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Korean Diaspora and Public Diplomacy: Toward a 'Polylateral Peace Diplomacy'

다종적 평화 외교로서 재외동포 공공외교의 가능성과 한계에 대한 탐색

  • Juyeong Koh (Overseas Koreans Cooperation Center) ;
  • Min-Seok Gong (Department of Political Science and Diplomacy, Jeju National University)
  • 고주영 (재외동포협력센터) ;
  • 공민석 (제주대학교 정치외교학과)
  • Received : 2024.09.10
  • Accepted : 2024.10.12
  • Published : 2024.10.31

Abstract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possibilities and limitations of Korean diaspora public diplomacy as a form of polylateral diaspora diplomacy, and to seek alternative approaches. In Korea's public diplomacy policy, the participation of diaspora communities has remained limited, and their potential has yet to be fully reflected in the policy. For diaspora public diplomacy to hold significance as an alternative to traditional diplomacy, it must propose alternatives that maximize the ontological characteristics of overseas Korean communities as deterritorialized entities, along with their multilingual and multicultural potential. Polylateral diplomacy is based on diaspora's capability as a "global imagined community" with a hybrid identity, that connects various non-state actors. Furthermore, from this perspective, this study evaluates the diaspora public diplomacy of Israel and Ireland and seeks to draw implications for Korea's public diplomacy. For Korea's diaspora public diplomacy to evolve into polylateral diaspora public diplomacy, the diaspora communities must secure autonomy from the state and be able to engage with various actors in civil society. Additionally, it must fill the content of public diplomacy with universal values. Considering the history and identity of the Korean diaspora as well as the situation on the Korean Peninsula, special attention can be given to the significance of the concept of peace.

본 연구의 목적은 다종적 평화 외교로서 한국 재외동포 공공외교의 가능성과 한계를 탐색하고, 대안을 모색하는 것이다. 한국의 재외동포 공공외교 정책에서 재외동포의 참여는 여전히 제한적이었고, 재외동포의 잠재력은 여전히 재외동포 공공외교 정책에 반영되지 못했다. 한국 재외동포 공공외교가 디아스포라 외교, 디아스포라 공공외교로서 의미를 갖기 위해서는 탈영토적 존재로서 재외동포 집단의 존재론적 특성, 그리고 다언어적, 다문화적 잠재력을 극대화하고 전통적 외교를 전변시킬 수 있는 대안을 제시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혼종적인 정체성을 갖는 '글로벌 상상의 공동체'로서 디아스포라가 다양한 층위의 비국가 행위자들을 결합하는 다종적 외교를 대안으로 제시하고, 이스라엘과 아일랜드의 디아스포라 공공외교를 비판적으로 평가했다. 이를 바탕으로 한국의 재외동포 공공외교를 다종적인 디아스포라 공공외교로 발전시키기 위한 대안으로 재외동포 집단의 주체성과 자율성을 제고하는 동시에, 평화라는 보편적 가치를 통해 공공외교의 내용을 채워나가야 함을 제안했다.

Keywords

Acknowledgement

이 논문은 2024학년도 제주대학교 교원성과지원사업에 의하여 연구되었음.

