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지방기록물관리기관 기록물 이관 선별 정책에 관한 연구 지방기록물관리기관의 필요성은 어디로부터 시작되는가?

A Study on the Selection Policy of the Transfer of Permanent Records by the Local Archives Management Agency

  • 전가희 (경상남도기록원)
  • Jeon, Ga-Hee
  • 투고 : 2024.09.09
  • 심사 : 2024.10.04
  • 발행 : 2024.10.31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지방기록물관리기관 설립 필요성 및 핵심 업무를 추출하고 경상남도기록원을 대상으로 기록물의 이관기준 수립과 중요기록물을 선별해 보는 것이다. 현실적으로 지방기록물관리기관은 보존기간 30년 이상 기록물을 모두 수용할 수 없다. 또한 지방기록물관리기관의 설립 가치를 구현하기 위해서는 기관을 설명할 수 있는 기록물을 선별·이관하여야 한다. 그러나 현재 지방기록물관리기관은 법적 이관기준 외 자체 기준이 없거나, 있다 하더라도 부족한 수준이다. 법적 이관기준으로 알고 있는 기록관리기준표는 내부적으로는 여러 문제를 가지고 있으나 실무적(법적)으로 해당 기준표로 이관하는 것은 문제 될 것이 없다. 그러나 법적인 문제를 떠나 운영을 지속할수록 보존 대상 기록물에 대한 설명 요구는 높아질 것이며, 설명하지 못한다면 기관의 필요성은 도전받게 될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지방기록물관리기관의 선별·이관을 위해 영국 TNA의 기록물 수집정책과 전략적 선별정책인 OSP(Operational Selection Policies)를 적용했다. 이를 통해 경상남도기록원에 맞는 기록화 목표 설정, 주제 선정 등의 순으로 절차를 정의하고 경상남도기록원의 기록물 이관 대상을 선정, 지방기록물 관리기관의 중요기록물 보존 및 선별 이관의 정책적 논의 필요성을 언급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tract the necessity and core tasks of the local records management agency, and to establish standards for transferring records and select important records for the Gyeongsangnam-do Archives. In reality, local records management institutions cannot accommodate all records for more than 30 years of preservation. In addition, in order to realize the establishment value of the local archives, it is necessary to select and transfer records that can explain the institution. Currently, the local archives do not have their own standards other than legal transfer standards, or even if they do, they are insufficient. The record management standard, which is known as a legal transfer standard, has several problems internally, but in practice, it is not a problem to transfer it to the standard. However, the more you continue to operate, the higher the demand for explanation of the records to be preserved will be, and if you cannot, the need for the institution will be challenged. Therefore, this study defined the procedures in the order of setting recording goals, selecting topics, and defining series suitable for the Gyeongsangnam-do Archives by applying the UK TNA's record collection policy and the strategic selection policy, OSP (Operational Selection Policies). Through this, by selecting the target of the transfer of records of the Gyeongsangnam-do Archives, the need for policy discussions on the preservation and selection of important records of the local archives was mentioned.

키워드

참고문헌

  1. 지수걸 (2002). 지방자치와 지방기록관리. 기록학연구, 6, 293-307.
  2. 김홍균 (2006). 국가기록물 보존수요 추정. 시장경제연구, 35(1), 41-65.
  3. 이승억 (2008). 전자기록의 평가 선별에 관한 몇 가지 검토. 「기록인」, 4, 11-15. 국가기록원.
  4. 류신애, 이승휘 (2010). 공공기록물 재평가 제도 보완 방안. 기록학연구, 24, 41-71.
  5. 이승억 (2014). 동시대의 기록화를 지향한 보존기록 평가 선별에 관한 제언. 기록학연구, 38, 185-211.
  6. 설문원 (2015). 로컬리티와 지방기록관리. 한국기록관리학회지, 15(4), 151-171.
  7. 최재희 (2015). 기록물 평가 정책과 대량 동종 기록물 선별: 영국 TNA 사례를 중심으로. 「기록인」, 33, 26-39. 국가기록원.
  8. 김유승 (2019). 디지털 시대의 공공기록평가에 관한 정책적 고찰: 영국 TNA 사례를 중심으로. 기록학연구, 62, 5-39.
  9. 조영삼 (2020). 기록자치와 지방기록원. 지방기록원 설치 확산을 위한 기록관리 세미나 자료집, 6-10.
  10. 설문원, 이승억 (2020), 공공기록 평가제도의 구조와 쟁점 과제. 한국기록관리학회지, 20(1), 47-67.
  11. TNA (2005). The Department of Environment. 1970-1979(OSP), 미출간 원고, 최재희.
  12. TNA (2012). 평가.수집정책. 미출간 원고, 최재희.
  13. Jenkinson, H. (1992). A Manual of Archive Administration. 정부기록보존소 번역 (2003). 힐러리 젠킨슨의 기록관리편람. 서울: 정부기록보존소.
  14. 서울기록원 (2019). 문서가 말하지 않는 이야기, 서울: (주)메모리플랜트.
  15. 한국기록학회 (2008), 기록학 용어사전, 경기: (주)역사비평사.
  16. 한국기록관리학회 (2018). 기록관리의 이론과 실제. 서울: 조은글터.
  17. 서울특별시 (2016). 서울 기록화 수집전략 개발용역. 협동조합 아카이빙네트워크연구원.
  18. 이재필, 여운기 (2019). 경상북도기록원 설립을 위한 기초연구, 대구경북연구원.
  19. 서울기록원 (2020-2024). 비전자 기록물 이관계획.
  20. 경상남도기록원 (2020-2023). 생산현황 통보 결과.
  21. 국가기록원 (2024). 기록물관리 지침.
  22. 국가기록원 (2022). 주요 통계 연보.
  23. 서울기록원 (2023). 기록물 생산현황 통보.
  24. 경상남도기록원 (2017). 경상남도기록원 정보화전략계획(ISP) 수립 용역 완료 보고서.
  25. 경상남도기록원 (2018-2024). 경상남도기록원 비전자 기록물 이관계획.
  26. 경상남도기록원 (2022). 경상남도 민간기록물 수집 및 관리 기본계획(2023-2027) 수립 연구 최종보고서.
  27. 경상남도기록원 (2023). 기록물 생산현황 통보 결과.
  28. 경상남도 민간기록물 수집과 관리에 관한 조례: 별지 제13호 서식.
  29. 국가기록원 (2022). 영구기록물관리기관 표준모델: 기능 및 업무 절차 (NAK 9:2022/v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