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nalysis of the Success Factors of Living Lab in a Smart City with a Focus on Social Capital

사회적 자본을 중심으로 찾아본 스마트도시 리빙랩의 성공 요인 분석

  • 성정환 (경희대학교 테크노경영대학원) ;
  • 홍아름 (경희대학교 테크노경영대학원)
  • Received : 2024.08.30
  • Accepted : 2024.10.23
  • Published : 2024.10.31

Abstract

In the era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modern society is evolving beyond an information society into a hyperconnected society, with the advancement of technology leading to the development of smart cities. According to Cohen (2015), the direction of smart city evolution is shifting from a technology-driven approach to a citizen co-creation model, and living labs play a crucial role in this transition.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empirically analyze the success factors of living labs in smart cities using the citizen co-creation approach, focusing on social capital. Social capital is measured by variables such as interest, networks, trust, and norms, while the success factors of living labs are analyzed through variables like communication, democracy (conflict acceptance), and open innovation. The analysis results showed that, among the success factors of living labs, communication was positively influenced by trust, norms, and networks, with trust having the greatest impact. Democracy (conflict acceptance) was positively influenced by norms and interest, while open innovation was positively influenced by norms and interest as well. This study concludes that the formation of social capital is crucial for the success of living labs in smart cities following the citizen co-creation model. In particular, the formation of trust among neighbors, colleagues, national and local governments is vital. Additionally, adherence to laws, regulations, and community agreements, as well as interest in various local events and policies, are essential. Based on these findings, this study suggests that while smart cities may have originated from technology, they must ultimately be pursued based on people-centered participation, interest, and trust for sustainable development.

4차 산업혁명 시대에 현대 사회는 정보화 사회를 넘어 초연결 사회로 진화하고 있으며, 기술 발전을 통해 스마트 도시가 구현되고 있다. Cohen(2015)에 따르면, 스마트도시는 기술 중심에서 시민 공동창조 방식으로 발전하고 있으며, 이 과정에서 리빙랩이 핵심적인 역할을 하고 있다. 본 연구는 시민 공동창조 방식의 스마트도시에서 리빙랩의 성공 요인을 사회적 자본을 중심으로 실증적으로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사회적 자본은 관심, 네트워크, 신뢰, 규범으로 정의하였으며, 리빙랩 성공 요인은 소통성, 민주성(갈등 수용성), 개방형 혁신성으로 설정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리빙랩의 성공 요인 중 소통성은 신뢰, 규범, 네트워크 순으로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특히 신뢰의 영향력이 가장 컸다. 민주성(갈등 수용성)은 규범과 관심 순으로 긍정적인 영향을 보였다. 또한, 개방형 혁신성은 규범과 관심 순으로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이를 통해, 시민 공동창조 방식의 스마트도시에서 리빙랩이 성공하려면 도시 내 사회적 자본의 형성이 매우 중요하다는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특히, 이웃, 동료, 국가 및 지방자치단체 간의 신뢰 형성이 중요하며, 법률, 규칙, 지역사회의 약속을 준수하는 규범과 지역행사나 정책에 관한 관심도 필수적이라는 결론에 도달하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스마트도시는 기술로 시작되었지만 결국 사람 중심의 참여, 관심, 신뢰를 기반으로 지속 가능한 발전을 이루어야 함을 제안하고자 한다.

