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pplication of Deep Learning for Classification of Ancient Korean Roof-end Tile Images

딥러닝을 활용한 고대 수막새 이미지 분류 검토

  • KIM Younghyun (Dept. of Convergence Cultural Heritage,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Heritage)
  • 김영현 (한국전통문화대학교 문화유산융합학과 고고학전공)
  • Received : 2024.06.21
  • Accepted : 2024.08.07
  • Published : 2024.09.30

Abstract

Recently, research using deep learning technologies such as artificial intelligence, convolutional neural networks, etc. has been actively conducted in various fields including healthcare, manufacturing, autonomous driving, and security, and is having a significant influence on society. In line with this trend, the present study attempted to apply deep learning to the classification of archaeological artifacts, specifically ancient Korean roof-end tiles. Using 100 images of roof-end tiles from each of the Goguryeo, Baekje, and Silla dynasties, for a total of 300 base images, a dataset was formed and expanded to 1,200 images using data augmentation techniques. After building a model using transfer learning from the pre-trained EfficientNetB0 model and conducting five-fold cross-validation, an average training accuracy of 98.06% and validation accuracy of 97.08% were achieved. Furthermore, when model performance was evaluated with a test dataset of 240 images, it could classify the roof-end tile images from the three dynasties with a minimum accuracy of 91%. In particular, with a learning rate of 0.0001, the model exhibited the highest performance, with accuracy of 92.92%, precision of 92.96%, recall of 92.92%, and F1 score of 92.93%. This optimal result was obtained by preventing overfitting and underfitting issues using various learning rate settings and finding the optimal hyperparameters. The study's findings confirm the potential for applying deep learning technologies to the classification of Korean archaeological materials, which is significant. Additionally, it was confirmed that the existing ImageNet dataset and parameters could be positively applied to the analysis of archaeological data. This approach could lead to the creation of various models for future archaeological database accumulation, the use of artifacts in museums, and classification and organization of artifacts.

최근 의료, 제조, 자율주행, 보안 등 다양한 분야에서 인공지능과 컨볼루션 신경망 등 딥러닝 기술을 활용한 연구들이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으며, 사회 전반에 적지 않은 영향을 미치고 있다. 본 연구 또한 이러한 흐름에 맞춰서 고고학 유물 분류에 딥러닝을 활용해 보았다. 즉, 연구는 고고학 조사를 통해 출토된 고대 수막새의 이미지 분류에 딥러닝 기술을 적용하는 초보적 시도로서, 고구려, 백제, 신라 시대의 수막새 이미지를 CNN 모델로 학습시켜 분류를 진행하였다. 고구려, 백제, 신라 수막새 이미지 각각 100장씩 총 300장을 기반으로 기본 데이터셋을 형성하였고, 데이터 증강 기법을 활용하여 4배를 증가시킴으로써 총 1,200장을 데이터셋으로 구축하였다. 사전 훈련된 EfficientNetB0 모델의 전이학습을 통하여 모델을 구축한 후, 5겹 교차검증을 실시한 결과 평균 학습 정확도 98.06%, 검증 정확도 97.08%를 기록하였다. 또한 학습된 모델을 240장의 테스트 데이터셋으로 성능을 평가한 결과, 최소 91% 이상의 높은 정확도로 삼국의 수막새 이미지를 시대별로 구분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특히 학습률 0.0001에서 정확도 92.92%, 정밀도 92.96%, 재현율 92.92%, F1 점수 92.93%로 가장 우수한 성능을 보였는데, 이는 다양한 학습률 설정을 통하여 과적합과 과소적합 문제를 방지함과 동시에 최적의 매개변수를 찾는 과정에서 이루어졌다. 본 연구의 결과는 한국 고고학 자료의 분류에 딥러닝 기술 활용 가능성을 확인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고 생각된다. 또한 기존에 축적·제작된 ImageNet 데이터셋 및 파라미터가 고고 자료 분석에도 긍정적으로 적용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접근은 향후 고고학 데이터베이스 축적이나 활용, 박물관의 유물 분류 및 정리 등 다양한 방식의 모델을 창출할 수 있을 것이다.

