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Dynamic Effects of Monetary and Macroprudential Policies on Housing Price in Korea

통화정책과 거시건전성정책이 주택가격에 미치는 동적 효과 분석

  • 안지혜 (서울대학교 경제학부 BK21Four 사업단 )
  • Received : 2024.09.12
  • Accepted : 2025.02.23
  • Published : 2025.03.31

Abstract

This study empirically examines the dynamic effects of monetary and macroprudential policy shocks on real housing price in Korea using a Bayesian structural VAR model with sign restrictions. The main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 tightening monetary and macroprudential policy shocks cause real housing price to increase while the loosening policy shocks cause it to decrease. Second, when monetary and macroprudential policies align, their combined impact amplifies changes in real housing prices; however, when they diverge, the overall effect diminishes. Third, real housing prices respond to monetary policy shocks with greater statistical significance, persistence, and magnitude compared to macroprudential policy shocks, regardless of the policy mix. Fourth, macroprudential policy shocks contribute more to variations in real housing prices compared to monetary policy shocks. Fifth, after the global financial crisis, as business and financial cycles become less synchronized, real housing prices respond similarly to both monetary and macroprudential policy shocks. Specifically, the magnitude of responses to monetary policy shocks increases, while responses to other shocks and their contribution to price variations decrease. This study implies that regardless of the business and financial cycles, the combination of tightening monetary policy and tightening macroprudential policy is the optimal policy alignment to achieve the stabilization of housing prices. Therefore, this suggests that policy makers need to consider the interactions of the two policies when they aim to stabilize housing prices.

본 연구는 부호제약을 부과한 베이지안 구조적 VAR 모형을 이용하여 통화정책과 거시건전성정책이 주택가격에 미치는 동적 효과를 비교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긴축적 통화정책 충격과 긴축적 거시건전성정책 충격은 모두 실질 주택가격을 하락시키는 효과를, 완화적 정책 충격은 모두 실질 주택가격을 상승시키는 효과를 가졌다. 둘째, 두 정책에 따른 종합적인 반응의 크기는 두 정책이 동일한 기조일 때에는 확대되었으나, 다른 기조일 때에는 축소되었다. 셋째, 정책 기조와 관계 없이 통화정책이 거시건전성정책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하고 지속적이며 상대적으로 큰 실질 주택가격의 반응을 야기하였다. 넷째, 거시건전성정책 충격이 통화정책 충격보다 실질 주택가격의 변동에 상대적으로 크게 기여하였다. 다섯째,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실물 및 금융 사이클이 비동 조화 관계일 때 두 정책이 실질 주택가격 반응의 부호는 동일하나, 통화정책에 따른 반응의 크기는 확대되나 이외의 반응과 실질 주택가격의 변동에 미치는 영향은 모두 축소되었다. 이와 같은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실물 및 금융 사이클의 동조와 여부와 무관하게 주택가격 안정화를 가져올 수 있는 최적의 정책 조합은 통화 및 거시건전성정책이 모두 긴축 기조일 경우임을 예측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정책 당국이 주택가격을 정책 목표로 할 때, 통화정책과 거시건전성정책의 공조 및 시행에 있어 두 정책의 기조에 따른 상호 영향을 고려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Keywords

