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the Analysis of Factors for Carbon Neutrality Construction of Container Terminal in Gwangyang Port

광양항 컨테이너터미널의 탄소중립 구축을 위한 요인분석 연구

  • Received : 2024.08.31
  • Accepted : 2024.09.29
  • Published : 2024.09.30

Abstract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dentify the relative importance of the decision factors that should be given priority in order for Gwangyang Port Container Terminal to transform into an eco-friendly port based on carbon neutrality. To this end, three upper decision factors and 12 lower decision factors were derived, and a survey was conducted targeting shipping port experts and port users. The priorities were identified using the Fuzzy-Analytic Hierarchy Process(Fuzzy-AHP) technique. As a result, the importance of the three upper priority factors was evaluated in the order of low-carbon infrastructure construction, legal system improvement, and operational management efficiency. As a result of the composite weight analysis calculated by multiplying the importance of the upper factor by the lower factor, the comprehensive combined importance of the 12 lower-level factors was highest in ① conversion to eco-friendly power such as existing unloading equipment, followed by ② expansion of renewable energy in ports, ③ introduction of energy-saving equipment and facilities, ④ establishment of a circular hydrogen sharing network in the Gwangyang Bay area, ⑤ establishment and implementation of a low-carbon port mid- to long-term strategy, ⑥ provision of incentives to users to achieve carbon neutrality, ⑦ implementation of regulatory measures such as a carbon burden system, ⑧ establishment of an eco-friendly port management system, ⑨ introduction of a mandatory AMP use system, ⑩ expansion of the low-speed operation program, ⑪ expansion of operation of a carbon-neutral working-level organization and education, and ⑫ greenhouse gas monitoring in ports and nearby areas. This study provided the basic basis and foundation through an analysis of the priority of decision factors for Gwangyang Port Container Terminal to leap forward as a global carbon-neutral port, and presented objective criteria for introduction decision factors that should be referenced by the government, local governments, port authorities, and shipping and port-related organizations.

본 연구는 광양항 컨테이너터미널이 탄소중립을 기반으로 한 친환경 항만으로 거듭나기 위하여 우선적으로 고려해야 할 결정요인의 상대적 중요도를 규명하는 것을 목적으로 진행하였다. 이를 위해 3개의 상위 결정요인과 12개의 하위 결정요인을 도출하여 해운항만 전문가 및 항만 이용자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퍼지계층화분석(Fuzzy- Analytic Hierarchy Process) 기법을 활용하여 우선순위를 파악하였다. 그 결과 상위 우선요인 3개의 중요도는 저탄소 인프라 구축, 법제도 개선, 운영관리 효율화 순으로 평가되었다. 상위요인의 중요도와 하위요인의 곱으로 산정한 복합가중치 분석 결과 12개 하위계층 요인의 종합적인 결합중요도는 ① 기존 하역장비 등 친환경 동력 전환이 가장 높았으며 이어 ② 항만 신재생에너지 확대 ③ 에너지절감형 장비 및 시설물 도입 ④ 광양만권 순환형 수소 공유망 구축 ⑤ 저탄소 항만 중장기 전략 수립 및 이행 ⑥ 탄소중립 실현 이용사 인센티브 제공 ⑦ 탄소부담금 제도 등 규제 조치 시행 ⑧ 친환경 항만 경영시스템 구축 ⑨ AMP 사용 의무화 제도 도입 ⑩ 저속운항 프로그램 확대 운영 ⑪ 탄소중립 실무 조직 운영 및 교육 확대 ⑫ 항만 및 인근지역 온실가스 모니터링 등의 순이었다. 본 연구는 광양항 컨테이너터미널이 글로벌 탄소중립 항만으로 도약하는데 있어 결정요인 우선순위분석을 통해 기초적인 근거와 토대를 제공하였으며 정부와 지자체, 항만 관리운영 주체인 항만공사와 해운항만 관계기관이 참고해야 할 도입 결정요인의 객관적인 기준을 제시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김가현, 김찬호, 김우선, 서정용, 김성아, 김성기, 최상균(2021), 스마트항만 구축에 따른 탄소저감효과 연구 - 동력전환을 중심으로 -, 한국해양수산개발원, 25-39.
  2. 김근섭, 김세원, 안승현, 이주원, 한승훈, 이건우(2021), 항만에너지 관리시스템 도입을 위한 로드맵 구축연구-부산항 신항 전기에너지 소비를 중심으로-, 한국해양수산개발원, 9-25.
  3. 김동윤, 신학승(2019), 해양 온실 가스 규제 동향에 따른 항만 및 해운 기업의 대응 방안에 관한 연구, 무역연구, 제15권 제1호, 508-509.
  4. 김세원(2024), 세계 주요 항만의 탄소중립 변화 동향, 석유산업 미래 전략 포럼, 아시아투데이.
