진욱(2024), "청년의 주거독립에 미치는 영향과 정책적 시사점", 「토지주택연구」, 15(2): 39~56.
  23. 진장익・이슬기・김재승・김정우(2018), "공공임대주택의 지역적 특성이 거주자의 주거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다층모형을 활용하여", 「부동산분석」, 4(1): 15~31. Jin, J.I. S. G. Lee, J. S. Kim and J. W. Kim (2018), "The Effects of Sp atial Environments of Public Rental Housing on Residents' Satisfaction: Based on Multi-level Model", Journal of Real Estate Analysis, 4(1): 15~31. (in Korean)
  24. 최윤영・김지현(2020), "공공임대주택 커뮤니티시설 이용 빈도가 주거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분석", 「주택도시연구」, 10(1): 23~38.
  25. 하정화(2021), "신혼부부・청년 공공주택 지원정책 개선과 저출산 대응", 「(사)한국지방정부학회 동계학술대회 발표논문집」, 117~137.
  26. 홍성효・임준홍(2022), "충남 신혼부부의 공공임대주택 수요 추정과 정책적 함의", 「LHI Journal」, 13(1): 11~22.
  27. SH서울주택도시공사(2023), 「서울시 공공임대주택 입주자 패널조사 1~4차년도 유저가이드북」, 서울.
  28. SH서울주택도시공사, "서울시 공공임대주택 입주자 패널조사", 2024.5.14 읽음. http://shpanel.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