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보호수 관리를 위한 조사 및 평가 기준 연구

A Study on the Investigation and Evaluation Standards for the Management of a Protected Tree

  • 이삼옥 (한국전통문화대학교 문화유산전문대학원 문화재수리기술학과 ) ;
  • 이재용 (한국전통문화대학교 전통조경학과) ;
  • 김충식 (한국전통문화대학교 문화유산전문대학원 문화재수리기술학과)
  • Lee, Sam-Ok (Dept. of Heritage Conservation and Restoration, Graduate School of Cultural Heritage,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Cultural Heritage) ;
  • Lee, Jae-Yong (Dept. of Traditional Landscape Architecture,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Cultural Heritage) ;
  • Kim, Choong-Sik (Dept. of Heritage Conservation and Restoration, Graduate School of Cultural Heritage, Korea National University)
  • 투고 : 2024.02.21
  • 심사 : 2024.03.21
  • 발행 : 2024.03.31

초록

본 연구는 산림청이 지정 및 관리하는 보호수의 생육현황 종합평가를 위한 평가항목과 평가기준의 제시를 목적으로 하였으며,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문화재청의 천연기념물 노거수의 생육상태 평가 기준과 관련 자료를 토대로 수목의 '지상부 생육상태'에 관한 항목을 수정·보완하고, '입지도', '이용도', '수관폭 내 인공피복율', '토양 물리성', '토양 화학성' 등 신규 항목을 발굴하여 보호수의 생육현황을 평가하기 위한 6개 항목을 도출하였다. 둘째, '지상부 생육상태'에서 '수세', '잎의 색' 등 육안조사로 이루어지는 평가항목을 형성층의 전기저항치나 엽록소 함량 측정과 같이 정량화 항목으로 대체하였다. 셋째, 생육환경을 평가하는 항목으로 '수관폭 내 인공피복율'을 도입하였고, '토양의 물리성'과 '화학성'에 대한 평가항목과 분류기준을 제시하였다. 넷째, 10개의 지상부 생육상태, 3개의 생육환경, 8개의 토양환경 항목을 종합하여 보호수의 건강성을 평가하는 방법과 이를 위한 조사대장의 기록 양식을 구체화하였다. 본 연구는 천연기념물에 비해 평가와 관리체계가 마련되지 않는 보호수의 생육환경 평가와 기록방식을 제안한 것에 의의가 있으나, 평가 항목별 중요도를 감안하는 방식으로 발전하는 데 한계가 있었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항목별 가중치 연구와 수목에 대한 정성적 평가를 과학적 자료를 기반으로 한 정량적 평가로 대체하는 연구가 이루어져야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uggest evaluation items and standards for diagnosing the growth status of protected trees designated and managed by the Korea Forest Service.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based on the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s standards for evaluating the growth status of old trees, which are natural monuments, and related data, items related to the 'growth status of the above-ground part' of the trees were revised and supplemented. Simultaneously new items such as 'location', 'usability', 'artificial cover rate within the crown width', 'soil physical properties', and 'soil chemical properties' were discovered. By combining these items, six items were derived to evaluate the growth status of protected trees. Second, evaluation items made through visual inspection, such as 'tree vigor' and 'leaf color' in the 'growth status of the above-ground part', were replaced with quantifiable items such as measuring the electrical resistance value of the cambium or chlorophyll content. Third, 'artificial cover rate within crown width' was introduced as an item to evaluate the growth environment, and classification criteria for 'soil physical properties' and 'chemical properties' were presented. Fourth, a method to evaluate the health of protected trees was specified by combining 10 above-ground growth conditions, 3 growth environments, and 8 soil environment items. In addition, a record format for diagnosing the growth status was shaped up.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that it proposed an evaluation and recording method for protected trees, which do not have an evaluation system compared to natural monuments, but there were limitations in developing a method that takes into account the importance of each evaluation item. In order to overcome these, research should be conducted to evaluate effectiveness for each item and to replace qualitative evaluation of trees with quantitative evaluation based on scientific data.

