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nalyzing the Resilience of Innovation City through the Application of Adaptive Cycle and Panarchy - Focusing on Ulsan Ujeong Innovation City

적응순환계와 패나키의 적용을 통한 혁신도시의 리질리언스 분석 -울산 우정혁신도시 사례를 중심으로-

  • Received : 2024.06.11
  • Accepted : 2024.09.03
  • Published : 2024.09.30

Abstract

The central government has been promoting innovation cities since the early 2000s for the balanced development of the country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s of overcrowding in the metropolitan area and underdevelopment of the country due to rapid urbanization since the 1980s. The 10 innovation cities built through the regional relocation of public institutions were expected to have positive effects such as economic revitalization and population influx, but uncertainties and various externalities still exist.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analyze innovation cities from the perspective of urban resilience to create sustainable cities. To this end, the research analyzed urban factors in the physical, natural, social, economic, and institutional dimensions of Ulsan Ujeong Innovation City, and applied the Adaptive Cycle and Panarchy to comprehensively analyze them. As a result of the analysis, it was found that the built, socio-economic, and natural environments are currently undergoing the adaptive cycle stages of preservation, reorganization, and growth, respectively, and the interaction and structural causal relationships between Korea, Ulsan Metropolitan City, and Ulsan Ujeong Innovation City were identified. The study concluded that Ulsan Ujeong Innovation City can be sustainable by utilizing opportunities such as the central government's Innovation City Season 2 and financial support, construction of Janghyeon Advanced Industrial Complex, and fostering local innovation clusters according to local conditions.

중앙정부는 1980년대 이후 급속한 도시화에 따른 수도권 과밀화 및 국토의 난개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2000년대 초반부터 국토의 균형적 발전을 위해 혁신도시를 추진하였다. 공공기관의 지역 이전을 통해 건설된 10개의 혁신도시는 경제 활성화, 인구 유입 등 긍정적인 효과를 기대했으나, 아직까지 불확실성과 다양한 외부효과가 존재한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지속가능한 도시 조성을 위해 도시 리질리언스 관점에서 혁신도시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에 울산 우정혁신도시를 대상으로 물리적·자연적·사회적·경제적·제도적 차원의 도시 요소를 분석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적응순환계(Adaptive Cycle)와 패나키(Panarchy)를 적용하여 종합적으로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현재 물리적 환경과 사회·경제적 환경, 자연적 환경은 각각 보존, 재구성, 성장의 적응적 순환 단계를 겪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대한민국과 울산광역시, 울산 우정혁신도시 간의 상호작용과 구조적인 인과관계를 확인하였다. 이를 통해, 울산 우정혁신도시는 중앙정부의 혁신도시 시즌2와 재정적 지원, 장현첨단산업단지 건설, 지역혁신클러스터 육성 등의 기회를 지역 여건에 맞게 활용함으로써 지속가능할 수 있다고 보았다.

Keywords

Acknowledgement

이 논문은 정부(과학기술정보통신부)의 재원으로 한국연구재단의 지원을 받아 수행된 연구임(2022R1F1A1063498).

