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rends and Issues of Garden City Municipal Projects in Korea

국내 정원도시 프로젝트 추진 동향과 쟁점

  • Lee, Myeong-Jun (School of Plant Science & Landscape Architecture, Hankyong National University) ;
  • Oh, Ji-Young (School of Plant Science & Landscape Architecture, Hankyong National University) ;
  • Choy, Yeon-Bin (School of Plant Science & Landscape Architecture, Hankyong National University)
  • 이명준 (한경국립대학교 식물자원조경학부) ;
  • 오지영 (한경국립대학교 식물자원조경학부) ;
  • 최연빈 (한경국립대학교 식물자원조경학부)
  • Received : 2024.08.13
  • Accepted : 2024.10.02
  • Published : 2024.10.31

Abstract

Recently, local governments in Korea have increasingly adopted the 'Garden City' slogan and implemented green space policies. This trend combines the expansion of urban green spaces with strategies for community engagement and urban branding, such as hosting garden expos. This study critically examines the theoretical and practical issues in the promotion of these garden city municipal projects. It first reviews existing literature to provide a historical account and redefines the concept of a garden city, identifying key theoretical perspectives: 'formation of a civic community,' 'establishment of eco-friendly urban systems,' and 'construction of urban identity.' The subsequent section briefly reviews legal framework and policies related to garden cities, analyzing the reorganization of major local government units into three types: 'establishment of dedicated units,' 'renaming of existing units,' and 'consolidation of existing units.' It then identifies significant issues in the promotion of garden city projects through the lens of theoretical perspectives, including 'ensuring project distinctiveness reflecting local identity,' 'expanding the garden concept,' 'integrating green and urban infrastructures through garden urbanism,' 'promoting resident participation and community revitalization,' and 'establishing sustainable management through inter-local governments and administrative units cooperation.' Finally, it suggests that the professional identity of landscape architects should evolve into urbanists who manage various types of green spaces.

최근 전국의 지자체들이 '정원도시'라는 슬로건을 채택하여 녹지 관련 정책을 추진하고 있다. 근래의 이러한 흐름은 도시 내 녹지 공간의 양적 확충과 더불어 주민들의 커뮤니티 활성화와 정원박람회 등의 행사 운영을 통한 도시 브랜딩 전략이 융합되어 있다. 이 연구는 국내 정원도시 프로젝트의 추진 동향을 살펴보면서 추진 과정에 내재된 이론적·실무적 쟁점을 비판적으로 논의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먼저 관련 선행 문헌을 검토하여 정원도시의 변천사 개관 및 정원도시 용어를 재정의하고, 주요 이론적 관점인 '시민 공동체 형성', '생태 친화적 도시 체계 조성', '도시 정체성 구축'을 도출했다. 다음으로 정원도시의 법제와 정책을 간단히 검토하고 정원도시 프로젝트의 추진 주체로서 지자체의 행정 조직 재편 양상을 분석해 '전담 부서 신설', '기존 부서 명칭 변경', '기존 부서 통폐합'으로 유형화했다. 이어서 앞서 도출한 이론적 관점을 바탕으로 국내 정원도시 프로젝트 추진 과정에서 나타나는 쟁점을 도출했다. 구체적으로, '지역성을 반영한 프로젝트의 차별성 확보', '정원 개념의 확장', '그린 인프라와 도시를 통합하는 가든 어바니즘', '주민 참여와 지역 공동체 활성화', '지속 가능한 관리와 지자체·부서 간 협력 체계 구축'이라는 쟁점이 관찰되었다. 마지막으로 정원도시 시대에 조경가의 전문성을 정원을 포함한 다양한 종류의 녹지를 통합적으로 다루는 어바니스트로서 제언했다.