Keywords

References

  1. 국립문화재연구원, 2022, 「고고학술정보 디지털대전환」 국제학술심포지엄 자료집.
  2. 김범철, 2022, 「고고학술정보 디지털 전환의 전략을 위한 제언」, 「고고학술정보 디지털대전환」 국제학술심포지엄 자료집, 국립문화재연구원.
  3. 김연규, 2017, 「CNN과 특징 추출 알고리즘을 통한 한글 인식 성능 개선에 관한 연구」, 부산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9.
  4. 박찬우.김희권.이재호.지형근, 2023, 「오픈소스 기반의 딥러닝을 활용한 흑백 이미지 문화유산 복원방법 연구」, 「대한전자공학회 학술대회자료집」, 대한전자공학회.
  5. 배기동.김경택, 2023, 「디지털시대의 미래 고고학」, 「인문학연구」 54, 경희대학교 인문학연구원.
  6. 서울대학교 고고미술사학과 Archaeometry 연구팀, 2023, 「시뮬레이션 고고학: 컴퓨터 시뮬레이션을 통한 고고학 연구의 확장」, 「제47회 한국고고학전국대회: 고고학으로 본 권력과 공간」 발표자료집, 한국고고학회.국립문화재연구원
  7. 이상윤.강석주, 2023, 「환경별 통합에 따른 딥러닝 기반 흥인지문 지붕부 기울음 예측 실험 및 분석」, 「문화재방재학회 논문집」 8(3), 문화재방재학회.
  8. 이정민.유정민, 2022, 「딥러닝 기반 건축 문화유산의 표면 손상 분류 기법 개발」, 「Proceedings of KIIT conference 학술대회자료집」, 한국정보기술학회.
  9. 이혜림, 2018, 「국가 고고학 데이터 디지털 아카이브 개발을 위한 연구」, 「한국기록관리학회지」 18(2), 한국기록관리학회.
  10. 이홍구, 2022, 「딥러닝 基盤의 諺簡 資料 文字 判讀機 具現에 對한 硏究 -<秋史 諺簡>을 對象으로-」, 「어문연구」 50(3), 한국어문교육연구회.
  11. 정하영.장윤정, 「가야 토기의 편년 추정을 위한 딥러닝 CNN-DBSCAN 기반 굽다리 접시 유형 예측 모형 개발」, 「문화와융합」 44(3), 한국문화융합학회.
  12. 정호준.심소나.백서현.안상두.최종원, 2023, 「다수의 참조 이미지를 활용한 문화유산 흑백사진 아카이브 채색화 모듈 개발」, 「대한전자공학회 학술대회자료집」, 대한전자공학회.
  13. 진교훈.강경필.조윤성.주재걸.김영빈, 2019, 「통계적 구문분석과 Attention기반 심층 신경망을 통한 조선왕조실록 기계번역」, 「2019년 한국컴퓨터종합학술대회 논문집」, 한국정보과학회.
  14. 최인화, 2023, 「디지털고고학 국외 사례 현황과 과제」, 「야외고고학」 48, 한국문화유산협회, p.128.
  15. DIGITAL 고고학 연구회, 2023, 「3D 스캔 기술과 고고학에서의 활용」, 「제47회 한국고고학전국대회: 고고학으로 본 권력과 공간」 발표자료집.
  16. Alom, M. Z., Taha, T. M., Yakopcic, C., Westberg, S., Sidike, P., Nasrin, M. S., Esesn B. C. V., Awwal A. A. S. & Asari, V. K., 2018, The history began from alexnet: A comprehensive survey on deep learning approaches.
  17. Andrew Bevan, Xiuzhen Li, Marcos Martinon-Torres, Susan Green, Yin Xia, Kun Zhao, Zhen Zhao, Shengtao Ma, Wei Cao, Thilo Rehren, 2014, Computer vision, archaeological classification and China's terracotta warriors, Journal of Archaeological Science 49.
  18. Christian Horr, Elisabeth Lindinger, and Guido Brunnett., 2014, Machine learning based typology development in archaeology, Journal on Computing and Cultural Heritage 7(1).
  19. Gino Caspari, Pablo Crespo, 2019, Convolutional neural networks for archaeological site detection - Finding "princely" tombs, Journal of Archaeological Science 110.
  20. Guyot A, Hubert-Moy L, Lorho T., 2018, Detecting Neolithic Burial Mounds from LiDAR-Derived Elevation Data Using a Multi-Scale Approach and Machine Learning Techniques. Remote Sensing 10(2).
  21. Kang, K., Jin, K., Yang, S., Jang, S., Choo, J., & Kim, Y., 2021, Restoring and Mining the Records of the Joseon Dynasty via Neural Language Modeling and Machine Translation, 2021 Annual Conference of the North American Chapter of the Association for Computational Linguistics.
  22. Krizhevsky, A., Sutskever, I., Hinton, G. E., 2012, Imagenet classification with deep convolutional neural networks, Advances in neural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s 25, NIPS, p.8.
  23. Lee, J., & Yu, J. M., 2023, Automatic Surface Damage Classification Developed Based on Deep Learning for Wooden Architectural Heritage. ISPRS Annals of the Photogrammetry, Remote Sensing and Spatial Information Sciences.
  24. Luca Di Angelo, Paolo Di Stefano, Emanuele Guardiani, 2022, A review of computer-based methods for classification and reconstruction of 3D high-density scanned archaeological pottery, Journal of Cultural Heritage 56.
  25. Maria Letizia Gualandi, Gabriele Gattiglia, Francesca Anichini, 2021, Gualandi ML, Gattiglia G, Anichini F., 2021, An Open System for Collection and Automatic Recognition of Pottery through Neural Network Algorithms, Heritage 4(1).
  26. Oivind Due Trier, Jarle Hamar Reksten, Kristian Loseth, 2021, Automated mapping of cultural heritage in Norway from airborne lidar data using faster R-CNN, International Journal of Applied Earth Observation and Geoinformation 95.
  27. Roy Abitbol, Ilan Shimshoni, and Jonathan Ben-Dov, 2021, Machine Learning Based Assembly of Fragments of Ancient Papyrus, Journal on Computing and Cultural Heritage 14(3).
  28. Schouten, J. P. E., Matek, C., Jacobs, L. F. P., Buck, M. C., Bosna ki, D., Marr, C., 2021, Tens of images can suffice to train neural networks for malignant leukocyte detection, Scientific reports 11(1), pp.4~7.
  29. Shorten, C., Khoshgoftaar, T. M., 2019, A survey on Image Data Augmentation for Deep Learning, Journal of big data 6(1), pp.43~44.
  30. Simon H. Bickler, 2021, Machine Learning Arrives in Archaeology, Advances in Archaeological Practice 9(2), p.189.
  31. Tan, M., Le, Q., 2019, Efficientnet: Rethinking model scaling for convolutional neural networks, In International conference on machine learning, PMLR, p.6.
  32. https://kr.mathworks.com/ MATLAB e-book(PDF), p.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