References

  1. 김상배. (2019). "디지털외교와공공외교". 지구화시대의공공외교(1). 서울: 사회평론아카데미.
  2. 신범식. (2019). "디아스포라와공공외교". 지구화 시대의 공공외교(1). 서울: 사회평론아카데미.
  3. 이스라엘 공공외교및디아스포라부. (2012). Global Village 2012 국제회의 참가 결과보고서. 서울: 재외동포재단.
  4. 이진영. (2022). 지구촌 한인과 공공외교. 인천: 디자인장이.
  5. 김용찬. (2018). 재외동포정책의 역사적 평가와 과제. 민족연구 72호
  6. 김재기&정금칠. (2015). 미국 버지니아의회의 동해병기법과 재미한인 디아스포라의 정치활동. 한국동북아논총 74호.
  7. 김태경. (2022). 코리안 디아스포라와 한반도 평화구축. 국제전략 Foresight 12호.
  8. 남성욱, 이현주, 정유석, 박용한, 조평세&곽은경. (2016). 글로벌 한인 통일네트워크 구축에 관한 연구. 통일문제연구 28권 1호.
  9. 리단. (2015). 한반도 통일 공공외교. 재외한인연구 35호.
  10. 손혜현. (2021). 중남미 디아스포라 국민외교 아르헨티나 한인디아스포라의 코로나 19 방역 연대활동을 중심으로. 정책연구시리즈 27호.
  11. 윤인진. (2012). 디아스포라와 초국가주의의 고전 및 현대 연구 검토. 재외한인연구 28권.
  12. 이용재. (2015). 한국의 재외동포정책의 과정과 과제. 민족연구 61호.
  13. 이진영&김판준. (2015). 통일과 동북아 평화를 위한 재외동포의 역할 모색. 재외한인연구 37호.
  14. 이희영. (2012). (탈)분단과 국제이주의 행위자 네트워크: '여행하는' 탈북 난민들의 삶과 인권에 대한 사례연구. 북한연구학회보 17권 1호.
  15. 전재호. (2008). 세계화 시기 한국 재외동포정책의 쟁점과 대안: 재외동포법과 이중국적을 중심으로. 한국과 국제정치 24권 2호
  16. 전형권. (2004). 글로벌 민족네트워크와 각국의 동포정책: 인도와 이스라엘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동북아논총 33호.
  17. 정성호. (2008). 코리안 디아스포라. 한국인구학 제31권 제3호.
  18. 정영국. (2013). 한국의 재외동포정책에 관한 연구: 글로벌재외동포정책의 수립과 전개를 중심으로. 국민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9. 외교부. (2017). 제1차 대한민국 공공외교 기본계획. 외교부.
  20. 외교부. (2023). 제2차 대한민국 공공외교 기본계획. 외교부.
  21. 재외동포청. (2024). 제1차 재외동포정책 기본계획 확정. 재외동포청.
  22. 이석호.(2020년05월01일). 사할린동포 지원 법적 근거 마련... '사할린동포특별법' 국회 통과. World Korean.
  23. 이승윤.(2020년05월21일). 제20대 국회 마지막 본회의 통과된 법률 보니. 법률신문.
  24. Balibar, Etienne. (1995). "Culture and Identity". in John Rajchman(ed..). The Identity in Question. New York: Routledge.
  25. Balibar, Etienne. (2002). Politics and the Other Scene. London: Verso Verso.
  26. Balibar, Etienne. (2004). We, the People of Europe?: Reflections on Transnational Citizenship. Princeton, NJ: Princeton University Press.
  27. Benhabib, Seyla. (2004). The Right of Others: Aliens, Residents and Citizens. New York: Cambridge University Press.
  28. Bhabha, Homi, K. (1994). The Location of Culture. London;New York: Routledge.
  29. Gonzalez III JL. (2012). Diaspora Diplomacy. Minneapolis: Mill City.
  30. Kaldor, Mary. (2001). New and Old Wars. Stanford University Press.
  31. Wiseman G. (2004). "'Polylateralism' and New Modes of Global Dialogue". in Jonsson C and Langhorne R(eds.). Diplomacy. Thousand Oaks: Sage.
  32. Balibar, Etienne. (2006). Sub specie universitatis. Topoi 25(1-2).
  33. Balibar, Etienne. (2009). Europe as Borderland. Society and Space 27(2).
  34. Collyer M and King R. (2014). Producing Transnational Space. Progress in Human Geography 39(2).
  35. Delaney, E. (2006). Symposium: Perspectives on the Irish Diaspora. Irish Economic and Social History 33.
  36. Delano A & Gamlen A. (2014). Comparing and Theorizing State-Diaspora Relations. Political Geography 41.
  37. Cohen N. (2017). Diaspora Strategies. Geography Compass 11(3).
  38. Hickman, Mary. (2002). Locating the Irish Diaspora. Irish Journal of Sociology 11(2)
  39. Ho, Elaine. (2011). 'Claiming' the Diaspora. Progress in Human Geography 35(6).
  40. Ho, Elaine. & McConnell, Fiona. (2019). Conceptualizing 'Diaspora Diplomacy'. Progress in Human Geography 43(2).
  41. Ragazzi F. (2009). Governing Diasporas. International Political Sociology 3(4).
  42. Safran, William. (2005). The Jewish Diaspora in a Comparative and Theoretical Perspective. Israel Studies 10.
  43. Tomiczek M. (2011). Diaspora Dplomacy about a New Dmension of Diplomacy, the Example of a New Emigration Non-Governmental Organisation. Journal of Education Culture and Society 2.
  44. Wiseman G. (2010). 'Polylateralism': Diplomacy's Third Dimension. Public Diplomacy Magazine 1(Summer).
  45. AJC. (2024). WHO WE ARE. American Jewish Committee.
  46. CAM. (2024). Meet the Combat Antisemitism Movement. Combat Antisemitism Movement.
  47. Department of Foreign Affairs of Ireland. Emigrant Support Programme. Department of Foreign Affairs.
  48. IAU. (2023). Ministerial Note, Jan 31. (검색일: 2023.10.30.)
  49. NKASEC(National Korean American Service&Education Consortium). Adoptees For Justice. NAKSEC.
  50. Government of Ireland. (2020). Ireland's Diaspora Strategy 2020-2025. Department of Foreign Affairs.
  51. Hickman, Mary. (2022). Ireland's Diaspora Policy. Paper presented at Academic Forum on Overseas.
  52. Hickman, Mary. (2015). Aspects of Irish Diaspora. Paper presented at Luton Irish Centre.
  53. Klein. Zvika.(2023, January 2). Israel's Diaspora Ministry to be renamed for fighting antisemitism. The Jerusalem Po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