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enior healthcare facility worker's relationship conflicts and turnover intention

노인의료복지시설 요양보호사의 관계갈등과 이직의도의 관계연구

  • Sun-hwa Lim (Ewha Silver Care sanatorium) ;
  • Ri-a Lee (Arim Research Institute) ;
  • Won-Sun Lim (Department of Social Welfare, Shinhan University)
  • 임선화 (이화실버케어요양원) ;
  • 이리아 (아림연구소) ;
  • 임원선 (신한대학교 사회복지학과)
  • Received : 2024.09.30
  • Accepted : 2024.10.22
  • Published : 2024.10.31

Abstract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the turnover intention of caregivers working in long-term care welfare facilities for the elderly due to relationship conflicts and to identify ways to reduce turnover intention. For this purpose, a self-reporting survey was conducted, and 345 copies of data collected from January 1, 2024 to February 10, 2024 from nursing caregivers of elderly care welfare facilities belonging to the Korean Federation of Regional Associations of Long-Term Care Institutions in Gyeonggi Province were analyzed. The analysis method was SPSS 25. 0 program to calculate the internal consistency, frequency analysis to identify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research subjects,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to identify the level of the research variables, and one-way ANOVA and Scheffe's post hoc test to identify differences in the research variables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research subjects, Correlation analysis (pearson's correlation) was conducted to identify the correlation between the research variable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 and it was revalidated by bootstrapping method using SPSS Process Macro. The results of the analysis showed that relationship conflict and turnover intention of caregivers were positively correlated, and it is significant that it provides a basis for human resource management of elderly care welfare facility organizations and practical measures to increase the accessibility and utilization of long-term care worker centers.

본 연구는 노인의료복지시설에서 근무하는 요양보호사의 관계갈등으로 인한 이직의도를 파악하고, 이직의도를 감소시킬 수 있는 방안을 도출하기 위한 목적으로 시도된 조사연구이다. 이를 위해 자기보고식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경기지역 한국장기요양기관지역협회연합 소속 노인의료복지시설 요양보호사를 대상으로 2024년 1월 1일부터 동년 2월 10일 기간 동안 수집한 자료 345부를 활용해 분석하였다. 분석방법은 SPSS 25.0 프로그램을 사용해 내적합치도를 산출하였고, 연구대상의 일반적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빈도분석frequency analysis), 연구 변인의 수준을 파악하기 위해 기술통계 분석, 연구대상의 특성에 따라 연구 변인에 차이를 파악하기 위해 일원배치 분산분석(One-way ANOVA) 및 Scheffe의 사후검정을 실시하였으며, 연구변인들 간의 상관관계를 파악하기 위한 상관분석(pearson's correlation), 매개효과 검증을 위해 다중회귀분석(multiple regression analysis)을 실시하였고, SPSS Process Macro를 활용한 부트스트래핑(bootstrapping) 방법으로 재검증 하였다. 분석 결과는 요양보호사의 관계갈등과 이직의도는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노인의료복지시설 조직의 인적자원 관리와 장기요양요원센터의 접근성과 이용률을 높일 수 있는 실천적 방안 마련을 위한 기초자료로 제공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Keywords

