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Physical Characteristics of the Walking Environment and Their Impact on the Walking Distance of Elderly Adults: A Micro-Scale Street Space Analysis

보행환경의 물리적 특성이 고령자의 보행거리에 미치는 영향 분석: 미시적 가로공간 분석을 기반으로

  • Received : 2024.09.26
  • Accepted : 2025.02.03
  • Published : 2025.03.31

Abstract

This study investigates the physical characteristics of the walking environment that influence walking distance among older adults, with particular attention to the accessibility of nearby park facilities. The findings indicate that for individuals aged 75 and older, when the nearest park was within 135 meters, the average walking distance was 420 metres, suggesting a connection to their mobility limitations. Conversely, for those aged 74 and younger, walking distance increased by approximately 150 meters under conditions of low illegal parking density. Furthermore, when the distance to the park exceeded 130 meters, the walking distance surpassed the general pedestrian benchmark of 500 meters. Furthermore, it was observed that roads shared with vehicles and lacking sidewalks resulted in an augmentation of walking distance by a factor of 1.3. Additionally, for roads less than five meters in width, the walking distance was constrained to less than 400 meters. However, for roads with a width exceeding five meters, an additional increase of approximately 140 meters was observed. These results underscore the significance of park accessibility in determining walking distance among older adults, highlighting the influence of age-related mobility differences. The findings of this study call for policy interventions aimed at enhancing walking environments for older adults, particularly by improving access to public facilities and addressing street design considerations.

본 연구는 고령자의 경로 거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여, 주변 공원시설까지의 보행 접근성이 고령자의 보행거리 결정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였다. 분석 결과, 75세 이상의 후기 고령자는 인접한 공원시설까지의 거리가 135m 이내일 때 평균 이동 거리가 420m로 나타났으며, 이는 고령자의 이동 한계와 관련이 있음을 보여준다. 반면, 74세 이하의 전기 고령자는 불법 주정차 밀도가 낮을 경우 보행거리가 약 150m 더 증가하였다. 또한, 공원시설까지의 거리가 130m를 초과할 경우 고령자의 경로 길이는 일반 보행자 기준인 500m를 초과하며, 보도가 없는 보차혼용 도로를 이용할 때 경로 길이가 1.3배 증가하였다. 보차혼용 도로의 폭이 5m 이하일 때 경로 길이는 400m 이하로 제한되지만, 5m 이상의 도로를 이용할 경우 약 140m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이 연구는 공원시설에 대한 접근성이 고령자의 보행 거리 결정에 있어 중요한 요소임을 확인하였으며, 연령대에 따른 이동 한계 차이도 주요한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시사한다. 향후 연구에서는 이러한 요인들을 고려하여 고령자의 안전하고 편리한 보행 환경 조성을 위한 정책적 제언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Keywords

Acknowledgement

본 연구는 정부(과학기술정보통신부)의 재원으로 한국연구재단의 지원을 받아 수행된 연구임(과제번호: 2022M3C1B6083187).

