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Using Regional Employment Survey, this article analyzes the widening employment gap between Capital and Non-Capital regions since the 2008 global financial crisis through describing the spatial distribution of employment by industry and occupation, calculating the regional downward employment rate of university graduates, and estimating the regional distribution of employment growth in terms of wage distribution, and then statistically analyzes the effect of the declining manufacturing employment in the Non-Capital region since the mid-2010s on total employment change. The results from these analyses are as follows. First, since the mid-2000s, the share of producer services and white-collar jobs has increased in the Capital region. Second, the Non-Capital region has a higher share of non-regular workers relative to wage workers than the Capital region. Third, while the downward employment rate has increased in the Non-Capital region since the mid-2010s, it has risen very modestly or stagnated in the Capital region. Fourth, in terms of wage distribution, the pattern of employment growth since the mid-2010s has been U-shaped, a typical polarized pattern of simultaneous growth in low- and high-wage jobs and decline in middle-wage jobs in the Non-Capital region, while in the Capital region it has been L-shaped with the sides reversed, driven by growth in high-wage jobs. Fifth, this employment polarization in the Non-Capital region since the mid-2010s is associated with employment changes in manufacturing, which accounts for a large share of middle wage jobs. Finally, according to the analysis of the effect of regional manufacturing employment changes on total employment changes since the mid-2010s, declines in manufacturing employment reduce the region's regular employment rate and have a larger negative employment effect in the Non-Capital region. Based on these findings, some policy issues are discussed including the branch plant economy regime based on spatial separation of conception and execution, the mix of geographic and skill mobility, the need to improve employability and jobs through human capital accumulation, and short- and long-term responses to employment fluctuations.
이 논문은 통계청의 지역별 고용조사 자료를 활용해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현재까지 심화하고 있는 수도권과 비수도권 간 일자리 격차를 산업·직업별 일자리의 공간 분포 분석, 4년제 대졸자의 지역별 하향 취업률 산정, 일자리 접근법을 이용한 지역별 일자리 분포 추정 등 다양한 측면에서 분석하고, 2010년대 중반 이후 비수도권의 제조업 고용감소가 전체 고용 변화에 미치는 효과를 통계적으로 추정한다. 이러한 분석으로부터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2000년대 중반 이후 수도권에서는 생산자서비스업과 관리전문사무직의 비중이 늘고 있다. 둘째, 비수도권에서 임금 근로자 대비 비정규직 비중이 더 높다. 셋째, 2010년대 중반 이후 비수도권의 하향취업률이 증가하는 추세이지만, 수도권의 그것은 이와 달리 매우 완만하게 증가하거나 횡보한다. 넷째, 분배 측면에서 일자리의 분포 패턴을 보면, 2010년대 중반 이후 비수도권에는 저임금과 고임금 일자리가 동시에 증가하고 중간 일자리가 줄어드는 전형적인 양극화 패턴인 U자형이 나타나고, 반면 수도권에는 고임금 일자리 증가가 주도하는 좌우가 뒤바뀐 L자형 패턴이 드러난다. 다섯째, 비수도권 분위별 일자리 분포가 2010년대 중반 이후 양극화 패턴을 보여주는 것은 중간 분위 일자리를 다수 차지하는 제조업 고용변동과 연관이 있다. 마지막으로, 2010년대 중반 이후 지역 제조업 고용변동이 전체 고용변동에 미친 효과를 추정한 결과에 따르면, 제조업 고용감소는 해당 지역의 상용직 고용률을 떨어뜨리며, 비수도권에서 부정적 고용효과가 더 크다. 이러한 분석 결과에 기반해 구상과 실행의 공간적 분리에 따른 분공장 경제, 지리적 이동성과 숙련 이동성의 혼합, 인적자본 축적을 통한 고용 가능성 제고와 일자리 문제, 단기와 장기 대응 등의 정책적 이슈에 대해 논의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