References

  1. 구재운・배진성(2012), "통화정책과 주택가격: 지역별 차별효과", 「한국지역경제연구」, 10(1): 91~109.
  2. 민선옥・이영수(2019), "부호제약을 이용한 한국 주택시장의 변동요인 분석", 「부동산분석」, 5(1): 1~13.
  3. 박정아・김종진(2023), "동적패널모형을 활용한 코로나 19 팬데믹 기간 아파트가격 결정 요인 연구: 서울특별시 3000 세대 이상 대규모 아파트 단지를 중심으로", 「LHI Journal」, 14(1): 33~46.
  4. 손종칠(2010), "통화정책 및 실물・금융변수와 주택 가격간 동태적 상관관계 분석", 「경제학연구」, 58(2): 179~219.
  5. 송인호(2015), "주택시장과 거시경제의 관계: 주택가격, 금리, 소비, 총생산을 중심으로", 「부동산・도시연구」, 8(1): 47~65.
  6. 유혜미(2024), "통화정책의 상태의존적 효과 분석: 간헐적으로 유효한 대출제약을 중심으로", 「금융연구」, 38(1): 1~34.
  7. 이근영・김남현(2016), "금리와 주택가격", 「경제학연구」, 64(4): 45~82.
  8. 이영수(2008), "한국의 주택가격과 거시경제: SVAR 분석", 「부동산학연구」, 14(3): 129~147.
  9. 이영수(2019), "통화정책과 주택시장: 부호제약을 이용한 베이지안 VAR 분석", 「주택연구」, 27(1): 113~136.
  10. 이용회・이승화(2018), "패널 VAR 모형을 이용한 주택 관련 거시건전성정책의 효과에 관한 연구-수도권 아파트가격을 중심으로", 「금융감독연구」, 5(2): 123~158.
  11. 이정연・홍준선(2022), "최근 우리나라 금융사이클의 상황 및 특징 평가", 「BOK 이슈노트」, 12: 1~14.
  12. 이태리・송인호(2015), "통화정책의 주택시장 파급경로 연구", 「주택연구」, 23(3): 31~62.
  13. 임대봉(2013), "주택시장의 대출규제 (LTV・ DTI) 와 주택가격, 그리고 가계부채에 관한 연구", 「국토계획」, 48(3): 361~381.
  14. 정진오・정재호(2023), "부동산정책이 부동산가격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조세정책과 금융정책 중심으로", 「LHI Journal」, 14(3): 55~75.
  15. 차경수・황상연(2013), "국내 주택매매가격 변동의 특징과 주요 거시경제변수와의 상호작용", 「경제분석」, 19(4): 1~45.
  16. 최영상・고성수(2015), "통화정책이 부동산가격 변동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부동산연구」, 25(4): 7~19.
  17. 최차순(2019), "주택가격과 주택규제정책과의 관계 연구", 「예술인문사회 융합 멀티미디어 논문지」, 9(9): 1031~1040.
  18. 최희갑(2013), "주택가격과 거시경제: 구조적 VEC 모형", 「국토연구」, 79: 91~109.
  19. 최희갑・임병준(2011), "통화정책 전달에서의 주택가격의 역할" 「부동산학연구」, 17(4): 5~25.
  20. 한국은행(2021), 「통화신용정책보고서(2021년 6월)」, 서울.
  21. 한국은행(2023), 「통화신용정책보고서(2023년 9월)」, 서울.
  22. 허종만・이영수(2018), "이자율변동의 주택시장 파급효과 분석", 「부동산분석」, 4(1): 55~69.
  23. Eickmeier, S. and B. Hofmann (2013), "Monetary Policy, Housing Booms, and Financial (Im) Balances", Macroeconomic Dynamics, 17(4): 830~860.
  24. Franz, T. (2020), "The Effects of Borrower-Based Macroprudential Policy: An Empirical Application to Korea", International Journal of Central Banking, 16(5): 1~47.
  25. Hirata, H., M. A. Kose, C. Otrok and M. E. Terrones (2012), "Global House Price Fluctuations: Synchronization and Determinants", NBER International Seminar on Macroeconomics, 9(1): 119~166.
  26. Igan, D. and H. Kang (2011), "Do Loan-to-Value and Debt-to-Income Limits Work? Evidence from Korea", IMF Working Paper, WP/11/297, Washington, D.C.: International Monetary Fund.
  27. Jácome, L. I. and S. Mitra (2015), "LTV and DTI Limits: Going Granular", IMF Working Paper, WP/15/154, Washington, D.C.: International Monetary Fund.
  28. Jung, H. and J. Lee (2017), "The Effects of Macroprudential Policies on House Prices: Evidence from an Event Study Using Korean Real Transaction Data", Journal of Financial Stability, 31(C): 167~185.
  29. Kim, S. and J. Oh (2020), "Macroeconomic Effects of Macroprudential Policies: Evidence from LTV and DTI Policies in Korea", Jap an and the World Economy, 53: 100997.
  30. Kim, S. and S. Shim (2022), "Measuring the Effects of LTV and DTI Limits: A Heterogeneous Panel VAR Approach with Sign Restrictions", Bank of Korea Working Paper, 2022-3, Seoul: Bank of Korea Working.
  31. Kuttner, K. N. and I. Shim (2016), "Can NonInterest Rate Policies Stabilize Housing Markets? Evidence from a Panel of 57 Economies", Journal of Financial Stability, 26: 31~44.
  32. Negro, M. D. and C. Otrok (2007), "99 Luftballons: Monetary policy and the house price boom across US states", Journal of Monetary Economics, 54(7): 1962~1985.
  33. Pontines, V. (2021), "The Real Effects of Loan-toValue Limits: Empirical Evidence from Korea", Empirical Economics, 61(3): 1311~1350.
  34. Richter, B., M. Schularick and I. Shim (2019), "The Costs of Macroprudential Policy", Journal of International Economics, 118: 263~282.
  35. Robstad, Ø. (2018), "House Prices, Credit and the Effect of Monetary Policy in Norway: Evidence from Structural VAR Models", Empirical Economics, 54(2): 461–483.
  36. Tillmann, P. (2015), "Estimating the Effects of Macroprudential Policy Shocks: A Qual VAR Approach", Economics Letters, 135: 1~4.
  37. Uhlig, H. (2005), "What Are the Effects of Monetary Policy on Output? Results from an Agnostic Identification Procedure", Journal of Monetary Economics, 52(2): 381~419.
  38. Vargas-Silva, C. (2008), "Monetary Policy and the US Housing Market: A VAR Analysis Imposing Sign Restrictions", Journal of Macroeconomics, 30(3): 977~9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