키워드

참고문헌

  1. 국립산림과학원(2007). 「숲 가꾸기 표준 교재, 산림경영」. 
  2. 국립산림과학원(2014). 「생활권 수목진료 컨설팅」, 제4호, p.12. 
  3. 국립산림과학원(2016). 「제1차 산림의 건강.활력도 진단.평가 보고서」, p.20. 
  4. 국립문화재연구소(2012). 「천연기념물 식물 입지환경 및 관리개선방안 연구」. 
  5. 국토교통부(2016). 「조경설계기준」. 
  6. 문화재청(2014). 「천연기념물(식물) 실태조사」. 
  7. 산림청(2016). 「이야기가 있는 보호수」. 
  8. 산림청(2021). 「수목진료표준품셈」. p47. 
  9. 산림청(2021). 「비파괴기법을 활용한 대형가로수 위험도 평가 및 진단」. 
  10. 산림청(2022). 「수목 위험성 진단 표준품셈」. 
  11. 서울기술연구원(2022). 「서울 도심지 내 가로수 활력도 및 위해도 조사 방법 」
  12. 김호준(2009). 「원색수목환경관리학」. 그린과학기술원. p.170. 
  13. 이경준(2010). 「수목생리학」. 서울대출판문화원. p.227. p.71. p.194. p.196. 
  14. 이삼옥(2023). 「부여군 느티나무 보호수의 생육실태 연구」. 한국전통문화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5. 이천용(2022). 「산림환경토양학」. 구민사. p.32. 
  16. 임선욱(2006). 「비료학, 식물영양 공급원리와 그 사용법」. 일신사. pp.36-37. 
  17. 김태연(2013). 「한국 조경수목의 규격 세분화와 품질 평가 기준」.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p.85. 
  18. 신현수(2017). 「노거수의 생육현황 및 잠재적 위험요인에 관한 연구」. 경상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 오정애(2017). 「노거수 수령 추정을 위한 느티나무와 소나무의 지역별 대표 연륜 연대기 구축 및 레지스토그래피 적용」. 충북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 이승제(2004). 「활력도 및 생육환경 분석을 통한 노거수 관리방안」. 상명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1. 장은재(2005). 「慶尙北道 老巨樹植物資源에 對한 植生學的 硏究」. 계명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2. 夏甛甛(2019). 「음파 단층촬영 기법을 이용한 노거수 진단 및 평가」. 동국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3. 김진석(2014). 「구례군 보호수의 생육환경 및 활력도에 관한 연구」. 전북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4. 김영훈(2018). 「경주 양동민속마을의 노거수 생육실태진단 및 관리개선방안」. 동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5. 이종범(2017). 「보호수 주변의 환경변화에 따른 생육실태 연구-평택시 보호수를 중심으로-」. 한경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6. 조명철(2010). 「노거수의 건강지표 개발 및 적용에 관한 연구」. 경상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7. 조승진(2013). 「느티나무 보호수 생육환경 조사와 내부 실태 진단에 따른 관리방안 연구」. 단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8. 홍자영(2020). 「수목비파괴단층촬영법을 이용한 전라북도 천연기념물 노거수 내부 부후에 관한 연구」. 전북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9. 황병재(2015). 「완주군 느티나무 보호수의 생육환경 및 활력에 관한 연구」. 전북대학교 석사학위논문. 
  30. 이동혁 외 1인(2009). 「노거수의 생육상태와 토양환경과의 상관관계 분석-부여군 느티나무 보호수를 중심으로-」. 한국전통조경학회. 춘계학술논문발표회. pp.97-101. 
  31. 이성호, 고대식(2020). 「LiDAR 3D 스캔 데이터를 이용한 보호수 관리기법」. 한국정보기술학회. pp.99-106. 
  32. 박종민, 이정택, 변무섭(2000). 「전북지역 노거수 자원의 실태조사분석에 관한 연구」. 한국전통조경학회. Vol.18, No.3. pp.86-96. 
  33. 손지원, 김한, 이나라, 신진호(2018). 「노거수 내부 생육상태 진단을 위한 음파 및 전기저항 단층촬영법 적용 사례 고찰」. 한국생태환경학회. No.2, p.75. 
  34. 한경화 외 3인(2011). 「토양 경도 측정방법 간 비교연구 한국토양비료학회지」. Vol. 44, No. 3, p.344. 
  35. 장은재, 김종원. 「노거수 생태와 문화」. 월드사이언스. 2007. 
  36. Shigo, A.L.(1991). Modern Arboriculture. Shigo and Trees Assoc. Durham. New Hampshire. p.424. 
  37. 財團法人 日本緑化センター(2009). 樹木診斷樣式. 
  38. http://www.sanlim.kr 
  39. https://www.argus-electronic.de 
  40. https://rinntech.info 
  41. https://www.fs.usda.gov 
  42. http://www.purumbio.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