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This study empirically examines the dynamic effects of monetary and macroprudential policy shocks on real housing price in Korea using a Bayesian structural VAR model with sign restrictions. The main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 tightening monetary and macroprudential policy shocks cause real housing price to increase while the loosening policy shocks cause it to decrease. Second, when monetary and macroprudential policies align, their combined impact amplifies changes in real housing prices; however, when they diverge, the overall effect diminishes. Third, real housing prices respond to monetary policy shocks with greater statistical significance, persistence, and magnitude compared to macroprudential policy shocks, regardless of the policy mix. Fourth, macroprudential policy shocks contribute more to variations in real housing prices compared to monetary policy shocks. Fifth, after the global financial crisis, as business and financial cycles become less synchronized, real housing prices respond similarly to both monetary and macroprudential policy shocks. Specifically, the magnitude of responses to monetary policy shocks increases, while responses to other shocks and their contribution to price variations decrease. This study implies that regardless of the business and financial cycles, the combination of tightening monetary policy and tightening macroprudential policy is the optimal policy alignment to achieve the stabilization of housing prices. Therefore, this suggests that policy makers need to consider the interactions of the two policies when they aim to stabilize housing prices.
본 연구는 부호제약을 부과한 베이지안 구조적 VAR 모형을 이용하여 통화정책과 거시건전성정책이 주택가격에 미치는 동적 효과를 비교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긴축적 통화정책 충격과 긴축적 거시건전성정책 충격은 모두 실질 주택가격을 하락시키는 효과를, 완화적 정책 충격은 모두 실질 주택가격을 상승시키는 효과를 가졌다. 둘째, 두 정책에 따른 종합적인 반응의 크기는 두 정책이 동일한 기조일 때에는 확대되었으나, 다른 기조일 때에는 축소되었다. 셋째, 정책 기조와 관계 없이 통화정책이 거시건전성정책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하고 지속적이며 상대적으로 큰 실질 주택가격의 반응을 야기하였다. 넷째, 거시건전성정책 충격이 통화정책 충격보다 실질 주택가격의 변동에 상대적으로 크게 기여하였다. 다섯째,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실물 및 금융 사이클이 비동 조화 관계일 때 두 정책이 실질 주택가격 반응의 부호는 동일하나, 통화정책에 따른 반응의 크기는 확대되나 이외의 반응과 실질 주택가격의 변동에 미치는 영향은 모두 축소되었다. 이와 같은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실물 및 금융 사이클의 동조와 여부와 무관하게 주택가격 안정화를 가져올 수 있는 최적의 정책 조합은 통화 및 거시건전성정책이 모두 긴축 기조일 경우임을 예측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정책 당국이 주택가격을 정책 목표로 할 때, 통화정책과 거시건전성정책의 공조 및 시행에 있어 두 정책의 기조에 따른 상호 영향을 고려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