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Implementation of the Socialist Enterprise Responsibility Management System in North Korea and Its Limits

북한의 사회주의기업책임관리제 시행의 특성과 제도적 한계

  • Jong-Woon Lee (Peace College of Liberal Arts, Hanshin University)
  • 이종운 (한신대학교 평화교양대학 )
  • Received : 2024.09.21
  • Published : 2024.09.30

Abstract

Through investigating the Socialist Enterprise Responsibility Management System, which forms the core of economic management improvement measures during the Kim Jong Un era, this article examines the changes of North Korea's state-owned enterprises management method and the tasks of corporate governance reform. The implementation of the Socialist Enterprise Responsibility Management System implies the regime's intention to institutionalize the market tendencies and at the same time increase its control of the economic sector. This paper analyzes the characteristics of the new enterprise management system and demonstrates the problems of the reform measures. This article could help in the further understanding of North Korea's recent economic situations and limitations of the state-owned enterprise reform in the Kim Jong Un era.

본고는 김정은 시대 경제관리 개선조치의 핵심을 이루는 사회주의기업책임관리제를 조사하여 북한 국영기업의 변화 동향과 기업관리제도 개혁의 과제를 살펴보고자 한다. 국영기업의 자율성과 책임 확대를 강조하는 사회주의기업책임관리제의 시행은 북한당국이 시장기능을 활용하면서 동시에 경제부문의 관리와 통제력을 증가시키려는 의도가 내포되어 있다. 그러나 계획화 체계를 유지하면서 시장화를 제한적으로 수용하는 기업관리제도 개편은 한계가 명확히 드러난다. 본고는 북한 국영기업의 관리체계 및 운영방식 변화를 파악하기 위해 사회주의기업책임관리제 실행의 내용과 특성, 문제점을 분석한다. 북한 국영기업의 변화 실태를 조사하는 연구를 통해 김정은 시대 기업관리체계 개편의 성과와 한계에 대한 이해를 증진하고자 한다.

Keywords

Acknowledgement

이 논문은 한신대학교 학술연구비 지원에 의하여 연구되었음.

