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nalysis of Effect on Domestic Shipping and Logistics Network due to COVID-19 Pandemic -Focusing on the Small-sized Ports of Coastal Ferry Routes in Jeollanamdo Province-

글로벌 팬데믹에 따른 국내 해운물류 네트워크 변화 분석 -전남지역 연안 여객 항로의 소규모 항만을 중심으로-

  • 손유미 (국립목포해양대학교 대학원 해상운송시스템학과) ;
  • 김화영 (국립목포해양대학교 해사대학 해상운송학부)
  • Received : 2024.09.13
  • Accepted : 2024.09.29
  • Published : 2024.09.30

Abstract

This study analyzes the changes in the coastal ferry transport network in South Korea due to the significant impact of the COVID-19 pandemic on the domestic shipping and logistics sector. Focusing on the small-sized ports network distributed across mainland and islands that make up the coastal ferry transport network, the research employs Social Network Analysis (SNA) methods to examine the structural changes and characteristics of the network from 2018 to 2021, distinguishing between the periods before and after the COVID-19 pandemic. By utilizing centrality indices such as the degree centrality, closeness centrality, and betweenness centrality, the study assesses the changes in the influence of small-sized ports within the network before and after the COVID-19 pandemic. The scope of this study focuses on Mokpo and Wando region in the Jellanamdo province, which have the largest coastal ferry transport networks and notable passenger transport performance in South Korea. It examines the primary ports in these regions and the small-sized ports located on the islands. Analysis of the Mokpo coastal ferry transport network indicates that the number of connected islands decreased before and after the pandemic, and connectivity to other islands within the network diminished. Factors such as the decline in tourist numbers due to COVID-19, the connecting with land bridges between the mainland and islands, and subsequent closure of ferry sea routes are believed to have impacted these network changes. In the Wando region, the sharp decrease in both island residents and tourists after the pandemic led to the suspension of ferry operations, resulting in disrupted connectivity with some small-sized ports on the coastal ferry transport network. This has affected network characteristics such as concentration and average path length in the Wando region.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changes in the domestic shipping and logistics, coastal ferry, network due to the COVID-19 pandemic, providing insights to predict potential network changes caused by uncertain events in the future and contributing to the formulation of proactive policies for effective responses.

이 연구는 국내 해운물류 분야에 큰 영향을 준 코로나 팬데믹에 따른 연안 여객 운송 네트워크의 변화를 분석하였다. 국내 연안 여객 운송 네트워크를 구성하고 있는 육지와 섬에 분산된 소규모 항만 네트워크 자료(2018년~2021년)를 코로나 전후로 구분한 후 사회연결망분석(SNA) 방법을 활용하여 네트워크 구조와 특성의 변화를 살펴보았다. 특히 사회연결망분석의 중심성 지수인 연결정도 중심성, 근접 중심성 및 매개 중심성을 활용하여 코로나 팬데믹 전후로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소규모 항만의 영향력 변화를 분석하였다. 연구범위는 국내 연안 여객 운송 네트워크를 가장 많이 보유하고, 여객 수송 실적도 우수한 목포와 완도지역의 기점항만과 섬에 위치한 소규모 항만을 대상으로 하였다. 목포지역 연안 여객 운송 네트워크는 코로나 전후로 연결된 섬의 개수가 줄어들었으나, 네트워크 상에서 다른 섬에 접근하기 위한 연결성은 감소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코로나에 따른 관광객의 감소, 육지와 섬을 연결하는 연육교 개통, 이로 인한 여객항로 폐쇄 등이 네트워크 변화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판단된다. 완도지역은 일부 섬의 경우, 코로나 이후 섬 주민과 관광객의 급격한 감소로여객선 운항이 중지되어 연안 여객 운송 네트워크 상 일부 섬의 소규모 항만과의 연결성이 끊어지고 집중도, 평균 경로거리 등 네트워크 특성에서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는 코로나 팬데믹에 따른 국내 해운물류 네트워크 변화를 분석하여 향후 해운물류 분야에 영향을 줄 수 있는 불확실한 이벤트에 따른 네트워크 변화를 예측하고, 능동적 대응을 위한 정책 마련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Keywords

Acknowledgement

이 논문은 2024경제학공동학술대회에서 발표한 논문을 수정한 것이며, 2022년도 해양수산부 재원으로 해양수산과학기술진흥원의 지원을 받아 수행된 연구임(20220257, 전남씨그랜트).

