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Impact of Family Functioning on Self-Differentiation in College Student

가족기능이 대학생의 자기분화에 미치는 영향

  • ji-yeon Kang (Department of Social Welfare, Shinhan University) ;
  • Ri-a Lee (Arim Research Institute) ;
  • Won-Sun Lim (Department of Social Welfare, Shinhan University)
  • 강지연 (신한대학교 대학원 사회복지학과) ;
  • 이리아 (아림연구소) ;
  • 임원선 (신한대학교 사회복지학과)
  • Received : 2024.09.30
  • Accepted : 2024.10.24
  • Published : 2024.10.31

Abstract

This study aims to identify healthy family functions that can help university students, who are in the transitional phase from late adolescence to adulthood, establish self-differentiation, which is a critical developmental task for them. The research examines whether family function medi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family function and self-differentiation, and aims to provide foundational data for the development of programs to support stable self-differentiation in university students and policies to enhance family function. To achieve this, a self-report online survey was conducted with 204 university students enrolled in a university located in Northern Gyeonggi Province. The SPSS 25.0 program was used for data analysis, including calculating internal consistency, conducting frequency analysis to understand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tudy subjects, descriptive statistics to determine the level of research variables, independent sample t-tests, ANOVA, and post-hoc tests to identify differences in research variables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study subjects, and using the SPSS Process Macro to test mediation effects. The results showe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family function and self-differentiation, indicating that family function significantly influences the establishment of self-differentiation. These findings suggest that family function plays a crucial role in the development of self-differentiation and provide foundational data for practical support in education aimed at fostering healthy families.

본 연구는 후기 청소년기에서 성인기로 진입하는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자기분화를 확립할 수 있도록 건강한 가족기능을 찾는 데 목적이 있다. 가족기능이 자기분화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 안정적인 자기분화 확립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과 가족기능 향상을 위한 정책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경기북부 소재 대학에 재학중인 대학생 204명을 대상으로 자기보고식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SPSS 25.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내적합치도를 산출하고, 빈도분석, 기술통계분석, 독립표본 t검정, 분산분석 및 사후검정을 실시하였으며, 매개효과 검증을 위해 SPSS Process Macro를 활용한 분석을 진행하였다. 분석 결과, 가족기능은 자기분화에 유의한 정(+)의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이는 가족기능이 자기분화를 확립하는 데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시사한다. 이러한 결과는 건강한 가족을 위한 교육을 지원하기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것이다.

Keywords

References

  1. 유영주(2004), 가족강화를 위한 한국형 가족건강성 척도개발 연구, 한구가족관계학회지, 9(2), pp, 119-151..
  2. 성영혜.신귀순(2001). 가족기능과 아동의 자기역량 지각 및 대인관계성향과의 관계: 가족적응력과 가족 결속력을 중심으로. 한국가족복지학, 6(2), 45-63.
  3. 김정운(2016), "청소년용 가족기능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충북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4. 김정운(2016), "청소년용 가족기능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충북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5. Bowen, M. (1976). Theory in the practice of psycho therapy. In Guerin, P. J. (ed). Family therapy. Ne York: Gardner Press.
  6. 김내원(2015), "대학생의 자아분화와 결혼관의 상관관계성에 대한 목회상담학적 연구", 총신대학교, 박사학위논문.
  7. 서루비(2014), "대학생용 자기분화 척도 개발 및 타당화", 경성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8. Noller, P,, Seth-Smith, M., Bouma, & Schewtzer, R (1992) Parent and adloescent perceptions od family functioning: a comparison of cli,ix and nonclinic fa milies. Journal od Adolescence, 15, 101-114.
  9. 이지원(2006), "가족기능이 대학생의 결혼관 및 자녀관에 미치는 영향", 영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0. 성주섭(2017), "사회복지전담공무원의 직무스트레스가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 : 가족기능 및 사회적지지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경성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1. 박영진(2024), "대학생이 인식하는 자아분화, 가족기능, 자아존중감, 심리적 안녕감이 대학 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한국상담심리교육복지학회, 상담심리교육복지(2), pp 225-24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