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청년농업인의 공동체 의식이 영농지속 의향에 미치는 영향 - 청년농업인 공동체 회를 중심으로 -

Sense of Community Influencing Intent to Continue Farming for Young Farmers - Focusing on the Young Farmers 4-H Community -

  • 전미리 (경기도농업기술원)
  • Mi-Ri Jun (Gyeonggi-do Agricultural Research & Extension Services)
  • 투고 : 2024.06.05
  • 심사 : 2024.08.24
  • 발행 : 2024.09.30

초록

This study aims to identify the sense of community influencing Intent to continue farming for young farmers to sustain their farming. Data were was collected from 124 young farmers during October 2023 among members of the 4-H youth organization in Gyeonggi Province, South Korea. As a result of factor analysis, the sense of community was classified into three dimensions: sense of belonging, social interaction, and community bond. It was found that the intention to continue farming was classified into two dimensions: economic and social factors. Results showed that participants with less than five years of 4-H involvement had higher community awareness than those with more than five years. This study suggests that early-stage participants be more influenced by group belonging and interaction. Additionally, community awareness positively influenced both economic and social aspects of farming sustainability. Thus, higher community awareness among young farmers enhances the sustainability of their practices. This study is significant as it addresses the previously unexplored relationship between young farmers' community awareness and farming sustainability, suggesting that fostering community awareness can improve sustainable agricultural practices.