Keywords

References

  1. 강희엽, 김형훈(2022) 국가정원 여가공간의 지속가능한 활용방안에 관한 연구: 순천만국가정원을 중심으로. 한국여가레크리에이션학회지 46(2): 27-37.
  2. 권태근, 김태원, 조세환(2015) 2013 순천만국제정원박람회 개최 효과에 대한 방문객 인식 분석. 한국정원디자인학회지 1(1): 40-47.
  3. 김송이, 문상재, 하재철, 김창균, 박일환(2019) 오버투어리즘 지역 주민의 관광객에 대한 태도 형성 요인 연구 -부산 감천문화마을을 대상으로-. 관광학연구 43(7): 69-83.
  4. 김영민, 정욱주(2014) 랜드스케이프 어바니즘의 실천적 전개 양상. 한국조경학회지 42(1): 1-17.
  5. 김용국, 손용훈(2012) 도시계획체계와 연계한 그린 인프라 적용 사례연구: 영국 그린 인프라 계획 및 정책을 중심으로. 국토계획 47(5): 69-86.
  6. 김재철, 박근현(2013) 선형공원의 기능성과 접근성에 관한연구: 면적 근린공원과의 비교사례연구 중심으로. 국토계획 48(6): 89-106.
  7. 김태원, 조세환(2016) 2015서울정원박람회 개최 효과에 대한 방문객 인식 분석. 한국정원디자인학회지 2(2): 98-104.
  8. 김태원, 김건우(2023) 국내정원박람회 개최 효과에 대한 방문객 인식 비교 연구-2013 순천만국제정원박람회, 2015 서울정원박람회, 2022 고양국제꽃박람회를 대상으로-. 한국조경학회지 51(6): 1-11.
  9. 김혜주, 최정민(2017) 국내 도시 커뮤니티가든의 실태분석에 관한 연구. 한국조경학회 2017년도 추계학술대회논문집: 48-50.
  10. 노관규(2023) 2023 순천만국제정원박람회 성공의 비밀. K-크리에이터.
  11. 박근현(2013) 정원도시 싱가포르의 공원녹지체계, 파크커넥터. 국토연구원 371: 102-108.
  12. 박재민, 성종상, 조혜령(2017)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한 정원도시 개념의 변천과 함의에 관한 연구. 도시설계 18(2): 21-35.
  13. 박진빈(2005) 정원도시와 도시계획의 미국적 전개. 서양사론 84: 143-168.
  14. 박진빈(2019) 정원도시의 탄생. 서양사론 141: 78-108.
  15. 산림청(2016) 제1차 정원진흥기본계획.
  16. 산림청(2021) 제2차 정원진흥기본계획.
  17. 성춘자(2015) 지역정체성과 자연의 사회적 구성에 관한 고찰-순천만국가정원을 대상으로-. 한국사진지리학회지 25(3): 75-86.
  18. 송기황, 박태원(2022) 로컬 브랜딩을 활용한 커뮤니티 재생계획-4.19사거리 일대 중심시가지형 도시재생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도시설계학회지 23(5): 57-72.
  19. 송인주, 김상균, 윤초롱(2022) 도시계획 관점에서 서울시 그린인프라 특성과 구축 전략. 서울연구원 정책과제연구보고서.
  20. 신명진, 배정한(2016) 도시 인프라스트럭처로서 옴스테드의 선형 공원. 한국조경학회 2016년도 춘계학술대회논문집: 7-8.
  21. 유동환(2016) 순천만국가정원의 장소성 구축을 위한 공간스토리텔링 연구-오래된 상상력을 체화(embodiment)하는 새로운 낙원. 남도문화연구 31: 157-186.
  22. 윤혜진(2020) 오버투어리즘(Overtourism) 현상과 정책 대응방안 연구: 북촌 한옥마을을 중심으로. 관광레저연구 32(5): 53-67.
  23. 이광희(2021) 정원문화의 변천과 정원도시조성 추진 전략 수립. 산림경제연구 28(2): 1-13.
  24. 이명준(2022) 키워드로 읽는 한국 조경설계와 이론. 배정한 편, 한국 조경 50년을 읽는 열다섯 가지 시선. 한숲. pp.26-49.
  25. 이서영, 유지민, 정욱주(2022) 신도시 개발 컨셉으로서 정원도시 구현 전략-영암.해남 관광레저형 기업도시 솔라시도를 대상으로 -. 한국조경학회지 50(5): 50-68.
  26. 이애란과 박재민(2018) 주민참여형 커뮤니티정원 조성 가이드라인 마련을 위한 국외 사례 비교 연구. 한국조경학회지 46(3): 117-129.
  27. 이양주(2021) 우리 정원에서 시작하는 정원도시. 경기연구원 이슈&진단 466: 1-24.
  28. 이정(2017) 순천만국가정원 매력속성 및 중요도-만족도(ISA) 특성 분석. 남도문화연구 32: 175-203.
  29. 이정록, 남기범, 지상혁(2015) 대형 이벤트 개최가 도시 이미지와 브랜드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2013 순천만국제정원박람회를 사례로-. 국토지리학회지 49(1): 101-115.
  30. 이정록(2014) 2013 순천만국제정원박람회 정책화 과정과 동인에 관한 연구. 대한지리학회지 49(6): 849-864.
  31. 이혁재, 홍승훈(2022) 설문조사를 통한 서울정원박람회의 사후평가. 문화기술의 융합 8(5): 741-747.
  32. 장동련, 전미연, 권승경(2010) 도시 브랜드 가치 제고를 위한 플레이스 브랜딩에 관한 연구. 디자인학연구 제90호 23(4): 351-366.
  33. 전라남도(2018) 전라남도 정원진흥 기본계획 보고서. 전남.
  34. 정현욱(2020) 정원도시 울산을 위한 방향과 추진전략 연구. 울산연구원.