References

  1. 강현미・박소현(2009), "구릉지 아파트단지의 보행환경특성에 관한 연구: 보행약자의 이동을 중심으로", 「대한건축학회논문집」, 25(6): 187~196.
  2. 김승남・이소민(2016), 「가로단위 보행환경 평가체계 개발 연구」, 세종: 건축도시공간연구소.
  3. 김용진・안건혁(2012), "노인의 주요 근린시설별 이용권 도출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 논문집: 계획계, 28(5): 215~222.
  4. 김진우・이성미・한민정(역)(2008), 「삶이 있는 도시 디자인」(초판 3쇄), 서울: 푸른솔(Jan Gehl (1971), Life between Buildings: Using Public Space, Washigton, DC: Island Press).
  5. 남궁은하(2023), "지역사회자원 접근성이 노년기 주관적 건강에 미치는 효과: 사회・경제적특성에 따른 차이", 「Health & Welfare」, 25(2): 7~36
  6. 노시학(1994), "서울시 노령인구의 통행패턴 분석", 「한국노년학」, 14(2): 1~16.
  7. 노시학・양은정(2011). "서울시 이동가능 고령인구의 주요 통행패턴과 노인 지하철 무임승차제도에 대한 인식", 「국토지리학회지」, 45(4): 545~557.
  8. 문화체육관광부(2021), 「2021 국민여가 활동조사」, 세종: 문화체육관광부.
  9. 박철영・이수기(2016), "가로환경 특성이 보행자 교통사고에 미치는 영향 분석: 가로 세그먼트 분석단위와 공간통계모형의 적용", 「도시설계」, 17(3): 105~121.
  10. 박효숙・정연준・이경환(2017), "노인들의 보행경로와 외부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근린환경 특성에 대한 실증분석: 서울시 녹번동을 대상으로", 「도시설계」, 18(6): 17~35.
  11. 성현곤・고두환・최창규・천상현(2014), "주거지 근린환경과 개인의 보행활동의 연관성 재검증: 서울시 149개 행정동을 대상으로", 「국토계획」, 49(1): 81~94.
  12. 오성훈・박수조・이소민(2023), "근린보행환경에 대한 고령자의 주관적 인식이 외출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실증연구", 「국토계획」, 58(4): 101~118.
  13. 오성훈・이소민(2024), "고령자의 신체적 제약, 보행환경에 대한 인식이 고령자 우울감에 미치는 영향", 「도시설계」, 25(1): 53~70.
  14. 오용준・윤갑식(2012), "사회적 약자를 고려한 도시계획요소에 관한 연구: 국토계획법상 도시계획을 중심으로", 「도시설계」, 13(4): 51~64.
  15. 유제현・양병선(2023), "도시 보행환경 분석을 통한 연령 계층별 공원 접근성 분석", 「Recreation and Landscape」 17(4): 75~81.
  16. 이민아・이영심(2000), "서울지역 노인들의 근린시설 이용실태와 근접정도에 대한 분석", 「한국주거학회지」, 11(2), 37~49.
  17. 이새롬・박인권(2020), "정주환경 포용성이 고령층의 정신건강에 미치는 효과", 「한국지역학회」, 36(4): 3~23.
  18. 이새롬・박인권(2022), "고령자 관점에서 본 주거환경 포용성: 이론적 개념화와 서울시 고령자의 경험", 「공간과 사회」, 32(3): 62-105.
  19. 이세영・이제승(2014), "어린이・노인 보행자 교통안전을 위한 근린환경요인", 「도시설계」, 15(6): 5~15.
  20. 이소민(2022), "주거지 근린환경이 보행취약계층별 통행 만족도와 경로선택에 미치는 영향", 박사학위논문, 한양대학교.
  21. 이소민・이명훈(2021), "생애주기별 사회적 약자의 보행환경 만족도 영향요인 연구: 근린생활권에서의 보행친화도와 보행네트워크를 중심으로", 「도시설계」, 22(4): 17~34.
  22. 이소민・이명훈(2022), "보행취약계층의 비 최단경로선택에 영향을 미치는 주거지보행환경 특성에 관한 연구", 「국토계획」, 57(3): 96~112.
  23. 이수기・이윤성・이창관(2014), "보행자 연령대별 보행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가로환경의 특성분석", 「국토계획」, 49(8): 91~105.
  24. 이현정・박정호(2023), "인구감소 시대외 초고령 사회의 지속가능한 삶으로서 스마트 에이징의 개념과 모형에 관한 탐색적 연구", 「LHI Journal」, 14(4): 1~6.
  25. 정연준・박주현・이경환(2020), "GPS 데이터를 활용한 신도시 노인들의 적정 근린생활권 규모 추정: 성남시 분당구 야탑 3동을 대상으로", 「도시설계」, 21(1): 85~101.
  26. 정유선・최막중(2014), "노인의 일상 여가장소로서 도심공원 방문 결정요인: 규모와 거리효과를 중심으로", 「국토계획」, 49(1): 51~62.
  27. 조남건(2011), 「고령화에 따른 통행특성 조사연구」, 세종: 국토연구원.
  28. 조현주・이순주(2019), "보행적 측면에서 노인친화 형 공원의 유치거리 도출 및 녹지서비스 지역 평가-보행자 측면 중심으로".「한국조경학회지」, 47(1): 1~9.
  29. 통계청(2019), "장래인구특별추계(2017-2067)", 대전.
  30. 황금회・김승렬(2016), "노인의 사회활동 중심성과 핵심요인 분석: 근린시설 이용을 중심으로", 「지방정부연구」, 20(1): 375~401.
  31. Abbasi, S., J. Ko and J. Kim (2022), "Carsharing Travel Distance and Its Associated Factors: A Case Study of Seoul, South Korea", Journal of Cleaner Production, 362: 132380.
  32. Banister, D. and A. Bowling (2004), "Quality of Life for the Elderly: the Transport Dimension", Transport Policy, 11: 105~115.
