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이 글은 미중 전략경쟁과 우크라이나 전쟁 발발 이후 확산되고 있는 신냉전 다극화 시대 동북아 안보환경의 변화와 전망을 시도하고 있다. 우크라이나 전쟁 이후 미중러 전략적 신삼각관계가 변화가 동북아 안보환경에 전례 없이 크게 영향을 미치기 시작했다. 이 글의 분석 대상은 미중 전략경쟁과 우크라이나 전쟁이라는 두 가지 요인이 동북아 안보환경에 어떤 변화를 초래했는지이다. 구체적으로 말하면, 북중러 삼각관계와 3개의 양자관계인 중러, 북중, 북러 관계의 최근 변화와 전망이다. 이 연구주제를 분석하기 위해 3가지 변수를 설정하여 연구디자인을 했다. 즉 독립변수, 매개변수, 종속변수이다. 독립변수는 미중관계의 변화와 미러관계의 변화이다. 촉진요인인 매개변수는 미중 전략경쟁과 우크라이나 전쟁이다. 한편으로 미중관계의 대립이 전략경쟁을 초래했고, 다른 한편으로 미러관계의 갈등이 우크라이나 전쟁을 초래했다. 또한 두 독립변수는 두 매개변수에 의해 영향을 받을 수 밖에 없다. 특히 미중러 세 강대국의 국내 정치적 요인이 크게 작용하여 두 개의 매개변수를 초래했다고 가정한다. 독립변수와 매개변수가 작용하여 동북아 안보위기를 촉진시키고 있다. 그 결과 종속변수로서 동북아 안보환경의 위협요인들이 출현하게 되었다. 북중러 삼각관계와 그 내부 3개의 양자관계의 변화, 북방삼각 대 남방삼각 대립 등이다. 첫 번째 매개변수인 전략경쟁이 작동하여 동북아 안보환경의 여러 변화를 초래했다. 즉 중러관계의 준동맹화, 북중관계의 회복 및 강화, 한미일 삼각안보 협력 강화, 북중러 삼각협력의 필요성 증대 등이다. 두번째 매개변수인 우크라이나 전쟁은 중러관계의 강화, 북러 관계의 급진전과 재동맹화, 한미일 삼각동맹화 촉진, 북중러 삼각협력의 등장 등이다.
This article attempts to analyze the changes and prospects of the Northeast Asian security environment in the era of New-Cold War & multipolarity that has been spreading since the outbreak of the US-China strategic competition and the war in Ukraine. Since the war in Ukraine, changes in the new strategic triangle between the United States, China, and Russia have begun to have an unprecedented impact on the Northeast Asian security environment. This article analyzes how the two factors, the U.S.-China strategic competition and the war in Ukraine, have led to changes in the Northeast Asian security environment. More specifically, the recent changes and prospects of the China-Russia-North Korea triangle and the three bilateral relationships, China-Russia, China-North Korea, and Russia-North Korea. To analyze this research topic, the research design is based on three variables: independent, mediating, and dependent variables. The independent variables are changes in U.S.-China relations and changes in U.S.-Russia relations. The mediating variables are the US-China strategic competition and the war in Ukraine. On the one hand, the confrontation between the U.S.-China relationship led to a strategic competition, and on the other hand, the conflict between the U.S.-Russia relationship led to the war in Ukraine. In addition, the two independent variables can only be influenced by the two mediating variables. In particular, we assume that the domestic political factors of the three major powers, the United States, China, and Russia, played a significant role in causing the two mediating variables. The independent variables and mediating variables work together to promote the Northeast Asian security crisis. As a result, threats to the Northeast Asian security environment have emerged as the dependent variable. The dependent variables are the North Korea-China-Russia triangle, changes in the three bilateral relationships within the triangle, and the confrontation of Northern Triangle versus Southern Triangle. The first mediating variable, strategic competition, has led to several changes in the Northeast Asian security environment: the quasi-alliance of Sino-Russian relations, the restoration and strengthening of North Korea-China relations, the strengthening of trilateral security cooperation between the United States, Japan and South Korea, and the increasing necessity of Sino-Russian-North Korean trilateral cooperation. The second mediating variable, the war in Ukraine, has led to the strengthening of Sino-Russian relations, re-alignment of North Korea-Russia relations, the promotion of the US-Japan-ROK triangular alliance, and the emergence of the China-Russia-North Korea triangular coope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