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nalysis of the causes of increase in container shipping freight during the COVID-19 pandemic: Application of cointegration model

COVID-19 팬데믹 기간 컨테이너 해상운임 상승 원인 분석: 공적분모형 적용

  • 이태휘 (경상국립대학교 경영대학 스마트유통물류학과) ;
  • 반아신 (경상국립대학교 일반대학원 스마트유통물류학과)
  • Received : 2024.09.02
  • Accepted : 2024.09.29
  • Published : 2024.09.30

Abstract

This study used representative variables mentioned in the media after COVID-19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between container ocean freight rates.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Container utilization index, US distribution industry inventory ratio, and number of new US unemployment benefit claims emerged as variables that influenced freight rates. It was shown that a 1% increase in the container utilization index would increase freight rates by 9.4%, and a 1% increase in the US distribution industry inventory ratio would increase freight rates by 0.5%. A 1% increase in the number of new US unemployment benefit claims would increase freight rates by 0.26%. A 1% increase in the port congestion index would decrease freight rates very slightly.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collected and presented meaningful variables after COVID-19, applied an econometric model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independent variables and freight rates, and explored significant variable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independent variables that are intricately intertwined.

사스, 신종 플루, 메르스 등 기존의 전염병은 코로나 19에 비해 산업적·경제적 파급력이 다소 낮았다고 할 수 있지만, 코로나 19는 많은 피해를 유발했다. 해운물류산업에도 코로나 19는 유례없는 변화와 충격을 주고 있다. 전대미문(前代未聞)의 코로나 19 팬데믹으로 해운물류산업은 기존과는 다른 방향으로 변화가 전개되었으며, 코로나 19는 해운물류산업에 많은 숙제를 던진다고 할 수 있다. 이 연구에서는 언론에서 지적하고 있는 컨테이너 해운경기의 호황 원인을 분석했다. 분석 결과, 공급 측면에서는 선사들이 IMO 환경규제에 대응하기 위해 계선을 단행한 것이 화근이 되어, 수요가 증가하더라도 '가동시킬 수 없는 선박'으로 말미암아 운임 상승을 초래한 측면이 있음을 발견하였다. 수요 측면에서는 사회적 거리두기가 상품 구매를 촉진해 수요 증가의 원인이 되었다는 주장에 대해서는 근거가 부족한 주장이라는 것을 밝혀내었다. 왜냐하면 사회적 거리두기와 운임 상승 간에 관계가 미약하기 때문이다.

Keywords

References

  1. 이태휘, 김수경(2023), COVID-19 발 컨테이너 해운경기호황의 원인 분석: 수요와 공급 측면에서, 한국항만경제학회지 제39권 제2호, 195-204.
  2. 이태휘(2021), COVID-19 판데믹 전후의 컨테이너해운업 동향분석과 해운재건을 위한 정책 방향 제언, 한국항만경제학회지 제37권 제2호, 19-31.
  3. 전준우(2021), COVID-19 상황을 고려한 Shanghai Containerized Freight Index 예측, 해운물류연구 제37권 제3호, 517-536.
  4. 최문선(2006), 공적분모형을 이용한 국내 다변량시계열자료 분석, 숙명여대 석사학위논문.
  5. 하영규, 우수한(2023), 코로나 기간중 SCFI 급변의 원인과 전망, 한국무역연구원 제19권 제2호, 161-174.
  6. Nektarios A. Michail, Kostis D. Melas(2020), Shipping markets in turmoil: An analysis of the Covid-19 outbreak and its implications, Transportation Research Interdisciplinary Perspectives, 7, 100178.
  7. Christopher Dirzka, Michele Acciaro(2022), Global shipping network dynamics during the COVID-19 pandemic's initial phases, Journal of Transport Geography, 99, 103265.
  8. Hirata E., Matsuda, T.(2021), Uncovering the impact of COVID-19 on shipping and logistics, Maritime Business Review, 7(4), 305-317.
  9. Notteboom, T., Pallis, T., and Rodrigue, J. P.(2021), Disruptions and resilience in global container shipping and ports: the COVID-19 pandemic versus the 2008-2009 financial crisis, Maritime Economics & Logistics, 23(2), 179-210.
  10. Xu, L., Shi, J., Chen, J., and Li, K(2021), Estimating the effect of COVID-19 epidemic on shipping trade: An empirical analysis using panel data, Marine Policy, 133, 10476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