  35. 조세환(2010) 랜드스케이프 어바니즘 관점에서 본 도시재생 전략 연구. 한국조경학회지 38(2): 109-118.
  36. 조인숙, 최정민(2019) 지속가능한 공동체정원을 위한 운영방안에 관한 연구 - 국내외 공동체정원 사례를 중심으로 - 주거환경 17(4): 91-107.
  37. Corner, J.(2003) Landscape urbanism. In M. Mostafavi, and C. Najle, eds., Landscape Urbanism: A Manual for the Machinic Landscape. London: Architectural Association. pp. 58-63.
  38. Czerniak, J.(2007) Legibility and Resilience. In J. Czerniak, and G. Hargreaves eds., Large Parks. New York: Princeton Architectural Press, pp.214-251.
  39. Disponzio, J.(2014) Landscape architect/ure: A brief account of origins. Studies in the History of Gardens & Designed Landscapes: An International Quarterly 34(3): 192-200.
  40. Harrison, R.(2007) Gardens: An Essay on the Human Condition. 조경진, 황주영, 김정은 역, 정원을 말하다. 나무도시, 2012.
  41. Howard, E.(1902) Garden Cities of To-Morrow. London: Swan Sonnenschein & Co., LTD.
  42. Lee, M.(2019) Transforming post-industrial landscapes into urban parks: Design strategies and theory in Seoul, 1998-present. Habitat International 91: Article 102023.
  43. Waldheim, C. ed.(2006) The Landscape Urbanism Reader. New York: Princeton Architectural Press.
  44. Waldheim, C.(2014) Introduction: Landscape as architecture. Studies in the History of Gardens & Designed Landscapes: An International Quarterly 34(3): 187-191.
  45. 경기도메모리(2023.12.20.) 2023 경기도 마을정원 만들기 프로젝트 스토리북. https://memory.library.kr/dext/ file/view/resource/151038
  46. 경상일보(2021.07.08.) 시민들 정원에 쉽게 접근해 스스로 가꿀 수 있는 도시공간으로. https://www.ksilbo.co.kr/news/articleView.html?idxno=906171
  47. 경상일보(2024.03.18.) 태화강국가정원은 '공원'이 아닙니다. https://www.ksilbo.co.kr/news/articleView.html?idxno=994514
  48. 경주시(2022.03.25.) 2040 경주미래종합발전계획. https://www.gyeongju.go.kr/open_content/ko/page.do?mnu_uid=3545&
  49. 관저마을신문(2023.03.) 4억 4천 쓰고도 주민.행정 모두 허탈해하는 관저동 '생활정원'. https://issuu.com/gp2037/docs/_118_2023-3_
  50. 국가법령정보센터(2024). 수목원.정원의 조성 및 진흥에 관한 법률. https://www.law.go.kr
  51. 내 손안에 서울(2022.02.21.) 서울 곳곳이 초록길 된다... 2026년까지 2,000km 조성. https://mediahub.seoul.go.kr/archives/2003850
  52. 뉴스 1(2019.10.16.) 물영아리오름 일대 제주국가정원 조성 사실상 무산. https://jeju.news1.kr/news/articleView.html?idxno=41222
  53. 대구광역시 뉴스룸(2022.02.15.) 정원을 가꾸는 사람들: 대구시 시민정원사 본격 양성. https://info.daegu.go.kr/newshome/mtnmain.php?mtnkey=articleview&mkey=scatelist&mkey2=2&aid=253039
  54. 대전광역시(2024.04.15.) 대전시, "일류 정원도시" 조성 본격 추진. https://www.daejeon.go.kr/drh/board/boardNormalView.do?boardId=normal_0189&menuSeq=1632&ntatcSeq=1454156338
  55. Daily DG News(2024.04.04.) 예천군, 명품 정원 도시로 도약한다!. http://www.dailydgnews.com/mobile/article.html?no=181948
  56. 매일경제(2023.04.13.) 마을 곳곳이 정원...봄향기 가득한 순천 저전마을 가보니. https://www.mk.co.kr/news/culture/10711252
  57. 서울신문(2024.07.30.) 정원이 일상으로, 일상이 정원으로. https://www.seoul.co.kr/news/editOpinion/opinion/seoul-leader-news/2024/07/30/20240730025002