References

  1. 강성남, 2016, "위대한 령도자 김정일 동지께서 사회주의경제관리의 개선완성에 쌓아올리신 불멸의 업적," 김일성종합대학학보 철학, 경제학 62(2), pp.57-59.
  2. 강철수, 2018, "현시기 사회주의기업책임관리제가 실지은을 내도록 하기 위한 재정적 방도," 경제연구, 2018년 4호, pp.56-57.
  3. 강철수, 2019, "현시기 사회주의기업체들의 경영지출보상에서 나서는 문제," 김일성종합대학학보 경제학 65(1), pp.10-20.
  4. 고금혁, 2016, "현시기 은행기관들을 상업은행화하는데서 나서는 중요한 문제," 김일성종합대학학보철학, 경제학 62(4), pp.130-132.
  5. 김경옥, 2017, "사회주의기업체들의 확대된 계획권과 생산조직권 행사의 중요요구," 경제연구, 2017년 1호, pp.12-14.
  6. 김미연, 2024, "2019년 사회주의 헌법 개정 이후 북한의 경제관리방식 변화: 경제 관련 개별법 개정 내용을 중심으로," 동북아연구 39(1), pp.79-111. https://doi.org/10.18013/JNAR.2024.39.1.003
  7. 김부헌.이승철, 2019, "절합된 (비-)경제적 관행의 공간과 사회적 재생산: 북한 시장화에 대한 경제지리학적 접근," 한국경제지리학회지 22(4), pp.381-404. https://doi.org/10.23841/EGSK.2019.22.4.381
  8. 김선화, 2016, "현시기 기업체들의 가격제정사업에서 나서는 중요한 문제," 김일성종합대학학보 철학, 경제학 62(4), pp.126-129.
  9. 김성철, 2015, "기업체들의 책임성과 창발성을 높일수 있게 인민경제계획사업을 개선하는데서 나서는 몇가지 문제," 경제연구 2015년 3호, pp.6-7.
  10. 김영흥, 2016, "현시기 협동생산을 합리적으로 조직하는 데서 나서는 중요문제," 김일성종합대학학보 철학, 경제학 62(2), pp.85-87.
  11. 김영희, 2018, "김정은 집권이후 기업관리운영체계 변화 연구," KDB북한개발 14, pp.80-128.
  12. 김홍일, 2015, "대외경제관계를 다각적으로 발전시키는 데서 나서는 중요 문제," 김일성종합대학학보 철학, 경제학 61(4), pp.71-77.
  13. 두광익, 2018, "기업체들에서의 가격제정방법," 김일성종합대학학보 철학, 경제학 64(3), pp.137-141.
  14. 렴병호, 2019, "현시기 경제관리를 합리화하기 위한 경제적공간의 리용," 경제연구, 2019년 2호, pp.16-18.
  15. 리기반, 2003, "사회주의 분배원칙을 정확히 구현하는 것은 경제관리개선 완성의 중요한 요구," 경제 연구 2003년 2호, pp.19-21.
  16. 박영자.조정아.홍제환.현인애.김보근, 2016, 북한 기업의 운영실태 및 지배구조, 통일연구원.
  17. 박원일, 2018, "생산물의 질제고에서 경제적공간의 합리적 리용," 김일성종합대학학보 철학, 경제학 64(3), pp.110-113.
  18. 법률출판사, 2016,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법전 (증보판), 법률출판사.
  19. 양문수, 2010, 북한경제의 시장화: 양태.성격.메커니즘.함의, 한울 아카데미.
  20. 양문수, 2016, "2015년 북한 시장화 동향과 향후 전망," KDI북한경제리뷰 18(1), pp.13-34.
  21. 양문수, 2017, "김정은 집권 이후 개정 법령을 통해 본 '우리식경제관리방법'," 통일정책연구 26(2), pp.81-115. https://doi.org/10.33728/UPS.2017.26.2.004
  22. 이석기.양문수.정은이, 2014, 북한 시장실태 분석, 산업연구원.
  23. 이석기.권태진.민병기.양문수.이동현.임강택.정승호, 2018, 김정은 시대 북한 경제개혁 연구: '우리식경제관리방법'을 중심으로, 산업연구원.
  24. 임강택, 2013, 북한경제의 비공식부문 실태 분석: 기업활동을 중심으로, 통일연구원.
  25. 임수호, 2019, "북한 '사회주의 기업 책임 관리제' 분석 및 시사점," INSS 전략보고 49, 국가안보전력연구원.
  26. 임을출, 2016, 김정은 시대의 북한경제: 사금융과 돈주, 한울 아카데미.
  27. 임을출, 2019, "김정은 시대의 기업관리방식과 역할 변화에 관한 연구," 세계지역연구논총 37(1), pp.115-142. https://doi.org/10.29159/KJAS.37.1.5
  28. 장경환, 2015, "공업기업소의 화폐축적과 분배에서 나서는 몇가지 문제," 경제연구, 2015년 1호, pp.45-47.
  29. 장현식, 2016, "현물지표별 계획수행평가방법을 개선하는데서 나서는 중요문제," 김일성종합대학학보 철학, 경제학 62(2), pp.99-101.
  30. 조길현, 2018, "기업체들 사이의 물자교류를 합리적으로 조직하는데서 나서는 중요한 문제," 김일성종합대학학보 철학, 경제학 64(3), pp.95-100.
  31. 조웅주, 2013, "현실발전의 요구에 맞게 주체사상을 구현한 우리식의 우월한 경제관리방법을 완성해 나가는데서 나서는 중요한 문제," 김일성종합대학보 철학, 경제학 59(3), pp.77-80.
  32. 조한범.임강택.양문수.이석기, 2016, 북한에서 사적경제 활동이 공식경제부문에 미치는 영향 분석, 통일연구원.
  33. 조혁명, 2017, "사회주의기업책임관리제 하에서 경영지출보상의 경제적 내용," 경제연구 2017년 4호, pp.18-19.
  34. 최지영, 2021, "북한 최고인민회의 제14기 제4차 회의 분석: 예결산 내용을 중심으로," 통일연구원 Online Series 21-04.
  35. 최진수, 2015, "현시기 기업관리에서 사회주의분배원칙의 요구를 철저히 구현하기 위한 중요방도," 경제연구, 2015년 3호, pp.10-11.
  36. 최용남, 2016, "현시기 자재공급사업을 개선하는데서 나서는 중요한 문제," 김일성종합대학학보 철학, 경제학 62(3), pp.103-106.
  37. 추석용, 2022, "북한 '사회주의 기업 책임관리제'의 추진과정과 특징," 북한학연구 18(1), pp.5-49.
  38. 황수민.양문수, 2020, "김정은 시대 '북한식' 금융개혁에 관한 연구," 국가전략 26(1), pp.167-197. https://doi.org/10.35390/SEJONG.26.1.202002.007
  39. 황주희, 2024, "김정은 시대 기업경영 질서 변화에 관한 연구: 법제도를 중심으로," 한국보훈논총 23(1), pp.111-128.
  40. Cai, F., Park, A. and Zhao, Y., 2008, The Chinese Labor Market in the Reform Era, Brandt L. and Rawski, T., China's Great Economic Transformation,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pp.167-214.
  41. Lee, J-W. and Gray, K., 2020, "North Korea, apparel production networks and UN sanctions: Resilience through informality," Journal of the Economic Geographical Society of Korea 23(4), pp.373-39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