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체류형 관광도시 활성화를 위한 중요도 분석: 전문가 인식을 중심으로

Importance Analysis for Revitalizing Residential Tourist Cities: Focusing on Expert Perception

  • 엄기복 (한양대학교 도시대학원) ;
  • 이명훈 (한양대학교 도시대학원 )
  • Ki Bok Eom ;
  • Myeong Hun Lee
  • 투고 : 2024.06.25
  • 심사 : 2024.08.10
  • 발행 : 2024.08.31

초록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importance of revitalizing residential tourism. As the global tourism trend shifts from stopover visits to stay-at-home tourism, interest in stay-at-home tourism is increasing, and the government is also providing a lot of budget support. In particular, a lot of research is being conducted in the academic field on policy areas for residential tourism. However, most studies stop at suggesting policies. In this study, the importance of revitalizing residential tourism was derived focusing on city and tourism experts. First, three Delphi surveys were conducted with 12 experts, and four major factors (residence-type tourism marketing strategy, residence-type tourism infrastructure, residence-type tourism products, attraction of residence-type tourists) and 16 lower-level factors were derived. A structured questionnaire was created focusing on this indicator, and AHP (Analytic Hierarchy Process) analysis was conducted on 30 experts. As a result of the AHP analysis, the factor with the highest importance among the top factors was lodging-type tourism products, followed by attraction of lodging-type tourists and lodging-type tourism infrastructure. Among the 16 sub-factors, the most important factor was analyzed as incentives for participating companies. The results of this study provided empirical implications for the policies being promoted by the government, local governments, and private operators to revitalize residential tourism cities.

키워드

참고문헌

  1. 곽은상, 민규식, "관광레저 개발사업의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부동산학회지, 제52권, 2013, 45-59. 
  2. 구형수, "소멸위기의 지방중소도시 근린지역, 맞춤형 정책대응이 필요하다",국토정책Brief, 국토연구원, 2018, 1-6. 
  3. 김동영, "도시관광의 현황 및 활성화방안: 전주한옥마을 중심으로", 전북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제37권, 제1호, 2013, 119-144. 
  4. 김동영, 이중섭, 송용호, 체류인구 활성화 방안, 전북연구원, 2020. 
  5. 김동완, "지방소멸의 시대, 생존전략으로서 균형발전", 월간 공공정책, 한국자치학회, 2015, 28-30. 
  6. 김송이, 강성은, "체류형 관광을 통한 관광 만족과 삶의 질 만족: 제주살기 경험자를 대상으로", 관광학연구, 제44권, 제3허, 2020, 147-159. 
  7. 김송이, 체류형 관광의 개념 및 특성분석과 정책적 이슈 도출, 한국문화관광연구원, 2019. 
  8. 김태호, 김학선, "빅데이터 분석을 활용한 체류형 울산 관광 활성화 방안에 대한 제언", 산업혁신연구, 제35권, 제1호, 2019, 47-76. 
  9. 김형수, 정영훈, "지방소멸 위기요인과 새로운 대응방안에 관한 연구: 정읍시를 중심으로", 비즈니스 융복합연구, 제7권, 제2호, 2022, 39-45. 
  10. 김형오, 김상엽, "뉴노멀시대, 전라북도 체류관광의 방향과 과제", 교통기술과정책, 제18권, 제1호, 2021. 
  11. 류시영, "체류형 관광과 관계인구 관련 정책사례", 한국관광학회국제학술발표대회집, 2022, 498-507. 
  12. 문화체육관광부, 국민여행조사 보고서, 2020. 
  13. 민성희, "인구감소 시대의 국토계획", 국토연구원, 2018, 23-28. 
  14. 박구원, "일본 관광통계를 통해 본 체류형 숙박관광의 이용 및 구성체계", 동북아관광연구, 통권 제8권 제2호, 2012, 35-54. 
  15. 변수녀, 최병길, "관광의 동기, 만족 및 관광지 충성도간의 관계 구조모델", 관광레저연구, 제19권, 제3호, 2007, 29-48. 
  16. 심문섭, "여행사 소셜미디어 정보특성과 인게이지먼트, 브랜드 태도, 행동의도 연구", 융합관광콘텐츠연구, 제9권, 제1호, 2023, 41-56. 
  17. 이덕순, "관광동기, 관광지 이미지,만족도 및 행동의도에 관한 연구", 관광연구, 제29권, 제4호, 2014, 309-334. 
  18. 이상훈, 류시영, "체류형 농촌방문객의 방문동기에 따른 숙박시설 선택속성과 체험활동 선호도 차이분석", 관광학 연구, 제40권, 제10호, 2016, 61-78. 
  19. 이항아, 김이태, "스마트관광 가상현실체험요소가 관광만족 및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현존감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관광레저연구, 제31권, 제5호, 2019, 53-67. 
  20. 전정숙, "공유형 숙박의 플랫폼 서비스 속성이 이용객의 만족 및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융합관광콘텐츠연구, 제8권, 제1호, 2022, 95-106. 
  21. Anantamongkolkul, C., K. Butcher, and Y. Wang, "Long-stay tourists: Developing a theory of intercultural integration into the destination neighbourhood", Tourism Management, Vol. 74, 2019, 144-154. 
  22. SAaaty, T.L., "How to make a decision: The analytic hierarchy process", Interfaces, Vol.24, No.6, 1994, 174-18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