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basic data to provide a comfortable treatment environment by analyzing the relation between the degree of recognition of dental noise and responses. For 205 dental patients in Seoul and Gyeonggi Province, the differences in the cognitive level, physiological response, and psychological response of dental noise according to general characteristics and dental experience were analyzed by t-test, one way ANOVA, and correlation analysis.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cognitive degree, physiological response, and psychological response of dental noise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according to age and occupation, and significant results were found in the cognitive degree, physiological response, and psychological response of dental noise according to the contents of treatment and the period of visit. In this study, a positive correlation was confirmed between the cognitive degree of dental noise and the psychological and physiological response. For continuous research and essential improvement to reduce noise in dentistry, it is necessary to pay attention to the noise-generating environment and make efforts to prevent hearing loss.
본 연구의 목적은 치과 소음 인지정도 및 반응 관련성을 분석하여 편안한 진료 환경을 제공하기 위한 기초자료로 제시하고자 한다. 서울 및 경기지역 치과 내원 환자 205명을 대상으로 일반적 특성 및 치과경험에 따른 치과 소음의 인지정도, 생리적 반응, 심리적 반응의 차이는 t-test, one way ANOVA 분석하였다. 치과 소음의 인지정도, 생리적 반응, 심리적 반응과의 관련성을 확인하기 위해 correlation analysis를 이용하였다. 연구 결과, 나이와 직업에 따라 치과 소음의 인지정도, 생리적 반응, 심리적 반응이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진료내용, 내원기간에 따라 치과소음의 인지정도, 생리적 반응, 심리적 반응에서 유의한 결과를 보였다. 본 연구로 치과 소음 인지정도 및 심리적·생리적 반응은 양의 상관관계를 확인하였다. 치과 내 소음저감을 위한 지속적인 연구와 본질적인 개선을 위해 소음 발생 환경에 관심을 갖고, 청력 손실을 예방하고자 하는 노력이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