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Reevaluating the National Museum of Korea's Evacuation and Exhibition Projects in the 1950s

6.25 전쟁기 국립박물관 소장품의 국외반출 과정에 대한 신고찰

  • KIM Hyunjung (National Museum of Korean Contemporary History)
  • Received : 2023.12.31
  • Accepted : 2024.02.23
  • Published : 2024.03.29

Abstract

This article reevaluates the National Museum of Korea's pivotal actions during the Korean War in the 1950s and its aftermath. It argues that the evacuation of the museum's collection to Busan and the subsequent exhibition "Masterpieces of Korean Art" in the United States in 1957 were not isolated events, but rather interconnected facets of a larger narrative shaping the museum's trajectory. With newly discovered archival evidence, this study unravels the intricate relationship between these episodes, revealing how the initial Busan evacuation evolved into a strategic U.S.-led touring exhibition. Traditionally, the Busan evacuation has been understood solely as a four-stage relocation of the museum's collections between December 1950 and May 1951. However, this overlooks the broader context, particularly the subsequent U.S. journey. Driven by the war's initial retreat of the war, the Busan evacuation served as a stepping stone for evacuation to Honolulu Museum of Art. The path of evacuation took an unexpected turn when the government redirected the collections to the Honolulu Museum of Art. Initially conceived as a storage solution, public opposition led to a remarkable transformation: the U.S. exhibition. To address public concerns, the evacuation plan was canceled. This shift transformed the planned introduction into a full-fledged traveling exhibition. Subsequently approved by the National Assembly, the U.S. Department of State spearheaded development of the exhibition, marking a distinct strategic cultural policy shift for Korea. Therefore, the Busan evacuation, initially envisioned as a temporary introduction to the U.S., ultimately metamorphosed into a multi-stage U.S. touring exhibition orchestrated by the U.S. Department of State. This reframed narrative sheds new light on the museum's crucial role in navigating a complex postwar landscape, revealing the intricate interplay between cultural preservation, public diplomacy, and strategic national interests.

1950년대 국립박물관의 대표적 성과는 6.25전쟁기 소장품의 부산 피난과 1957년 미국순회전시인 '한국국보전'이라고 할 수 있다. 지금까지 연구에서는 이 두 사건을 개별적 사안으로 다루었다. 하지만 최근 새로운 사료들이 발굴되면서, 이 두 사건은 1950년대 국립박물관을 관통하는 하나의 사안이라는 점이 밝혀지고 있다. 이에 본고에서도 두 사건이 어떤 전개 과정을 통해 하나의 사안으로 이어지는지를 고찰하고자 했다. 국립박물관의 피난을 1950년 12월부터 1951년 5월 사이에 단행된 4차례의 소장품 이전으로만 이해하는 경우가 많다. 사실 부산 피난은 국립박물관 전체 피난사의 일부에 지나지 않는다. 부산 피난 이후 전개된 미국 본토로의 반출 계획과 뒤이은 하와이 호놀룰루로 반출 추진이 문화재 피난사의 대부분을 차지한다. 1950년 12월의 부산 피난은 중국군 개입으로 인한 긴급대피이면서 미국으로 이송하기 위한 선행 조치였다. 부산 도착 직후 미국반출 논의가 상당히 진척되었으나, 미국 정부의 반대로 중단되었다. 그렇지만 1951년 3월부터는 미국 본토가 아닌 하와이 호놀룰루로 반출이 본격적으로 추진되면서 피난 문화재의 국외 반출 문제는 종결이 아니라 새로운 양상으로 전개되었다. 정부가 하와이의 사립 기관인 호놀룰루미술관으로 피난 문화재 반출을 도모하면서부터 문화재 피난의 성격은 모호해졌다. 처음에는 피난 문화재 전량을 호놀룰루미술관에 보관 즉 소개(疏開)하려 했다. 그러나 여론의 거센 반대에 부딪히게 되자, 소개 개념을 완전히 제거하고 국가 홍보를 위한 미국 순회전시로 반출목적을 변경해가며 3차례에 걸쳐 국회에 동의를 요청했다. 정부는 호놀룰루미술관으로 반출이 '국보파동'이라는 비난을 들으면서도 중단하지 않았다. 그런데 어렵게 국회의 승인을 받은 이후 문화재 국외 반출 성격이 급변하였다. 그동안은 문화재 국외 반출 문제의 중심에는 늘 호놀룰루미술관장 그리핑이 있었다. 그런데 제 3차 국회동의요청안이 통과된 피난 문화재 국외반출은 그리핑이 아닌 미 국무부가 주도하는 미국의 대한문화정책 차원에서 전개되었다. 이때부터는 국외반출의 목적에서 '소개' 개념이 완전히 지워지고 오로지 전시로서 개념화된 것이다. 그 결과가 바로 1957년 개최된 한국국보전이었다. 지금까지는 호놀룰루로의 반출문제가 거의 연구되지 않아 1950년 부산 피난과 1957년 한국국보전 사이에는 오랜 시간적 공백 혹은 단절이 존재하는 것처럼 보였다. 그래서 두 사건은 마치 별개의 사건으로 인식되어 왔다. 호놀룰루로 반출 문제는 국립박물관의 문화재 피난사 전모를 보여주는 사건이면서, 국립박물관의 부산 피난이 한국국보전으로 전환되는 과정을 보여주는 핵심 내용이다.

