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Nature-Culture Integrated Conservation and Management Centered on World Heritage Sites for Sustainable Development: A Cast Study of Getbol, Korean Tidal Flats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한 세계유산의 장소 중심 자연-문화 통합보존관리: 한국의 갯벌을 사례로

  • Sook-Jin Kim (Department of Geography/World Heritage Studies, Graduate School, Konkuk University)
  • 김숙진 (건국대학교 지리학과/대학원 세계유산학과 )
  • Received : 2024.09.26
  • Published : 2024.09.30

Abstract

Getbol, Korean Tidal Flats, were listed as UNESCO World Heritage Sites in 2021. They have been recognized as important habitats for endangered species and are crucial for the conservation of biodiversity. However, tidal flats do not exist solely as pure nature. Rather, they are places in which local residents have interacted with nature since ancient times. For the sustainable development of Korean tidal flats, it is necessary to consider not only the natural value of the tidal flats, but also the values of the lives and culture of the local residents who have interacted with nature. Nature-culture integrated conservation and management efforts centered on places encompasses all the natural and cultural elements of the tidal flats, as well as the tangible and intangible elements that emerge from the interaction between nature and culture. Ultimately, this will enable local residents to participate in tidal flat conservation and management, preserve and maintain biodiversity and cultural diversity, and develop specialized projects suited to the region, thereby bringing about sustainable development.

한국의 갯벌은 2021년 한국에서는 두 번째로 유네스코 세계자연유산으로 등재되었다. 멸종위기에 처한 종을 비롯한 생물다양성 보전을 위한 중요한 서식지로서의 가치를 인정받았으나 갯벌은 순수자연으로서 생태적 환경으로만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예로부터 갯벌이라는 자연과 상호작용하며 생활해 온 지역주민의 삶이 녹아든 터전이기도 하다. 한국의 갯벌의 보존관리에 지속가능한 관점을 적용하기 위해서는 갯벌의 자연적 가치뿐만 아니라 갯벌이라는 자연과 상호작용하며 생활해 온 지역주민의 삶과 문화의 가치도 고려해야 한다. 장소 중심의 자연-문화 통합보존관리는 장소를 중심으로 갯벌의 자연적 요소와 문화적 요소, 자연과 문화의 상호작용으로 나타난 유무형의 요소들을 모두 망라하여 통합적 시각으로 관리하는 것이다. 이는 종국적으로 지역주민의 갯벌 보존관리 참여, 생물다양성과 문화다양성의 보존과 유지, 해당 지역에 맞는 특화사업 발굴이 가능하게 하여 갯벌 지역의 지속가능한 발전을 가져올 것이다.

