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본 연구는 노인의료복지시설에서 근무하는 요양보호사의 관계갈등으로 인한 이직의도를 파악하고, 이직의도를 감소시킬 수 있는 방안을 도출하기 위한 목적으로 시도된 조사연구이다. 이를 위해 자기보고식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경기지역 한국장기요양기관지역협회연합 소속 노인의료복지시설 요양보호사를 대상으로 2024년 1월 1일부터 동년 2월 10일 기간 동안 수집한 자료 345부를 활용해 분석하였다. 분석방법은 SPSS 25.0 프로그램을 사용해 내적합치도를 산출하였고, 연구대상의 일반적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빈도분석frequency analysis), 연구 변인의 수준을 파악하기 위해 기술통계 분석, 연구대상의 특성에 따라 연구 변인에 차이를 파악하기 위해 일원배치 분산분석(One-way ANOVA) 및 Scheffe의 사후검정을 실시하였으며, 연구변인들 간의 상관관계를 파악하기 위한 상관분석(pearson's correlation), 매개효과 검증을 위해 다중회귀분석(multiple regression analysis)을 실시하였고, SPSS Process Macro를 활용한 부트스트래핑(bootstrapping) 방법으로 재검증 하였다. 분석 결과는 요양보호사의 관계갈등과 이직의도는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노인의료복지시설 조직의 인적자원 관리와 장기요양요원센터의 접근성과 이용률을 높일 수 있는 실천적 방안 마련을 위한 기초자료로 제공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the turnover intention of caregivers working in long-term care welfare facilities for the elderly due to relationship conflicts and to identify ways to reduce turnover intention. For this purpose, a self-reporting survey was conducted, and 345 copies of data collected from January 1, 2024 to February 10, 2024 from nursing caregivers of elderly care welfare facilities belonging to the Korean Federation of Regional Associations of Long-Term Care Institutions in Gyeonggi Province were analyzed. The analysis method was SPSS 25. 0 program to calculate the internal consistency, frequency analysis to identify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research subjects,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to identify the level of the research variables, and one-way ANOVA and Scheffe's post hoc test to identify differences in the research variables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research subjects, Correlation analysis (pearson's correlation) was conducted to identify the correlation between the research variable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 and it was revalidated by bootstrapping method using SPSS Process Macro. The results of the analysis showed that relationship conflict and turnover intention of caregivers were positively correlated, and it is significant that it provides a basis for human resource management of elderly care welfare facility organizations and practical measures to increase the accessibility and utilization of long-term care worker center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