References

  1. 통계청(2020), 2020고령자 통계(시간활용, 의식, 인구, 건강, 소득보장, 사회문화적 환경.관계, 주관적 웰빙), 보도자료.https;//kostat.go.kr
  2. 통계청(2022), "2021년 장래인구추계를 반영한 세계와 한국의 인구 현황 및 전망".https;//kostat.go.kr
  3. 보건복지부(2023), "노인복지시설 현황" .https;//www.mohw.go.kr
  4. 이선영.정종원(2013), "조직 내 갈등 및 갈등관리에 관한 연구-갈등관리방법의 실증적 분석을 중심으로", 한국행정논집, 제25권 3호, pp. 743-765.
  5. 손봉석(2011), "신세대 직장인이 꼽은 '변해야 할 조직문화'는?", 경향신문. https;//khan.co.kr
  6. 김경호(2019), "노인장기요양기관 종사자의 이직의도에 관한 구조모형 연구", 남부대학교, 박사학위논문.
  7. Lee, S., & Cho, S. (2017), "The influence of organizational conflicts among care workers in elderly care facilities on their turnover intention and the moderating effect of social support. Health and Social Welfare Review", 37(1), pp. 332-366.
  8. 성해석(2019), "요양보호사의 감정노동과 피로도가 직무만족도와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한려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9. 양진만(2015), "요양보호사의 직무스트레스가 직무태도 및 이직의도에미치는 영향-직업의식의 조절변수를 중심으로" 한영신학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0. 정진경(2009), "조직구성원 이직의도 유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서울시립대학교.
  11. 김은지.윤동열.홍권표(2019), "공공기관 구성원의 직무갈등이 직무소진에 미치는 영향: 심리자본의 조절효과", 리더십연구, 제11권 1호, pp. 113-140.
  12. Price, J. L., & Mueller, C. W.(1981), "A causal model of turnover for nurser", Academy of Management Journal, 24(3), pp. 543-564..
  13. Mobley. R. T., porter, L. W., & Steers. R. M. (1982), "Employee-organlzation linkages; The psychology of Commitment, Absenteeism, and Turnover". New York; Academic press.
  14. 강동철(2016), "장기요양요원의 정서적 동기가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인간관계의 매개효과", 제71권 2호, pp. 49-80.
  15. 계경희(2022), "요양보호사의 사회적 자본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직무스트레스의 매개효과", 칼빈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6. 김경호(2019), "노인장기요양기관 종사자의 이직의도에 관한 구조모형 연구", 남부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7. De Dreu, C. K., & Van Vianen, A. E. (2001). Managing relationship conflict and the effectiveness of organizational teams. Journal of Organizational Behavior, 22(3), 309-328.
  18. Jehn, K. A. (1995), "A multimethod examination of the benefits and detriments of intragroup conflict", Administrative Science Quarterly, 40(2), pp. 256-284.
  19. De Dreu, C. K. W., & Weingart, L. R. (2003), "Task versus relationship conflict, team performance, and team member satisfaction: A meta-analysis",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88(4), pp. 741-749.
  20. Jehn, K. A., & Bendersky, C. (2003), "Intragroup conflict in organizations: A contingency perspective on the conflict-outcome relationship", Research in Organizational Behavior, 25, pp. 187-242..
  21. 김영균(2010), "IS 인력의 조직 내 갈등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산업정보학회논문지, 제15권 4호, pp. 71-81.
  22. 박현주920110, "사회복지조직에서의 갈등이 조직몰입과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직무만족의 매개효과와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청주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3. 이명철(2015), "요양보호사의 [22] 근무환경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직무만족의 매개효과 검증", 협성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4. 성해석(2019), "요양보호사의 감정노동과 피로도가 직무만족도와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한려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5. 양혜순(2011), "노인장기요양기관 요양보호사의 이직의도에 영향요인 연구", 목원대학교 산업정보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6. Price, J. L., & Mueller, C. W.(1981), "A causal model of turnover for nurser", Academy of Management Journal, 24(3), pp. 543-564..
  27. Mobley. R. T., porter, L. W., & Steers. R. M. (1982), "Employee-organlzation linkages; The psychology of Commitment, Absenteeism, and Turnover". New York; Academic press.
  28. 박영희(2017), "시설요양보호사의 직장 내 갈등과 갈등해결방식이 소진과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호서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9. 손운선(2012), "병원종사자의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이 이직의도와 조직갈등에 미치는 영향", 원광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30. 홍정영(2014), "요양보호사의 감정노동과 소진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대구한의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31. 이윤경.김종관(2013), "팀 인력다양성이 팀효과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갈등과 성찰성의 매개효과", 인적자원관리연구, 제20권 4호, pp. 179-200.
  32. Jehn, K. A., & Bendersky, C. (2003), "Intragroup conflict in organizations: A contingency perspective on the conflict-outcome relationship", Research in Organizational Behavior, 25, pp. 187-242..
  33. 조수연 (2006), "팀 내 갈등 측정도구 개발 및 타당화", 성균관대학교, 석사학위논문.
  34. 김은자(2023), "공유리더십이 팀 학습행동을 매개로 팀 효과성에 미치는 영향-과업갈등과 관계갈등의 인과성을 중심으로", 목포대학교, 박사학위논문.
  35. Baron, R. M., & Kenny, D. A. (1986), "The moderator-mediator variable distinction in social psychological research: Conceptual, strategic, and statistical considerations. Journal of Personality and Psychology", 51(6), p. 117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