References

  1. Gunderson, L.H. and Holling, C.S., 2002, Panarchy: understanding transformations in human and natural systems, Washington DC: Island Press.
  2. Patel, R., and Nosal, L., 2016, Defining the resilient city, New York: United Nations University Centre for Policy Research.
  3. UN-Habitat., 2017, Trends in Urban Resilience.UN Habitat. https://doi.org/10.1007/978-3-319-39812-9.
  4. 김태환 외, 2016, 한국 국가도시정책의 전략과 과제, 경기: 국토연구원.
  5. 대통령자문 정책기획위원회, 2008, 공공기관 지방이전 및 혁신도시 건설: 수도권과 지방의 조화로운 발전과 혁신, 서울: 대통령자문 정책기획위원회.
  6. 이소영.최민정, 2020, 지역혁신 강화를 위한 혁신도시 협력체계 구축 방안, 강원: 한국지방행정연구원.
  7. Adger, W.N., 2000, Social and ecological resilience: are they related?, Progress in Human Geography, 24(3), pp.347-364.
  8. Datola, G., 2023, Implementing urban resilience in urban planning: A comprehensive framework for urban resilience evaluation, Sustainable Cities and Society, 98, doi.org/10.1016/j.scs.2023.104821.
  9. Holling, C.S., 1973, Resilience and Stability of Ecological Systems, Annual Review of Ecology and Systematics, 4(1), pp.1-23.
  10. Holling, C.S., 1986, The resilience of terrestrial ecosystems: local surprise and global change, Cambridge: Sustainable Development of the Biosphere, pp.292-317.
  11. Holling, C.S., et al., 2002, Resilience and Adaptive Cycles. Understanding transformations in Human and Ecological Systems, 3527, Washington DC: Island Press, pp.25-62.
  12. Marcus, L. and Colding, J., 2023, Placing Urban Renewal in the Context of the Resilience Adaptive Cycle, Land, 13(1), 8.
  13. Ostadtaghizadeh, A. et al., 2015, Community disaster resilience: A systematic review on assessment models and tools, PLoS Currents, 7.
  14. Ribeiro, R. et al., 2019, Urban resilience: A conceptual framework, Sustainable Citie and Society, 50, 101625.
  15. Rose, A., 2011, Economic resilience to natural and manmade disasters: Multidisciplinary origins and contextual, Environmental Hazards, 7(4), pp.383-398.
  16. 강성원.김혜림.문태헌, 2023, 혁신도시 건설에 따른 권역 내.외 인구이동 특성, 한국지리정보학회지, 26(4), pp.1-16.
  17. 고정우.이주림.구자훈, 2023, 대도시 및 중소도시 입지별 혁신도시의 청년인구 유입효과 비교분석, 한국지역개발학회지, 35(2), pp.45-68.
  18. 김민석, 2010, 건축.도시 공간에서 나타나는 복잡계적 창발 현상에 관한 실증적 연구, 대한건축학회 논문집 - 계획계, 26(10), pp.175-182.
  19. 김정홍, 2022, 혁신도시의 성과와 향후 과제, 산업경제이슈, 144, pp.1-12.
  20. 민혜숙.신승우, 2021, 혁신도시 개발정책 평가 - 지역 부동산 가격을 중심으로 -, 주거환경, 19(3), pp.165-183.
  21. 박정일.김지혜, 2018, 신시가지형 혁신도시 개발에 따른 대도시 인구분포 변화에 관한 연구 - 대구혁신도시 사례를 중심으로 -, 지역연구, 34(3), pp.55-68.
  22. 송혜승, 2018, 적응순환이론의 적용을 통한 저층주거지 지역 사회의 리질리언스 고찰-서울시 장수마을을 대상으로-, 한양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3. 송혜승.이명훈, 2017, 지역사회(Community) 연계를 통한 리질리언스 구축 가능성, 한국지방행정학보, 14(3), pp.193-212.
  24. 원제무, 2010, 한국 도시개발 패러다임 변천, 2010 춘계학술발표대회 논문집, pp.525-544.
  25. 이승재, 2009, 도시-건축연구의 복잡계 연구방법론 적용에 대한 고찰, 대한건축학회논문집(계획계), 25(8), pp.135-144.
  26. 이유철.김찬호, 2020, 혁신도시 개발성과의 평가와 검증에 관한 연구: 인구 분산과 지역경제 파급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지역개발학회지, 32(1), pp.47-68.
  27. 임예진.조영태, 2022, 혁신도시의 인구 효과 분석: 나주 혁신도시를 중심으로, 한국인구학, 45(2), pp.1-21.
  28. 장영수, 2018, 「혁신도시 시즌2의 기본방향과 추진과제」, 국토, 439, pp.6-10.
  29. 장인수, 2021, 충북혁신도시 정책의 효과 분석: 지역경제 성장과 재정 여건 제고를 중심으로, 지역정책연구, 32(1), pp.96-115.
  30. 정은주.정봉현.나주몽, 2016, 도시의 지속가능성과 리질리언스에 관한 연구, 한국지역개발학회지, 28(4), pp.87-108.
  31. 최봉문 외, 2007, 혁신도시 건설과 지방도시 활성화, 도시정보, 299, pp.3-17.
  32. 한연동.김천권, 2013, 복잡계이론의 도시계획 정책 적용 가능성에 관한 연구, 한국지역개발학회 2013년 춘계학술대회 발표집, pp.243-255.
  33. 한표환, 2003, 국가균형발전을 위한 제도적기반 구축; 자립형 지방화를 위한 국가균형발전 특별법 제정방안, 한국정책학회 기타자료, 2003(1), pp.85-107.
  34. 건설교통부 외, 「공공기관 지방이전 계획」, 2005.06.24.
  35. 건설교통부, 「혁신도시입지선정지침(안)」, 2005.07.27.
  36. 경상일보, "태화.우정.유곡로 대책위 "차바 피해는 인재"", 2018.02.06.
  37. 경상일보, "[우정혁신도시 안착 언제쯤] 9곳중 2곳 사실상 미분양...전체의 35%", 2020.02.25.
  38. 관계부처 합동, 「「혁신도시 시즌2」 추진방안」, 2018.
  39. 국가균형발전위원회, 「新수도권 발전 및 혁신도시 건설 방안」, 2004.08.31.
  40. 국토교통부, "울산우정 혁신도시(택지) 개발사업 개발계획 및 실시계획 변경 승인 고시(국토교통부고시 제2015-000호)", 2015.12.23.
  41. 국토교통부 보도자료, "혁신도시 이전기업 혜택 대폭 확대... 수도권 지역 17개사 이전 완료", 2019.08.07.
  42. 국토교통부 보도자료, "수도권 소재 153개 공공기관 지방이전 완료", 2019.12.25.
  43. 국토교통부 보도자료, "24일 육아.창업공간 갖춘 혁신도시복합혁신센터 첫 삽", 2020.09.23.
  44. 연합뉴스, "법원, 울산 태풍 '차바' 피해 LH 책임 인정... 상인, 일부 승소", 2020.01.30.
  45. 울산신문, "트램 노선 확보로 우정혁신도시 정주여건 개선해야", 2022.03.02.
  46. 울산저널, "최근 5년간 감소하고 있는 울산의 인구유출, 해법은 없는가", 2021.08.30.
  47. 울산제일일보, "울산 혁신도시 인접 그린벨트 해제해 원형도시로", 2022.11.30.
  48. 전진형, 2016a, "21세기 패러다임의 변화, 지속가능성을 넘어 리질리언스로", 환경과 조경, 338호, pp.112-115.
  49. 전진형, 2016b, "새로운 사고의 틀, 리질리언스 사고", 환경과 조경, 340호, pp.114-119.
  50. 혁신도시발전추진단, 「2022년도 지역발전 추진실적 및 2023년도 추진계획」, 2023.
  51. "혁신도시 소개", 혁신도시발전추진단, 2024년 6월 30일 접속, https://innocity.molit.go.kr/content.do?key=22081720747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