  5. 김아영(2022), 광양항 항만시설물 개선 및 운영전략에 관한 연구, 순천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18-19.
  6. 문진영 외(2017), 온실가스 감축을 위한 국제사회의 탄소가격제 도입과 경제영향 분석, 대외경제정책연구원 연구보고서 17-31, 128-140.
  7. 박광서 외(2021), 해양수산분야 미래 리스크 발굴 및 파급효과 분석 연구, 한국해양수산개발원.
  8. 박홍균(2012), Fuzzy-AHP를 이용한 광양항 컨테이너부두 여유선석 활용대안 우선순위 분석, 한국항만경제학회지, 제28권 제2권, 29-41.
  9. 임소영, 강지현(2021), EU 핏포55가 국내 탄소중립 정책에 주는 시사점, 산업경제 8월 특집, 1-3.
  10. 송계의, 한철환(2007), 항만의 환경오염 저감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항만경제학회지, 제23권 제1호, 95-113.
  11. 신광철(2018), 울산항 녹색항만(Green Port) 정책 재정립을 위한 개선방안 연구, 한국해양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37-39.
  12. 신종범(2022), 우리나라 컨테이너터미널의 ESG 경영 우선순위 분석 연구, 순천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13. 신춘진, 정현재(2020), 평택당진항의 친환경 항만 정책에 대한 수요자 인식 조사 연구, 무역보험연구, 제21권 제3호.
  14. 심창섭(2021), 미세먼지 통합관리 전략 수립 연구: 미세먼지 통합관리를 위한 정책지원 자료 구축, 한국환경연구원 사업보고서, 10-44.
  15. 안용성, 김주형, 안승현, 김성아, 이혜령, 이향숙(2022), "항만의 탄소중립 이행.관리 표준안 연구", 한국해양수산개발원, 1-6.
  16. 안용성, 육근형, 김대경, 이혜영(2019), 국내 항만의 대기오염물질 관리정책 및 제도 개선방안, 한국해양수산개발원, 52-71.
  17. 안승현, 김찬호, 강무홍, 김보경, 박민정(2022), 항만분야 탄소중립 관리체계 개선방안 연구, 한국해양수산개발원, 39-45.
  18. 염정훈, 김근하(2024), 국제해운 탄소중립을 위한 한미일 녹색해운항로, 기후솔루션 리포트.
  19. 윤동하, 김선구, 최용석(2013), 광양항 초대형 컨테이너선박 입항에 따른 대응방안 선정, 해운물류연구 제35권 제3호, 18-19.
  20. 윤동하, 최용석(2011), Fuzzy-AHP를 이용한 광양항과 중국항만간의 물류네워크 분석, 한국항만경제학회지 제27권 제4호, 91-107.
  21. 윤순진(2021), 한국의 2050 탄소중립 시나리오: 내용과 과제, 에너지포커스, 제18권 제4호, 18-23.
  22. 이민아, 이구용(2021), 주요국 탄소중립 기술정책 동향(II): 기후정상회의 이후 G7 국가 기술정책 동향 분석 및 국내 정책 방향성 제고, GTC Focus, 제2권, 제5호.
  23. 이민우, 이향숙(2016), 선박 배기가스 배출량 및 환경비용산출에 관한 연구: 부산항을 중심으로, 한국항만경제학회지, 제32권 제4호, 15-28.
  24. 이은창, 이슬기, 허선경(2022), 탄소중립을 위한 해양그린수소 육성전략, 월간 KIET 산업경제, 283, 37-52.
  25. 이지선(2022), 광양항 기후변화 대응 탄소중립 항만 구축방안, 한국해양대 석사학위 논문.
  26. 이현정, 이정욱, 이향숙(2020), AHP 기법을 활용한 친환경 항만정책의 도입 중요도 순위에 대한 연구, 물류학회지, 제30권 제6호, 121-131.
  27. 인천항만공사(2021), 2021 인천항만공사 지속가능경영보고서.
  28. 임미순, 박종흠, 안승범(2009), 녹색물류를 위한 탄소저감정책 평가항목 우선순위에 관한 연구:항만 및 물류거점을 중심으로, 한국항만경제학회지, 제25권 제4호, 1-20.
  29. 임종섭(2010), 항만환경 규제에 따른 Green Port 구축 방안, 한국항해항만학회지, 제26권 제2호, 99-118.
  30. 장정희 외 4인(2008), 저탄소 항만 구축 방안에 관한 연구, 경기도.
  31. 전그린(2021), 항만지역 대기오염물질 배출규제 및 관리에 관한 연구, 부산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32. 전그린, 이언승, 이양기(2024), 우리나라 항만 지역 대기오염물질 배출규제 및 관리의 문제점과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경영컨설팅연구, 제24권 제1호, 119-129.
