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개인화된 정치의 제도적 기반에 대한 민주화 이후 초기 개혁 평가-노무현 전대통령의 선거제도 개혁과 정당체제 재편 전략에 대한 분석

Evaluation of the initial reform of the institutional basis for personalized politics after democratization - Analysis of former President Roh Moo-hyun's strategy for electoral system reform and party system change

  • 강우진 (경북대학교)
  • WooJin Kang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 투고 : 2024.09.22
  • 심사 : 2024.10.12
  • 발행 : 2024.10.31

초록

노무현 전 대통령의 정치역정을 관통하는 화두는 지역주의 극복과 정당체제 재편이었다. 노무현은 정치에 입문한 이후 집권 전까지는 부산지역에 출마하여 지역주의에 직접 도전하는 전략으로 이를 극복하고자 노력했다. 제16대 대선(2002)에서 집권한 후에는 선거제도 개혁을 전제로 제1야당에서 권력을 이양하는 대연정 제안을 통해서 지역주의를 극복하고 정당 체제 재편을 모색했다. 노무현의 전략은 비례성이 높은 선거제도를 도입하여 거대 양당이 상대 당의 정치적 기반에서 의석 확보가 가능하게 하는 것이었다. 노무현은 이러한 개혁을 통해서 정치의 개인화를 극복하고 이념과 정책에 기반을 둔 정당 체제로 전환할 수 있다고 믿었다. 하지만 노무현의 전략은 당 내외의 반발과 한나라당의 거부로 실현되지 못했다. 노무현의 지역주의 극복과 정당 체제 재편 전략은 이후 한국 정치에 경로 의존적 장기적 영향을 미쳤다.

The most essential task that ran through former President Roh Moo-hyun's political career was overcoming regionalism and transformation of the regional party system. After Roh Moo-hyun entered politics and before coming to power, he tried to overcome regionalism with a strategy of directly challenging regionalism by running for office in the Busan region. After winning the 16th presidential election, he sought to overcome regionalism and transforming the party system by proposing a grand coalition to transfer power to the main opposition party on the premise of reforming the electoral system. Roh Moo-hyun's strategy was to enable the two major parties to secure seats in each other's strongholds by introducing a highly proportional electoral system. However Roh Moo-hyun's strategy was not realized due to opposition from inside and outside the party and rejection by the Grand National Party. Roh Moo-hyun's strategy had a path-dependent long-term impact on subsequent Korean politics.

키워드

과제정보

이 논문은 2022년 대한민국 교육부와 한국연구재단의 지원을 받아 수행된 연구임(NRF2022S1A3A2A01089543).