키워드

참고문헌

  1. 강혜정. (2017). 청년농업인.후계인력 육성방안. 한국농식품정책학회 2017년 하계학술대회 논문집, 23-39.
  2. 권태경. (2021). 청년농업인 자립의지가 영농지속성에 미치는 영향. 전북대학교 석사학위논문.
  3. 권태경, & 장동현. (2021). 청년농업인의 자립의지와 영농지속성에서 가족지지의 매개효과 분석. 농촌계획, 27(2), 59-67. doi:10.12653/JECD.2017.24.4.0237
  4. 김정호. (2003). 1990.1995.2000 농업총조사에 의한 농업구조 변화 분석. 한국농촌경제연구원.
  5. 김창길. (2013). 지속가능한 농업의 사회성 평가. 서울: 한국농촌경제연구원.
  6. 김태한. (2017). 근접맥락에서의 사회적 관계가 남녀청소년의 공동체의식 발달에 미치는 효과. 시민교육연구, 49(2), 1-25. doi:10.35557/trce.49.2.201706.001
  7. 당인숙, & 류진아. (2017). 농촌 마을만들기 참여주민의 공동체 의식 영향요인. 농촌지도와 개발, 24(4), 265-278. doi: 10.12653/JECD.2017.24.4.0265.
  8. 마상진, & 정기환. (2008). 신규 취농의 진입장애 해소 방안. 한국농촌경제연구원.
  9. 박관우. (2020). 귀농인의 정주만족도와 귀농지속의사에 미치는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광운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0. 박덕병, 임광명, & 안재문. (2018). 농촌지역주민 공동체의식의 지역사회참여 영향요인. 농촌지도와 개발, 25(3), 135-148. doi:10.12653/JECD.2018.25.3.0135
  11. 방기혁. (2024). 청년농업인4-H 활동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운영 실태 및 요구분석. 실과교육연구, 30(2), 21-42. doi:10.29113/skpaer.2024.30.2.02
  12. 배봉영. (2014). 로컬푸드가 농업의 지속가능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제주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3. 백인순. (2023). 지역주민의 공동체의식이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공주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4. 성희자, & 이강형. (2013). 농촌지역 주민의 사회참여와 공동체의식이 "배타성"에 미치는 영향. 사회과학연구, 24(4), 315-332.
  15. 송인하. (2022). 창업농의 영농 경험과 영농 지속성. 농촌사회, 32(2), 139-177.
  16. 안다섬, 장동헌, & 문수희. (2022). 청년농업인의 스트레스가 영농만족과 이농의향에 미치는 영향. 농촌계획, 28(2), 1-9. doi:10.7851/ksrp.2022.28.2.001
  17. 이경한, & 박덕병. (2022). 어촌마을에서 공동체의식의 지역사회참여 영향요인. 농촌지도와 개발, 29(2), 65-79. doi:10.12653/jecd.2022.29.2.0065
  18. 이소영, 이민수, & 김진진. (2022). 청년농업인의 영농정착 특성 분석. 농촌지도와 개발, 29(2), 99-110. doi:10.12653/JECD.2022.29.2.0099
  19. 이하나, & 김승희. (2022). 지역재생을 위한 농촌공동체의 변화와 협력. 사회과학연구, 61(2), 25-47. doi:10.22418/JSS.2022.8.61.2.25
  20. 임광명. (2017). 농촌지역사회 공동체의식 유형별 지역사회활동 참여 특성분석. 농촌지도와 개발, 24(4), 237-248. doi:10.12653/jecd.2017.24.4.0237
  21. 유정규. (1998). 환경문제의 심화와 지속가능한 농업발전을 위한 정책과제. 유기농업학회지, 6(2), 41-61.
  22. 장우석, & 정남수. (2013). 농촌 마을 공동체 유형에 따른 의식조사. 농촌계획, 19(2), 51-61. doi:10.7851/ksrp.2013.19.2.051
  23. 정성옥, & 장동헌. (2020). 농업인의 공동체의식이 조직몰입과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 농촌계획, 26(1), 13-22.
  24. 정진철. (2020). 농식품산업 청년인재 양성을 위한 과제. 2020년도 한국농산업교육학회 정기학술대회 발표자료집, 79-80.
  25. 정진철, 박보람, & 구장회. (2022). 청년농업인의 4-H활동 지원에 대한 요구 분석. 농업교육과 인적자원개발, 54(4), 1-28. doi:10.23840/agehrd.2022.54.4.1
  26. 정하나. (2022). 청년농업인의 농촌사회 정책의 어려움과 부모의 사회자본 영향에 관한 질적 연구. 농촌사회, 32(1), 67-108. doi:10.31894/JRS.2022.04.32.1.67
  27. 조윤희, 이강오, & 송경환. (2022). 시설원예 스마트팜 도입에 따른 변화가 지속적 영농활동 의지에 미치는 영향. 한국통신학, 47(11), 1957-1964. doi:10.7840/kics.2022.47.11.1957
  28. 홍성효, 송정기, & 김종수. (2012). 귀농귀촌의 지속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농촌사회, 22(2), 49-82.
  29. Davidson, W. B., & Cotter, R. (1991). The relationship between sense of community and subjective well-being, Journal of Community Psychology, 19(3), 246-253.
  30. Farrell, S. J., Aubry, T., & Coulombe, D. (2004). Neighborhoods and neighbors. Journal of Community Psychology, 32(1), 9-25. doi:10.1002/jcop.10082
  31. Mattessich, W. P., Center, W., Mattessich, P., & Monsey, B. (1997). Community building : What makes it work. Saint Paul, MN: Wilder Foundation Publications.
  32. McMillan., D., & Chavis, D. (1986). Sense of community: A definition and theory. Jounal of Community Psychology, 14(1), 6-23.
  33. Pe rdana, H., Irham, I., Hardyatuti, S., & Hartono, S. (2018). Farmers' willingness to continue corporate farming programs in Jetis Subdistrict, Bantul Regency, Yogyakarta. Agro Ekonomi, 31(1), 2541-1616. doi:10.22146/ae.52815
  34. Hounsome, B., Edwards, R. T., Hounsome, N., & Hounsome, J. (2011). Psychological morbidity of farmers and non-farming population: Results from a UK survey. Community Mental Health Journal, 48(4), 503-510. doi:10.1007/s10597-011-9415-8
  35. Katchova, L., & Ahearn, M. (2016). Dynamics of farmland ownership and leasing: Implications for young and beginning farmers. Applied Economic Perspectives and Policy, 38(2), 334-350. doi:10.1093/aepp/ppv024
  36. Wilkinson, D. (2007). The multidimensional nature of social cohesion. American Journal of Community Psychology, 40(3-4), 214-229. doi:10.1007/s10464-007-914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