참고문헌
- 강혜정. (2017). 청년농업인.후계인력 육성방안. 한국농식품정책학회 2017년 하계학술대회 논문집, 23-39.
- 권태경. (2021). 청년농업인 자립의지가 영농지속성에 미치는 영향. 전북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권태경, & 장동현. (2021). 청년농업인의 자립의지와 영농지속성에서 가족지지의 매개효과 분석. 농촌계획, 27(2), 59-67. doi:10.12653/JECD.2017.24.4.0237
- 김정호. (2003). 1990.1995.2000 농업총조사에 의한 농업구조 변화 분석. 한국농촌경제연구원.
- 김창길. (2013). 지속가능한 농업의 사회성 평가. 서울: 한국농촌경제연구원.
- 김태한. (2017). 근접맥락에서의 사회적 관계가 남녀청소년의 공동체의식 발달에 미치는 효과. 시민교육연구, 49(2), 1-25. doi:10.35557/trce.49.2.201706.001
- 당인숙, & 류진아. (2017). 농촌 마을만들기 참여주민의 공동체 의식 영향요인. 농촌지도와 개발, 24(4), 265-278. doi: 10.12653/JECD.2017.24.4.0265.
- 마상진, & 정기환. (2008). 신규 취농의 진입장애 해소 방안. 한국농촌경제연구원.
- 박관우. (2020). 귀농인의 정주만족도와 귀농지속의사에 미치는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광운대학교 박사학위논문.
- 박덕병, 임광명, & 안재문. (2018). 농촌지역주민 공동체의식의 지역사회참여 영향요인. 농촌지도와 개발, 25(3), 135-148. doi:10.12653/JECD.2018.25.3.0135
- 방기혁. (2024). 청년농업인4-H 활동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운영 실태 및 요구분석. 실과교육연구, 30(2), 21-42. doi:10.29113/skpaer.2024.30.2.02
- 배봉영. (2014). 로컬푸드가 농업의 지속가능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제주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백인순. (2023). 지역주민의 공동체의식이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공주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성희자, & 이강형. (2013). 농촌지역 주민의 사회참여와 공동체의식이 "배타성"에 미치는 영향. 사회과학연구, 24(4), 315-332.
- 송인하. (2022). 창업농의 영농 경험과 영농 지속성. 농촌사회, 32(2), 139-177.
- 안다섬, 장동헌, & 문수희. (2022). 청년농업인의 스트레스가 영농만족과 이농의향에 미치는 영향. 농촌계획, 28(2), 1-9. doi:10.7851/ksrp.2022.28.2.001
- 이경한, & 박덕병. (2022). 어촌마을에서 공동체의식의 지역사회참여 영향요인. 농촌지도와 개발, 29(2), 65-79. doi:10.12653/jecd.2022.29.2.0065
- 이소영, 이민수, & 김진진. (2022). 청년농업인의 영농정착 특성 분석. 농촌지도와 개발, 29(2), 99-110. doi:10.12653/JECD.2022.29.2.0099
- 이하나, & 김승희. (2022). 지역재생을 위한 농촌공동체의 변화와 협력. 사회과학연구, 61(2), 25-47. doi:10.22418/JSS.2022.8.61.2.25
- 임광명. (2017). 농촌지역사회 공동체의식 유형별 지역사회활동 참여 특성분석. 농촌지도와 개발, 24(4), 237-248. doi:10.12653/jecd.2017.24.4.0237
- 유정규. (1998). 환경문제의 심화와 지속가능한 농업발전을 위한 정책과제. 유기농업학회지, 6(2), 41-61.
- 장우석, & 정남수. (2013). 농촌 마을 공동체 유형에 따른 의식조사. 농촌계획, 19(2), 51-61. doi:10.7851/ksrp.2013.19.2.051
- 정성옥, & 장동헌. (2020). 농업인의 공동체의식이 조직몰입과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 농촌계획, 26(1), 13-22.
- 정진철. (2020). 농식품산업 청년인재 양성을 위한 과제. 2020년도 한국농산업교육학회 정기학술대회 발표자료집, 79-80.
- 정진철, 박보람, & 구장회. (2022). 청년농업인의 4-H활동 지원에 대한 요구 분석. 농업교육과 인적자원개발, 54(4), 1-28. doi:10.23840/agehrd.2022.54.4.1
- 정하나. (2022). 청년농업인의 농촌사회 정책의 어려움과 부모의 사회자본 영향에 관한 질적 연구. 농촌사회, 32(1), 67-108. doi:10.31894/JRS.2022.04.32.1.67
- 조윤희, 이강오, & 송경환. (2022). 시설원예 스마트팜 도입에 따른 변화가 지속적 영농활동 의지에 미치는 영향. 한국통신학, 47(11), 1957-1964. doi:10.7840/kics.2022.47.11.1957
- 홍성효, 송정기, & 김종수. (2012). 귀농귀촌의 지속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농촌사회, 22(2), 49-82.
- Davidson, W. B., & Cotter, R. (1991). The relationship between sense of community and subjective well-being, Journal of Community Psychology, 19(3), 246-253.
- Farrell, S. J., Aubry, T., & Coulombe, D. (2004). Neighborhoods and neighbors. Journal of Community Psychology, 32(1), 9-25. doi:10.1002/jcop.10082
- Mattessich, W. P., Center, W., Mattessich, P., & Monsey, B. (1997). Community building : What makes it work. Saint Paul, MN: Wilder Foundation Publications.
- McMillan., D., & Chavis, D. (1986). Sense of community: A definition and theory. Jounal of Community Psychology, 14(1), 6-23.
- Pe rdana, H., Irham, I., Hardyatuti, S., & Hartono, S. (2018). Farmers' willingness to continue corporate farming programs in Jetis Subdistrict, Bantul Regency, Yogyakarta. Agro Ekonomi, 31(1), 2541-1616. doi:10.22146/ae.52815
- Hounsome, B., Edwards, R. T., Hounsome, N., & Hounsome, J. (2011). Psychological morbidity of farmers and non-farming population: Results from a UK survey. Community Mental Health Journal, 48(4), 503-510. doi:10.1007/s10597-011-9415-8
- Katchova, L., & Ahearn, M. (2016). Dynamics of farmland ownership and leasing: Implications for young and beginning farmers. Applied Economic Perspectives and Policy, 38(2), 334-350. doi:10.1093/aepp/ppv024
- Wilkinson, D. (2007). The multidimensional nature of social cohesion. American Journal of Community Psychology, 40(3-4), 214-229. doi:10.1007/s10464-007-914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