참고문헌

  1. 김대중. (2006). 김대중 자서전(1)(2). 서울: 삼인.
  2. 새천년민주당. (2002). 당당한 대한민국 떳떳한 노무현-16대대통령선거핵심공약/4대비전 20대기본정책 150대 핵심과제. 서울: 새천년민주당.
  3. 심지연. (2004). 한국 정당 정치사: 위기와 통합의 정치. 서울: 백산서당.
  4. 중앙선거관리위원회. (2009a). 大韓民國選擧史 . 第4輯 , 1980.1.1.~1988.2.24. 과천: 중앙선거관리위원회.
  5. 중앙선거관리위원회. (2009b). 大韓民國選擧史 . 第5輯 , 1988.2.25.~1993.2.24. 과천: 중앙선거관리위원회.
  6. 중앙선거관리위원회. (2016a). 大韓民國選擧史 . 第7輯 , 1998.2.25.~2003.2.24. 과천: 중앙선거관리위원회.
  7. 중앙선거관리위원회. (2016b). 大韓民國政黨史 . 第6輯 , 1998.2.25.~2003.2.24. 과천: 중앙선거관리위원회.
  8. 최장집. (1989). 한국정치의 구조와 변화. 서울: 까치.
  9. 평화민주당. (1989). 1988 상-정책토론회 자료집: 정책과 전망. 서울:학민사.
  10. 강우진(2024). 민주화 이후 정당정치의 발전과 과제.
  11. 신진욱, 한홍구, 김동춘, 강우진, 한상희, 하네스 모슬러 (2024). 김대중 시대의 민주주의와 인권. 지식산업.
  12. 강우진. (2020). 한국의 준연동형 선거제도 개혁과정 평가-주체, 목적, 정치적 결과를 중심으로. 21세기정치학회보, 30권 4호.
  13. 서복경. (2011). 제도개혁의 정치. 현대정치연구, 4권 2호.
  14. 국민 여러분께 드리는글-우리정치, 진지한 토론이 필요하다 : 대통령 연설문. 노무현사료관. https://archives.knowhow.or.kr/m/rmh/letter/view/87214?page=3 (검색일: 2024.3.12.).
  15. 권영준. (2011). 명함으로 본 노무현 대통령 발자취 대통령.정치인.법조인 노무현 명함을 찾습니다!. 노무현사료관. https://archives.knowhow.or.kr/president/story/view/945?cId=912 (검색일: 2024.4.10.).
  16. 권영준. (2012). "가자! 노무현과 함께, 사람사는 세상으로!". 노무현사료관. https://archives.knowhow.or.kr/m/president/story/view/948?cId=912 (검색일: 2024.3.28).
  17. 권영준. (2012). 지역주의에 맞서 바보 노무현이 되다 1996년 종로 국회의원 출마, 2000년 다시 부산으로. 노무현사료관. https://archives.knowhow.or.kr/president/story/view/949?cId=912 (검색일: 2024.5.3).
  18. 김경환. (1999년 3월). 인터뷰 부산.경남 출마 선언한 노무현 국민회의 부총재. 월간 말. file:///C:/Users/PC-3795/Downloads/%EC%9D%B8%ED%84%B0%EB%B7%B0%20%EB%B6%80%EC%82%B0%C2%B7%EA%B2%BD%EB%82%A8%20%EC%B6%9C%EB%A7%88%20%EC%84%A0%EC%96%B8%ED%95%9C%20%EB%85%B8%EB%AC%B4%ED%98%84%20%EA%B5%AD%EB%AF%BC%ED%9A%8C%EC%9D%98%20%EB%B6%80%EC%B4%9D%EC%9E%AC.pdf (검색일: 2024.6.18.).
  19. 김봉선.박래용. (2002년 10월 7일). 노무현후보 "다수당에 총리 지명권". 경향신문. https://www.khan.co.kr/politics/assembly/article/200210071843331 (검색일: 2024.5.10).
  20. 노무현사료연구센터. (2012). 민주주의 3단계론. 노무현사료관. https://archives.knowhow.or.kr/m/rmh/quotation/view/714 (검색일: 2024.00.00).
  21. 노무현재단 엮음. 유시민 정리. (2019). 노무현 자서전: 운명이다. 경기: 돌베개.
  22. 대한민국 제13대 국회의원 선거. 위키피디아. https://ko.wikipedia.org/wiki/%EB%8C%80%ED%95%9C%EB%AF%BC%EA%B5%AD_%EC%A0%9C13%EB%8C%80_%EA%B5%AD%ED%9A%8C%EC%9D%98%EC%9B%90_%EC%84%A0%EA%B1%B0 (검색일: 2024.6.7.).
  23. 대한민국 제13대 대통령 선거. 위키피디아. https://ko.wikipedia.org/wiki/%EB%8C%80%ED%95%9C%EB%AF%BC%EA%B5%AD_%EC%A0%9C13%EB%8C%80_%EB%8C%80%ED%86%B5%EB%A0%B9_%EC%84%A0%EA%B1%B0 (검색일: 2024.6.10.).
  24. 사람사는세상노무현재단 사료편찬특별위원회. (2012). 이호철 구술녹취문3 : 1995년 부산시장 선거 당시 지역등권론과 노무현의 선택. 노무현사료관. https://archives.knowhow.or.kr/m/memorial/all/view/2052747 (검색일: 2023.12.12.).
  25. 열린우리당 당원 여러분께 드리는 글(2) : 대통령 연설문. 노무현사료관. https://archives.knowhow.or.kr/m/rmh/letter/view/87216?page=3 (검색일: 2024.6.2.).
  26. 吳民秀. (1999년 2월 18일). 국민회의 노무현 부총재 "지역 감정 철벽, 정면 돌파로 뚫겠다". 시사저널. https://www.sisajournal.com/news/articleView.html?idxno=97589 (검색일: 2024.5.18.).
