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impact of smartphone addiction on depression among office workers: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 of growth mindset

직장인들의 스마트폰 중독이 우울감에 미치는 영향: 성장 마인드셋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Eun Kyung Ryu (MEG Fermentation Research Institute) ;
  • Hyeock Jin Kim (Dept. of Computer engineering, Chungwoon University)
  • 유은경 (엠이지 발효연구원) ;
  • 김혁진 (청운대학교 컴퓨터공학과)
  • Received : 2024.10.03
  • Accepted : 2024.10.17
  • Published : 2024.10.31

Abstract

This study was conducted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 of growth mindset on the effect of smartphone addiction on depression in office workers.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office workers living in Chungcheong, Seoul, and Daejeon, a total of 286 people.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PC+ Win. Ver. 25 for descriptive statistics, reliability analysis, t-test, ANOVA, correlation analysis, and mediating effect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smartphone addiction showed differences according to age and marital status among general characteristics. Second, smartphone addiction showed a negative correlation with growth mindset an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depression. Third, the results of the regression analysis showed that growth mindset had a mediating effect between smartphone addiction and depression in men. However, growth mindset did not show a mediating effect between smartphone addiction and depression in women. Based on these results, future research directions were suggested and policy measures were proposed.

본 연구는 직장인을 대상으로 하여 스마트폰 중독이 우울감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성장 마인드셋의 매개 효과를 검증하는 데 목적을 두고 수행되었다. 조사대상은 충청, 서울 및 대전 지역에 거주하는 직장인들이며 총 286 명이었다. 자료는 SPSS PC+ Win. Ver. 25를 통하여 기술통계 분석, 신뢰도 분석, 차이검정(t-test, ANOVA), 상관 분석 및 매개효과 회귀분석을 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스마트폰 중독은 일반적특성 중 연령, 결혼상태에 따라 차이를 보였다. 둘째, 스마트폰 중독은 성장 마인드셋과 부적 상관관계, 우울감과는 정적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셋째, 회귀분석 결과 남성인 경우 스마트폰 중독과 우울감 사이에서 성장 마인드셋은 매개효과를 보였다. 그러나 여성인 경우 스마트폰 중독과 우울감 사이에서 성장 마인드셋은 매개효과를 보이지 않았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연구 방향을 제시하였고 정책적 방안을 제안하였다.

Keywords

Acknowledgement

본 연구는 2024년도 청운대학교 학술연구조성비 지원을 받아 수행되었음

References

  1. https://kosis.kr/statHtml/statHtml.do?orgId=101&tblId = DT_2KAAA10
  2. 임선아, 이순아. (2022). 초등학교 고학년의 스마트폰 의존과 학업열의 간의 관계에서 정서문제, 사회 관계, 학습시간의 매개효과. 아동교육, 31(3), 159-177.
  3. 과학기술정보통신부, 2023 스마트폰 과의존 실태조사, 2023, 53-54.
  4. 도명애, 서석진, 박채진. (2018). 대학생의 스마트폰 중독 국내 학술지 연구 동향: 스마트폰 중독 원인과 결과를 중심으로.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8(4), 117-141.
  5. 김상우,. 이진, 이병희. (2018). 스마트폰 사용정도에 따라 후기 청소년들의척추건강에 미치는 영향: 인지강도의 조절효과 중심으로. 재활복지, 22(2), 213-230.
  6. 박용민. (2011). 성인들의 스마트폰 중독과 정신건강에 관한 연구, 상지대학교, 석사학위논문.
  7. Hamamura T, & Kobayashi N, & Oka T. (2023) Validity, reliability, and correlates of the Smartphone Addiction Scale? Short Version among Japanese adults. BMC Psychology, 11(78).
  8. 이민선, 이은진. (2024). 사회복무요원의 우울 증상과 정신건강. 정신간호학회지, 33(1), 1-8.
  9. 배미영, 권은주. (2024). 유아교사의 무아, 스트레스, 우울의 상관관계. 생태유아교육연구, 23(1), 95-116.
  10. Dweck C. S. Mindset the new psychology of success. New York: Random House Inc; 2016.
  11. 왕양, 왕문성, 이창식. (2024). 중국 대학생의 성장 마인드셋과 학업성취의 관계에서 행복과 희망의 이중매개효과. 산업진흥연구, 9(1), 241-248.
  12. 박정미, 김여정, 천성문. (2017). 진로포부와 스마트폰 중독과의 관계에 미치는 성취목표지향성의 조절효과에 관한 연구: 마이스터고 남학생의 경우. 재활심리연구, 24(4), 603-622.
  13. Thomee, S., Harenstam, A., & Hagberg, M. (2011). Mobile phone use and stress, sleep disturbances, and symptoms of depression among young adults: A prospective cohort study. BMC Public Health, 11(66), 1-11.
  14. Schroder, H. S., & Dawood, S., & Yalch, M. M., & Donnellan, M. B., & Moser, J. S. (2017). The role of implicit theories in mental health symptoms, emotion regulation, and hypothetical treatment choices in college students. Cognitive Therapy and Research, 41(3), 684-698.
  15. Schleider, J. L., & Abel, M. R., & Weisz, J. R. (2015). Implicit theories and youth mental health problems: A random-effects meta-analysis. Clinical Psychology Review, 35, 1-9.
  16. Yeager, D. S., & Trzesniewski, K. H., & Dweck, C. S. (2016). An implicit theories of personality intervention reduces adolescent aggression in response to victimization and exclusion. Child Development, 87(4), 1350-1363.
  17. 한국정보화진흥원. (2011). 스마트폰 중독 진단척도 개발연구, 38-65..
  18. 배미영. (2009). 아동우울척도의 구성과 타당화. 한국심리학회지:학교, 6(3), 265-289.
  19. Beck. A. T. (1977). Depression: Causes and treatment. Philadelphia, PA: University of Pennsylvania Press, 9-15.
  20. 양혜경. (2014). 개인적, 환경적, 매체 특성적 요인이 초등학생의 스마트폰 중독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1. 엄기영, 김혜선, 김선주, 김은미. (2021). 기혼남성의 스트레스와 스마트폰 중독의 관계에서 우울의 매개효과와 연령의 조절효과. 융합정보논문지, 11(8), 129-13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