Keywords

References

  1. 「경향신문」, 「동아일보」, 「서울신문」, 「조선일보」, 「중앙선데이」.
  2. 국가기록원 기록정보서비스(https://www.archives.go.kr/next/viewMain.do).
  3. 국회기록보존소 국회기록물(https://archives.nanet.go.kr/search/generalDocRecordList.do#none).
  4. 국회전자도서관(https://dl.nanet.go.kr/search/searchInnerList.do?queryText=ardelia%3AALL_NI_TOC%3AAND&query=ardelia).
  5. 록펠러 아카이브 센터(Rockefeller Archive Center, https://dimes.rockarch.org/).
  6. 국립중앙박물관, 2019, 「6.25전쟁과 국립박물관」, p.36.
  7. 김리나, 2014, 「한국전쟁 시기 문화재 피난사」, 「미술자료」 86, pp.169~196.
  8. 김옥란, 2018, 「유치진과 미국, 드라마센터와 문화냉전」, 「한국학연구」 51.
  9. 김재원, 1973, 「여당수필집」, 탐구당, p.279.
  10. 김재원, 1991, 「경복궁야화」, 탐구당, p.73.
  11. 김재원, 1992, 「박물관과 한평생」, 탐구당, p.128.
  12. 김재원, 2005, 「東西를 넘나들며」, 탐구당, p.403.
  13. 김재원(김리나), 2019, 「세계인으로서 한국 문화를 알리다」, 「박물관에 살다 한국 박물관 100년의 사람들」, 동아일보사, pp.12~41.
  14. 김철수, 2017, 「그때는 전쟁, 지금은 휴전 6.25」, 플래닛미디어, p.125.
  15. 이광표, 2022, 「6.25 전쟁기 '문화재 해외 반출' 논란의 의미와 성과」, 「한국학연구」 67, pp.603~641.
  16. 이상호, 2016, 「한국전쟁기 미국의 한국정부 해외 이전 계획」, 「군사」 101, pp.187~188.
  17. 이완범, 2007, 「한국 정권교체의 국제정치 -1950년대 전반기 미국의 이승만 제거계획」, 「세계정치 8」 28(2), pp.133~144.
  18. 이학수, 2020, 「전시 군의 문화재 보호 사례」, 「6.25전쟁과 문화유산 보존」, 6.25전쟁 70주년 계기 학술심포지엄, 국립고궁박물관, pp.21~30.
  19. 장상훈, 2019, 「국립박물관 아카이브 기행 15~20호」, 「박물관신문」, 국립중앙박물관.
  20. 장상훈, 2019, 「김재원 국립박물관 초대 관장 영문편지」, 국립중앙박물관, p.52.
  21. 장상훈, 2020, 「6.25전쟁 시 국립박물관의 문화유산 수호」, 「6.25 전쟁과 문화유산 보존」, 6.25전쟁 70주년 계기 학술심포지엄, 국립고궁박물관.
  22. 장상훈, 2022, 「한국전쟁기 문화재 부산 소개와 국립박물관의 부산 활동 연구」, 「문화재」 55(2).
  23. 정무정, 2020, 「한국전쟁과 국보해외소개(疏開/紹介) 그리고 록펠러재단」, 「한국근현대미술사학」 40, pp.7~25.
  24. 정재현, 2013, 「1954년 개헌문제와 자유당의 갈등」, 성균관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5. 한국박물관 100년사 편집위원회, 2009, 「한국박물관 100년사, 자료편」, 국립중앙박물관 한국박물관협회.
  26. 기시 도시히코, 2012, 「문화냉전과 아시아」, 소명출판사, p.71.
  27. Eugene I. Knez, 1997, 「한 이방인의 한국사랑」, 국립중앙박물관, p.4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