  27. 이용호. (1991년 6월 29일). 선거구제 싸고 "불꽃타산" 이해 엇갈린 개정 방향. 경향신문. https://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aver?articleId=1991062900329102006&editNo=15&printCount=1&publishDate=1991-06-29&officeId=00032&pageNo=2&printNo=14095&publishType=00010 (검색일: 2024.7.9.).
  28. 장병수. (1991년 6월 27일). 「의원선거법 개정」 활발한 탐색. 동아일보. https://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aver?articleId=1991062700209203003&editNo=2&printCount=1&publishDate=1991-06-27&officeId=00020&pageNo=3&printNo=21515&publishType=00020 (검색일: 2024.5.26.).
  29. 정병진.신효섭. (1991년 7월 24일). "중.대선거구제" 커지는 목소리/야권일부서 적극호응... 공론화 양상. 한국일보. https://www.hankookilbo.com/News/Read/199107240088322958 (검색일: 2024.6.20.).
  30. 정치개혁 입법과 관련한 대국민 서신 : 대통령 연설문. 노무현사료관. https://archives.knowhow.or.kr/record/all/view/86755 (검색일: 2024.3.27).
  31. 정치개혁 입법과 관련한 대국회 서신 : 대통령 연설문. 노무현사료관. https://archives.knowhow.or.kr/m/rmh/letter/view/86755?page=1 (검색일: 2024.3.4.).
  32. 제16대 대통령선거 새천년민주당 후보경선 출마 기자회견문. 노무현사료관. https://file3.knowhow.or.kr/record/document/view/21557?page=135 (검색일: 2024.4.30.).
  33. 제238회 임시국회 국정연설: 대통령 연설문. 노무현사료관. https://archives.knowhow.or.kr/record/all/view/85956 (검색일: 2024.4.29.).
  34. 최현빈. (2023). 노무현의 꿈, 선거제도 개혁 지역주의, 분열주의를 극복하기 위한 노무현의 노력. 노무현사료관. https://archives.knowhow.or.kr/m/president/story/view/5253 (검색일: 2024.5.28).
  35. 취임 2주년 국회 국정연설. 노무현사료관. https://archives.knowhow.or.kr/m/record/all/view/87083?page=48 (검색일: 2024.5.26).
  36. Bartolini, S and Mair, P. (2007). Identity, competition, and electoral availability: The stabilisation of European electorates, 1885-1985. ECPR Press. (Original work published in 1990).
  37. Cox GW. (1997). Making Votes Count: Strategic Coordination in the World's Electoral Systems. New York and London: Cambridge Univ. Press.
  38. Lijphart, Arend. (1994). Electoral Systems and Party Systems.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39. Lipset, S. M., & Rokkan, S. (1967). Cleavage Structures, Party Systems and Voter Alignments: An Introduction. In S. M. Lipset & S. Rokkan (Eds.), Party Systems and Voter Alignments: Cross-National Perspectives. New York: Free Press.
  40. Maurice Duverger. (1954). Political parties, their organization and activity in the modern state. First English language edition published July 15th University printing house, Cambridge.
  41. Rae, Douglas. (1967). The Political Consequences of Election Laws. New Haven, CT: Yale University Press.
  42. Torcal, M., & Mainwaring, S. (2003). The Political Re-Crafting of Social Bases of Political Competition. British Journal of Political Science. 33.
  43. Neto Octavio and Gary W. Cox. (1997). Electoral Institutions, Cleavage Structures, and the Number of Parties. American Journal of Political Science, 4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