Keywords

References

  1. Kumar, S., Verma, A. K., & Mirza, A.. Digitalisation, Artificial Intelligence, IoT, and Industry 4.0 and Digital Society. In Digital Transformation, Artificial Intelligence and Society: Opportunities and Challenges. pp. 35-57. Singapore: Springer Nature Singapore. 2024. 
  2. 김동희, (2018). "스마트시티 구현의 성공 요인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 공기업정책학과, 석사학위논문, 2018년 8월 
  3. 조영태, 오명택. "스마트시티 리빙랩(Living Lab) 추진전략,"한국토지주택공사 토지주택연구원, 2019년 
  4. 김익회, 서기환, 허용, 임륭혁, 성혜정. "디지털 트윈 기반 스마트시티 고도화 방안," 세종: 국토연구원, 2022년
  5. Radulescu, M. A., Leendertse, W., & Arts, J. "Living labs: A creative and collaborative planning approach. Co-Creativity and Engaged Scholarship: Transformative Methods in Social Sustainability Research, pp. 457-491, 2022년 
  6. 유병윤, "인천 송도 스마트시티 발전방안에 관한 연구", 인하대학교 대학원 일반대학원, 도시계획전공, 박사학위논문, 2019년 2월 
  7. 국토교통부. "스마트도시 조성 및 산업진흥 등에 관한 법률," [법률 제20234호, 2024. 2. 6., 타법개정], 시행 2024년 8월 7일 
  8. 이재용, 김익회, 허용, 한정훈, 임시영. "디지털 뉴딜 지원 위한 스마트시티 실증.확산 전략 연구," 세종: 국토연구원, 2021년 
  9. Patrao, C., Moura, P., & Almeida, A. T. D. "Review of smart city assessment tools. Smart Cities", vol. 3, no. 4, pp. 1117-1132. 2020년  https://doi.org/10.3390/smartcities3040055
  10. Tranos, E., & Gertner, D. "Smart networked cities?. Innovation" The European Journal of Social Science Research, vol. 25, no. 2, pp.175-190. 2012.  https://doi.org/10.1080/13511610.2012.660327
  11. 이영수, "사회자본의 개념과 현황.한국보건사회연구원.보건복지포럼," 306권, 6-20쪽, .2022년 
  12. Bourdieu, P. " The forms of capital.(1986). Cultural theory: An anthology", vol. 1 pp. 81-93),949. 2011. 
  13. Lang, R. E., & Hornburg, S. P. " What is social capital and why is it important to public policy?. Housing policy debate", vol. 9, no. 1, pp. 1-16. 1998.  https://doi.org/10.1080/10511482.1998.9521284
  14. Coleman, J. S. "Social capital in the creation of human capital", American journal of sociology, 94, S95-S120. 1988.  https://doi.org/10.1086/228943
  15. 박희봉. "국가발전과 사회자본. Bulletins et memoires de la Societe d'Anthropologie de Paris", vol. 2009, no. 1, pp. 9-12, 2009. 
  16. 지민준, "리빙랩 활동과 사회적 자본의 형성", 경북대학교 대학원 , 행정학과, 석사학위논문, 2020년 2월 
  17. 김춘태, "사회적 자본이 여성결혼이민자의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순천대학교 대학원, 행정학과, 박사학위논문, 2016년 8월 
  18. Putnam, R. "The prosperous community: Social capital and public life". The American, 4. 1993. 
  19. 정보통신산업진흥원. "리빙랩 현황 및 시사점", 이슈리포트, 제26호, 2017년 
  20. 성지은, 송위진, 박인용. "리빙랩의 운영 체계와 사례". STEPI Insight, 제127권, 1-46쪽, 2013년 
  21. 성지은, 한규영, 김준한. "국내외 보건의료 리빙랩 사례 분석과 정책적 시사점," 동향과 이슈, 제36호, 1-34쪽, 2017년 
  22. 성지은, 이유나. "스마트시티 리빙랩 사례 분석과 과제", 동향과 이슈, 제47호, 1-37쪽. 2018. 
  23. Pallot M. "Engaging Users into Research and Innovation: The Living Lab Approach as a User Centred Open Innovation Ecosystem," 2009. 
  24. Kemec, A. "Living Labs Experiences in Turkey: Examples of Basaksehir and Bodrum." Kafkas universitesi Iktisadi ve Idari Bilimler Fakultesi Dergisi, vol. 14, no. 27, pp. 320-341. 2023.  https://doi.org/10.36543/kauiibfd.2023.013
  25. 서울과학기술대학교 , 공공정책전공 , 2020. 8 
  26. 최도용. "사회적 자본이 삶의 만족에 미치는 영향분석", 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 , 기술경영학과 ,석사힉위논문, 2017, 2012. 2. 
  27. 최필선. "STATA 기초통계와 회귀분석, 서울," 지필미디어, 2022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