Keywords

References

  1. 김도균, 2010, "어촌마을의 사회자본과 어촌계: 3 개의 어촌마을 비교연구: 3 개의 어촌마을 비교연구," 농촌사회 20(1), pp.195-232.
  2. 김숙진, 2017. "생물권보전지역의 지속가능한 발전-운곡습지의 생태관광을 중심으로," 한국사진지리학회지 27(1), pp.151-166.
  3. 김숙진, 2022, "인류세 시기 세계유산의 자연-문화 연계통합보존관리를 위한 장소 중심 접근법의 필요성," 문화역사지리 34(3), pp.36-49.
  4. 김준, 2011, "마을어장의 위기와 가치의 재인식," 도서문화 38, pp.245-272.
  5. 김준, 2012, "어촌의 재인식과 갯벌인식 증진을 위한 연구: 갯살림과 어촌공동체를 중심으로," 민속연구 25, pp.19-49.
  6. 김준, 2019, "서남해안 어촌의 갯벌이용형태와 지속가능한 어업-갯벌세계유산 신청지역을 중심으로," 남도민속연구 38, pp.7-43.
  7. 문경오, 2015, "서남해안 갯벌의 세계유산 등재를 위한 보호 및 관리체계 연구," 문화재 48(3), pp. 80-95.
  8. 문화재청, 2011, 2011년 문화재위원회 세계유산분과 제3차 회의록.
  9. 문화재청, 2013, 2013년 문화재위원회 세계유산분과 제2차 회의록.
  10. 문화재청, 2015, 2015년 문화재위원회 세계유산분과 제3차 회의록.
  11. 문화재청, 2018, 2018년 문화재위원회 세계유산분과 제1차 회의록.
  12. 송기태, 2011, "양식어업에 따른 생태인지체계의 확장과 '해산물 부르기'의례의 진화: 전남 남해안지역 갯제를 중심으로: 전남 남해안지역 갯제를 중심으로," 도서문화 38, pp.273-308.
  13. 송기태, 2012, "어경의 시대, 바다 경작의 단계와 전망," 민속연구 25, pp.85-116.
  14. 임종덕, 2013, "우리나라 지질유산의 보존과 가치 증진을 위한 사례 연구," 문화재 46(2), pp.114-135.
  15. 조유진.김숙진, 2016, "고도보존육성법과 세계유산협약의 접점에서 찾은 역사도시의 지속가능한 발전과 주민 참여방법: 백제역사유적지구를 중심으로," 한국도시지리학회지 19(3), pp.27-43.
  16. 해양수산부, 2020a, 해양문화연구총서 03 섬과 바다의 전통지식, 세종시, 해양수산부.
  17. 해양수산부, 2020b, 해양문화연구총서 04 어촌사람들의 삶과 생활, 세종시, 해양수산부.
  18. 해양수산부, 2021a, 해양문화연구총서 05 갯바위를 둘러 싼 공동체와 어업기술, 세종시, 해양수산부.
  19. 해양수산부, 2021b, 해양문화연구총서 06 갯벌의 어민생활과 어로활동, 세종시, 해양수산부.
  20. Bazelmans, J., Meier, D., Nieuwhof, A., Spek, T. and Vos, P. 2012. "Understanding the cultural historical value of the Wadden Sea region: The co-evolution of environment and society in the Wadden Sea area in the Holocene up until early modern times (11,700 BC-1800 AD): An outline," Ocean & Coastal Management 68, pp. 114-126.
  21. Cwss Lancewadplan leaflet, Passing project on the Lancewadplan Treasure. http://www.lancewad.org/Leaflet/lancewadplan_leaflet.htm
  22. Decision 41 COM 7, https://whc.unesco.org/en/decisions/6940/ (최종열람일: 2024년 7월 23일)
  23. Egberts, L. 2018. "Moving beyond the hard boundary: Overcoming the nature-culture divide in the Dutch Wadden Sea area," Journal of Cultural Heritage Management and Sustainable Development 9(1), pp.62-73.
  24. Enemark, J., Fischer, L. and Reise, K., 2018, Protecting the natural and cultural values of the Wadden Sea coast in the Anthropocene: An urgent call for integration, in Egbert et al.(eds), Waddenland Outstanding: The History, Landscape and Cultural Heritage of the Wadden Sea Region, Amsterdam: Amsterdam University Press, pp.67-79.
  25. IUCN, 2020, World Heritage Nomination - IUCN Technical Evaluation, Getbol, Korean Tidal Flat (Republic of KOrea) - ID N° 1591.
  26. Kari, S. and Rossler, M., 2017, "A world heritage perspective on culture and nature: beyond a shared platform," The George Wright Forum 34(2), pp.134-141.
  27. Mitchell, N., Brown, J. and Barrett B., 2017, "Natureculture journeys: Exploring shared terrain," The George Wright Forum 34(2), pp.123-127.
  28. Pott, A., 2017, "An urgent journey: realizing the potential of integrated nature-culture approaches to create a sustainable world," The George Wright Forum 34(2), pp. 229-237.
  29. TWSC, 2010, Joint Declaration.
  30. UNESCO, 1972, Convention concerning the Protection of the World Cultural and Natural Heritage.
  31. UNESCO, 2005, Operational Guidelines.
  32. UNESCO, 2011, Operational Guidelines.
  33. UNESCO, 2015, Operational Guidelines.
  34. UNESCO, 2015, Policy for the integration of a sustainable development perspective into the processes of the World Heritage Convention.
  35. UNESCO, 2020, 1591-2343-Nomination Text-en, Maps-en (= 한국의 갯벌 등재신청서).
  36. UNESCO, 2021, Decision 44 COM 8B.6
  37. WHC/21/44.COM/18 https://whc.unesco.org/en/decisions/7925, (최종열람일: 2024년 6월 30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