  58. 서울의 소리(2018.11.05.) 매년 900만명이 몰리는 순천만의 변신...경제 가치 2조. https://www.amn.kr/32782
  59. 서울특별시(2024.03.07.) '정원, 일상을 바꾸다': 서울시, 26년까지 매력가든 동행가든 1천곳 조성. https://news.seoul. go.kr/env/archives/557551
  60. 세종방송(2024.06.11.) 세종 종촌동 주민참여형 가재마을 정원관리단 출범. http://www.sejongtv.kr/news/articleView.html?idxno=188700
  61. 수원특례시(2024.08.09) 수원시 손바닥정원 조성 가이드라인. https://www.suwon.go.kr/sw-www/deptHome/dep_env/env_05/env_05_07.jsp
  62. 순천 광장신문(2023.11.07.) 박람회이후 순천만국가정원 운영계획 나와. https://www.agoranews.kr/news/articleView.html?idxno=32825
  63. 순천만습지 홈페이지. https://scbay.suncheon.go.kr/wetland/story/0011/0001/
  64. 연합뉴스(2022.04.20.) 광주시, '깨끗하고 아름다운 정원 도시' 시책 추진. https://www.yna.co.kr/view/AKR20220420101900054
  65. 조선일보(2023.03.17.) 지자체 너도나도 "국가 정원 만들겠다" 과열경쟁. https://www.chosun.com/national/regional/2023/03/17/UDRFQ2CW5NEFXI7OYWMUEPVFPQ/
  66. 표준국어대사전(2024). https://stdict.korean.go.kr/main/main.do
  67. 환경과조경(2024.03.22.) '정원'과 '공원'을 나누는 사회적 기준 '부재'...역할과 가치 '오염'. https://www.lak.co.kr/news/boardview.php?id=17189
  68. 환경과조경(2024.04.16.) 서울시. '푸른도시여가국'에서 '정원도시국'으로 '졸속' 추진... 4일간 입법예고. https://www.lak.co.kr/news/boardview.php?id=17350
  69. 환경과조경(2024.06.04.) 정원문화 확산을 위한 정원박람회. https://www.lak.co.kr/news/boardview.php?id=17706
  70. Lafent(2014.06.29.) 비슷비슷한 가로녹지, 어떠신가요? https://www.lafent.com/inews/news_view.html?news_id=112100
  71. Lafent(2022.02.23.) 순천시, 건축물 옥상 벽면 녹화에 최대 4천만원 지원. https://www.lafent.com/inews/news_view.html?news_id=130315
  72. Lafent(2024.03.28.) 정원도시 광명, 밑그림 나왔다 '스위치 온!'. https://www.lafent.com/inews/news_view.html?news_id=133764
  73. Lafent(2024.06.19.) 산림청, '정원도시' 법제화 추진 중..."지역경제 활성화에 기여하는 정원". https://www.lafent.com/sns/news_view.html?news_id=134176
  74. Landscape Times(2019.11.06.) 울산시, '녹지정원국' 신설 태화강국가정원 체계적 관리한다. https://www.latimes.kr/news/articleView.html?idxno=33780
  75. Landscape Times(2022.05.04.) 천만그루 정원도시 전주 정원친구들: "도심 곳곳을 꽃으로" 정원 활동 돌입. https://www.latimes.kr/news/articleView.html?idxno=40029
  76. Landscape Times(2023.09.18.) 춘천 호수정원 조성사업 본격 추진 중. https://www.latimes.kr/news/articleView.html?idxno=50907
  77. Landscape Times(2023.10.13.) 부산시, 2023년 부산정원박람회 개최. https://www.latimes.kr/news/articleView.html?idxno=51064
  78. Landscape Times(2023.10.31.) 경상남도, 제1회 경남정원박람회 개최. https://www.latimes.kr/news/articleView.html?idxno=51183
  79. Landscape Times(2023.11.09.) 시대에 안맞는 부산 공원녹지 행정. https://www.latimes.kr/news/articleView.html?idxno=51227
  80. Landscape Times(2024.01.04.) 부산시, '공원 속의 도시' 추진 위해 푸른도시국 신설된다. https://www.latimes.kr/news/articleView.html?idxno=51570
  81. Oxford English Dictionary(2024). Oxford University Press. https://www.oed.com/search/dictionary/?scope=Entries&q=garde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