  33. 정봉현(2009), 녹색성장시대에 환경친화적 항만관리정책의 발전방향: 광양항을 중심으로, 한국항만경제학회지, 제25권 제3호, 361-384.
  34. 정태원, 이용주(2018), 그린항만 구축을 위한 정책우선순위 평가 -부산항과, 인천항을 중심으로-, 해운물류연구, 제34권 제4호, 657-675.
  35. 조정정, 윤경준, 이향숙(2019), 선박에 기인한 대기오염물질 배출량 산정 연구-광양항과 울산항을 중심으로, 한국항만경제학회지, 제35권 제2호, 93-107.
  36. 최상희, 하태영, 원승환(2007), 국내 컨테이너 항만기술 로드맵 수립 연구-항만물류 및 장비기술을 중심으로, 한국항해항만학회지, 제33권 제3호, 199-206.
  37. 한철환(2011), 대기오염 저감을 통한 인천항의 Green Port 전략, 한국항만경제학회지, 제27권 제1호, 281-304.
  38. 허정석(2022), 광양항의 자동화 컨테이너터미널 도입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순천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39. 허철행(2017), 광양항 자유무역지역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순천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40. 홍현정 외(2022), 해양수송의 친환경.저탄소 전환에 따른 신형 해양오염사고 대비.대응 정책 연구, KEI 정책보고서 2022-06, 40-41.
  41. 기후솔루션(2023), 국내 항만 탈탄소화 제언: 5 대 항만을 중심으로, 산업 동향 브리프 No.3.
  42. 온실가스종합정보센터(2022), 2021 국가 온실가스 인벤토리 보고서, 환경부.
  43. 여수광양항만공사(2022), 여수광양항 대기환경 개선 추진전략 수립 연구.
  44. 여수광양항만공사(2023), 여수광양항 탄소중립 항만 구축을 위한 기초자료 조사 및 추진체계 고도화 컨설팅.
  45. 해양수산부(2021), 제5차 해운산업 장기 발전계획(2021~2025), 제5차 해양환경 종합계획(2021~2030), 제1차 항만지역 등 대기질 개선 종합계획 (2021~2025).
  46. 여수광양항만공사 홈페이지(www.ygpa.or.kr)
  47. 한국에너지공단(2021), 2050 탄소중립 전환 시나리오: 한국형 통합평가모형 분석, KEA 에너지 이슈 브리핑, 164호, 1-5.
  48. Acevedo, S. et al.(2020), The Effects of Weather Shocks on Economic Activity: What are the Channels of Impact?, Journal of Macroeconomics, 65(June), 1-21.
  49. Bernard, J. T., Kichian, M., & Islam, M.(2018), Effects of BC's Carbon Tax on GDP, USAEE research paper series, 18-329.
  50. Calel, R., & Dechezlepretre, A.(2016), Environmental policy and directed technological change: evidence from the European carbon market, Review of economics and statistics, ?98(1), 173-191.
  51. Chang, Da Young(1996), Applications of the extent analysis method on fuzzy AHP, European Journal of Operations Research, Vol. 95(3), 649-655.
  52. DP World, DPW 2021 ESG 
  53. European Commission(2021), Communication from the Commission to the European Parliament, the Council, the European Economic and Social Committee and the Committee of the Regions : 'Fit for 55', COM(2021) 550 final.
  54. GL DNV(2020), Energy Transition Outlook 2021: Maritime Forecast to 2050, GL DNV.
  55. HMM(2021), ESG Report 2021.
  56. HutchisonPorts(2021), Building a Smart& Sustainable Port, Sustainability Report.
  57. IEA(2021), Net Zero by 2050: A Roadmap for the Global Energy Sector, IEA.
  58. IMO(2020), Marine Institute (VLIZ), Belgium.
  59. IPCC(2014), Climate Change 2014 Synthesis Report Summary for Policymakers, IPCC.
  60. IPCC(2018), Global Warming of 1.5 ℃, An IPCC Special Report on the impacts of global warming of, 1(5).
  61. Metcalf, G. E., & Stock, J. H.(2020), The macroeconomic impact of Europe's carbontaxes. No. w27488. National Bureau of Economic Research.
  62. Peng W. et al.(2018), A simulation-based research on carbon emission mitigation strategies for green container terminals.
  63. Pindyck, R. S.(2013), Climate change policy: What do the models tell us?, Journal of Economic Literature, 51(3), pp. 860?872.
  64. Port of HAMBURG, https://www.hafen-hamburg.de/en/homepage/
  65. Wan, Z. et al.(2018), Decarbonizing the international shipping industry: Solutions and policy recommendations, Marine Pollution Bulletin, 126, pp. 428-435.
  66. Wang, Z. et al.(2017), Integrated assessment models of climate change economics. Springer.
  67. Zhong et al.(2019), Carbon emissions reduction in China's container terminals: Optimal strategy formulation and the influence of carbon emissions trad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