  33. Bhat, C. and H. Zhao (2002), "The Spatial Analysis of Activity Stop Generation", Transportation Research Part B: Methodological, 36(6): 557~575.
  34. Borst, H. C., S. I. de Vries, J. M. Graham, J. E. van Dongen, I. Bakker and H. M. Miedema (2009), "Influence of Environmental Street Characteristics on Walking Route Choice of Elderly People", Journal of Environmental Psychology, 29(4): 477~484.
  35. Bottai, M., N. Salvati and N. Orsini (2006), "Multilevel Models for Analyzing People's Daily Movement Behavior", Journal of Geographical Systems, 8: 97~108.
  36. Buffel, T., C. Phillipson and T. Scharf (2012), "Ageing in Urban Environments: Developing AgeFriendly Cities", Critical Social Policy, 32(4): 597~617.
  37. Camdeviren, H. A., A. C. Yazici, Z. Akkus, R. Bugdayci and M. A. Sungur (2007). "Comparison of Logistic Regression Model and Classification Tree: An Application to Postpartum Depression Data", Expert Systems with Applications, 32(4): 987~994.
  38. De'ath, G. and K. E. Fabricius (2000), "Classification and Regression Trees: A Powerful Yet Simple Technique for Ecological Data Analysis", Ecology, 81(11): 3178~3192.
  39. Duncan, C. and K. Jones (2000). "Using Multilevel Models to Model Heterogeneity: Potential and Pitfalls", Geographical Analysis, 32(4): 279~305.
  40. Giles-Corti, B., M. H. Broomhall, M. Knuiman, C. Collins, K. Douglas, K. Ng, A. Lange and R. J. Donovan (2005), "Increasing Walking: How Important is Distance to, Attractiveness, and Size of Public Open Space?", American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28(2): 169~176.
  41. Glass, T. A. and J. L. Balfour (2003), Neighborhoods, Aging, and Functional Limitations, Neighborhoods and Health, Oxford: Oxford University Press.
  42. Hjorthol, R. (2013), "Transport Resources, Mobility and Unmet Transport Needs in Old Age", Ageing and Society, 33(7): 1190~1211.
  43. Kerr, J., D. Rosenberg and L. Frank (2012), "The Role of the Built Environment in Healthy Aging: Community Design, Physical Activity, and Health among Older Adults", Journal of Planning Literature, 27(1): 46~60.
  44. Li, L. and B. P. Loo (2017), "Mobility Impairment, Social Engagement, and Life Satisfaction among the Older Population in China: A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nalysis", Quality of Life Research, 26(5): 1273~1282.
  45. Metz, D. H. (2000), "Mobility of Older People and Their Quality Of Life", Transport Policy, 7: 149~152.
  46. Nicolson, P. J. A., M.T. Sanchez-Santos, J. Bruce, S. Kirtley, L. Ward, E. Williamson and S. E. Lamb (2021), "Risk Factors for Mobility Decline in Community-Dwelling Older Adults: A Systematic Literature Review", Journal of Aging and Physical Activity, 29(6):1053~1066.
  47. Páez, A., D. Scott, D. Potoglou, P. Kanaroglou and K. B. Newbold (2007), "Elderly Mobility: Demographic and Spatial Analysis of Trip Making in the Hamilton CMA", Urban Studies, 44(1): 123~146.
  48. Peel, C., P. Sawyer Baker, D. L. Roth, C. J. Brown, E. V. Brodner and R. M. Allman (2005), "Assessing Mobility in Older Adults: the UAB Study of Aging Life-Space Assessment", Physical Therapy, 85(10): 1008~1119.