References

  1. 고재우.최창묵.김성호.정완희(2015), 사회 네트워크 분석 방법을 활용한 국내 여객항로 분석 연구, 한국항해항만학회지, 39(3), 73-96.
  2. 곽기영(2017), 소셜네트워크분석, 청람.
  3. 김석수(2018), 글로벌 컨테이너 선사와 국내 컨테이너 선사의 아시아 역내 해운 네트워크 비교 연구(석사학위논문), 인하대학교.
  4. 김용학.김영진(2016), 사회 연결망 분석, 박영사.
  5. 김태일.박성화(2022), 한국의 연안 여객선 이용객 인식 조사 분석 -인천, 목포, 통영 여객터미널 이용객을 중심으로-, 한국항해항만학회지, 46(3), 191-202.
  6. 류재형(2011), 섬과 섬, 섬과 육지를 연결하는 연안 여객운송 실태와 정책과제, 국토연구, 358, 73-96.
  7. 박성훈.주동영.오재균.남태현.여기태(2018), SNA 방법을 통한 연안해운 승객 중심성 이동변화 분석, 해운물류연구, 34(4), 527-544.
  8. 손동원(2002), 사회 네트워크 분석, 경문사.
  9. 손유미.김화영(2023), 코로나 팬데믹에 따른 항만물류 네트워크 변화 분석 연구, 한국항만경제학회, 39(4), 205-222.
  10. 우양호(2022), 연안 여객선 준공영제의 정책 효과성 -섬 주민의 인식을 토대로-, 도서문화, 303-331.
  11. 한국해운신문(2020), 연안 여객선도 대중교통으로 인정, (http://www.maritimepress.co.kr, 검색일 2024. 09. 01)
  12. 한국해운조합(2019), 2018년도 연안해운 통계연보.
  13. 한국해운조합(2020), 2019년도 연안해운 통계연보.
  14. 한국해운조합(2021), 2020년도 연안해운 통계연보.
  15. 한국해운조합(2022), 2021년도 연안해운 통계연보.
  16. 해양수산부(2023), 시장 맞춤형 제도 개선으로 연안교통산업 경쟁력 높인다. (http://www.mof.go.kr, 검색일 2024. 09. 01)
  17. Aratani, T., Kim, H., Pham, T.Q.M. & Miyazaki, K.(2022), Mobility Burden on User of Remote Island Route Comparison between Japan and South Korea, 8(1), 47-54.
  18. Kim, H., Choi, J., Nam, Y., Youn, J. H.(2022), Characteristic Analysis of the Built Environment of Ferry Terminals: A Case Study of Mokpo, South Korea, sustainability, 14(4), 2115-2331.
  19. Kim, J., Kim, H.(2021), Evaluation of the Efficiency of Maritime Transport Using a Network Slacks-Based Measures (SBM) Approach: A Case Study on the Korean Coastal Ferry Market, sustainability, 13(11), 6094-6111.
  20. Kim, J., & Lee, H.J.(2021), Educational Problems and Improvement on Ulleungdo Islands in Korea, Journal of Marine and Island Cultures, 10(1), 196-205.
  21. Kim, J., Lee, G., & Kim, H.(2020), Analysis of Operational Efficiency Considering Safety Factors as an Undesirable Output for Coastal Ferry Operations in Korea, Journal of Marine Science and Engineering, 8(5), 367-391.
  22. Pham, T.Q.M, Lee, G. & Kim, H.(2020), Toward Sustainable Ferry Routes in Korea: Analysis of Operational Efficiency Considering Passenger Mobility Burdens, sustainability, 12(21), 1-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