  49. Reynolds, S. L. and M. Silverstein, (2003), "Observing the Onset of Disability In Older Adults", Social Science & Medicine, 57(10): 1875~1889.
  50. Rosso, A. L., T. H. Grubesic, A. H. Auchincloss, L. P. Tabb and Y. L. Michael (2013), "Neighborhood Amenities and Mobility in Older Adults", American Journal of Epidemiology, 178(5): 761~769.
  51. Saelens, B. E., J. F. Sallis, and L. D. Frank (2003). "Environmental Correlates of Walking and Cycling: Findings from the Transportation, Urban Design, and Planning Literatures", Annals of Behavioral Medicine, 25(2): 80~91.
  52. Schehl, B. and J. Leukel (2020), "Associations between Individual Factors, Environmental Factors, and Outdoor Independence in Older Adults", European Journal of Ageing, 17: 291~298.
  53. Tsai, L. T., E. Portegijs, M. Rantakokko, A. Viljanen, M. Saajanaho, J. Eronen and T. Rantanen (2015), "The Association between Objectively Measured Physical Activity and Life-Space Mobility Among Older People", Scandinavian Journal of Medicine & Science in Sports, 25(4): e368~e373.
  54. Vayssières, M. P., R. E. Plant and B. H. Allen‐Diaz (2000), "Classification Trees: An Alternative NonParametric Approach for Predicting Species Distributions", Journal of Vegetation Science, 11(5): 679~694.
  55. Von Bonsdorff, M., T. Rantanen, P. Laukkanen, T. Suutama and E. Heikkinen (2006), "Mobility Limitations and Cognitive Deficits as Predictors of Institutionalization among Community-dwelling Older People", Gerontology, 52(6): 359~365.
  56. Wang, S., E. H. K. Yung, W. M. Jayantha and E. H. W. Chan (2023), "Elderly's Intention and Use Behavior of Urban Parks: Planned Behavior Perspective", Habitat International, 134: 102780.
  57. WHO (2015), Measuring the Age-Friendliness of Cities: A Guide to Using Core Indicators, Geneva: World Health Organization
  58. Yue, Y., D. Yang, N. Owen and D. Van Dyck (2022), "The Built Environment and Mental Health among Older Adults in Dalian: The Mediating Role of Perceived Environmental Attributes", Social Science & Medicine, 311: 115333.
  59. 건축공간연구원, "드론항공촬영 데이터: 현장조사, 2023.2.20.-22. 항공촬영", 건축공간연구원 내부자료. AURI, "Drone Aerial Photography Data: Field Survey, Field Acquisition February 20-22, 2023", Utilization of AURI Internal Data. (in Korean)
  60. 서울특별시 빅데이터 캠퍼스, "서울시 불법 주정차단속 위치정보 공간데이터(2017)", 2021.3.14 읽음. https://bigdata.seoul.go.kr/main.do.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Big Data Campus, "Seoul City Illegal Parking Enforcement Location Information Spatial Data (2017)", Accessed March 14, 2021. https://bigdata.seoul.go.kr/main.do. (in Korean)
  61. 행정안전부, "공공데이터포털(2023)", 2023.3.20a 읽음. https://www.data.go.kr/. Ministry of the Interior and Safety, "Public Data Portal (2023)", Accessed March 20, 2023a. https://www.data.go.kr/. (in Korean)
  62. 행정안전부, "도로명주소(2023)", 2023.3.14b 읽음. https://www.juso.go.kr/openEngPage.do. Ministry of the Interior and Safety, "Road Name Address DB (2023)", Accessed March 14, 2023b. https://www.juso.go.kr/openEngPage.do. (in Korea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