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인구절벽 시대의 지역별 미혼 청년 여성 1인 월세 가구의 거주 유사성 및 상이성

Commonalities and Distinctions of Housing Outcomes of Unmarried Young Single Women in Rental Housing Amidst Demographic Cliff

  • 이현정 (경희대학교 주거환경학과 고령서비스-테크 융합전공)
  • Hyunjeong Lee
  • 투고 : 2024.01.11
  • 심사 : 2024.06.08
  • 발행 : 2024.09.30

초록

초저출산과 초고령화로 인구절벽 시대의 진입과 함께 국가소멸 위기가 현실화된 우리나라는 인구 자연 감소가 본격화된 가운데 청년인구의 유출로 지역 간 소멸 속도와 강도가 다르게 나타나고 있다. 극심한 인구 구조 변형 속에 지역소멸지수의 측정 인자이자 고용 및 주택시장의 열세 코호트인 가임연령기 여성은 사회인구학적 및 거주 특성 상 유사성과 상이성이 존재함에도 불구하고 정책적 관심이 미흡하다. 이에 본 연구는 내재적 요인으로 주거불안 집단인 월세 주택에 거주하는 미혼 청년(20-39세) 여성 1인 가구를 대상으로 거주환경 평가와 주거비 부담을 전국 네 지역으로 나뉘어 실증 분석하였다. 그 결과, 조사대상 가구는 수도권보다 비수도권에 더 많이 분포되었고 전체적으로 20대 후반의 고학력 임금근로자로 무부채 가구였다. 원룸형의 비(非)아파트 공동주택에 1년 남짓 거주 중이었고, 주거복지서비스 이용이 지극히 적었다. 또한 수도권 가구는 연령, 근로활동 참가율, 소득, 생활비에서 비수도권 가구보다 더 높았으며, 개별 침실을 갖춘 노후주택에 거주 중이고 면적 기준이 미달된 주택의 거주율이 다소 높았다. 한편 조사대상 가구의 거주 평가로 주택만족도와 전체 주거환경 만족도의 공통된 결정 변인은 모든 지역에서 생활환경 만족도였고, 추가 공통 변수로 주택만족도는 노후주택 거주 여부, 전체 주거환경 만족도는 도시인프라 만족도가 유의미하였다. 주거비 중 슈바베지수의 영향 변인은 수도권에서 소득대비주거비의 과부담, 비수도권에서 소득과 주거복지 서비스 이용이었고, 소득대비주거비의 결정 변수는 소득과 근로활동 미참여로 조사대상 가구의 고용과 소득이 거주성과 주거안정에 상당한 영향을 주고 나아가 지역 간 격차를 유도하는 변인으로 작용하였다.

In the face of an impending demographic cliff, this research delves into geographical disparities in socioeconomic statuses and living arrangements of young single women in rental housing and also to explore influential factors of their residential assessment and housing expenditure. From the Korean Housing Survey of 2020, the cross-sectional study identified 847 unmarried female single-person householders aged between 20 and 39 in four districts - Seoul and Gyeonggi-Incheon Area (GIA) of Seoul Metropolitan Area (SMA), and metropolises and non-metropolises of non-SMA. The empirical analyses revealed that regardless of regions, most of the respondents were college-educated, salaried employees in late 20s living in a studio flat, seldom bore debt and barely relied on social services. Renters in SMA, employment rate, income and living expenses were higher than those in non-SMA and they resided in small, old but adequate housing with a separate bedroom. In particular, Seoulites suffered from housing cost overburden but most singles in GIA benefited from the lowest housing burden. While the main determinant of residential assessment was livability, housing satisfaction was additionally affected by old housing and the satisfaction with residential environment was also explained by urban amenities. Despite geographical variations, housing expenditure was primarily driven by income and employment.

키워드

과제정보

본 연구는 정부(과학기술정보통신부)의 재원으로 한국연구재단의 지원을 받아 수행된 연구임(과제번호: 2023R1A2C1006288).

참고문헌

  1. 권연화.최열(2018), "1인가구의 연령별 특성에 따른 주거상.하향 이동에 관한 연구", 「국토연구」, 99: 97~112.
  2. 김선주(2020), "1인가구의 연령대별 특성과 주거만족도", 「주택도시연구」, 10(1): 39~62.
  3. 문수연.신광영(2021), "여성의 주거 이동과 주거 점유 형태의 변화: 집단중심추세 방법을 적용하여", 「한국사회정책」, 28(2): 121~154.
  4. 박종훈(2015), 「박종훈의 대담한 경제」, 서울: 21세기 북스.
  5. 유지영(2019), "우리나라 여성청년의 다차원적 빈곤에 관한 연구", 「디지털융복합연구」, 17(10): 85~91.
  6. 윤규리.김영철.장희순(2022), "청년 1인 가구의 주거선택 특성에 관한 연구", 「부동산경영」, 26: 43~66.
  7. 이인정.김미영(2021), "1인 가구 청년의 행복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성차를 중심으로",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22(7): 51~60.
  8. 이현정.김모윤(2019), "청년층 1인 가구의 사회경제적 지위 및 주거수준 변화에 관한 종단적 연구", 「한국주거학회논문집」, 30(4): 55~64.
  9. 이현정.임태균(2022a), "비수도권 및 수도권 지역 가구의 주거수준과 주거비 변화", 「한국주거학회논문집」, 33(4): 85~100.
  10. 이현정.임태균(2022b), "청년층 가구의 주거실태 변화에 관한 종단 분석", 「LHI Journal」, 13(2): 31~47.
  11. 이현정.최경민(2019), "비수도권 소멸위험지역의 권역별 주거수준 비교", 「한국주거학회논문집」 30(3): 87~99.
  12. 임혜순.김승희(2022), "강원도 청년여성 1인 가구 주거지원 모색: 춘천 거주 청년여성 1인 가구 FGD를 중심으로", 「사회과학연구」, 61(3): 75~95.
  13. 장진희(2022), "서울시 청년여성 1인가구의 일상생활 불안감에 미치는 영향요인 분석: 사회적 관계망과 주거특성을 중심으로", 「이화젠더법학」, 14(1): 71~113.
  14. 정병삼(2021), "한국 청년의 결혼 및 출산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의 성별 차이 분석", 「여성연구」, 108(1): 193~223.
  15. 통계청(2023), "장래인구추계: 2022~2072년", 대전.
  16. 하지은.김지현.김민지(2017), "주거침입 범죄두려움과 주거침입범죄 자기보호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성별 및 가구형태에 따른 차이를 중심으로", 「한국범죄심리연구」, 13(4): 185~204.
  17. 한국은행(2023), "초저출산 및 초고령 사회: 극단적 인구구조의 원인, 영향, 대책", 「경제전망보고서」, 11: 56~104.
  18. 增田寬也(2014), 「地方消滅: 東京一極集中が招く人口急減」, 東京: 中央公論新社.
  19. Dent, H. S. (2014), The Demopgraphic Cliff: How to Survive and Prosper During the Great Deflation Ahead, New York: Portfolio Penguin.
  20. Doling, J. and R. Ronald (2014), Housing East Asia: Socioeconomic and Demographic Challenges, Basingstok: Palgrave Macmillan.
  21. Dulberger, D. and H. Omer (2021), Non-Emerging Adulthood, New York: Cambridge University Press.
  22. Forrest, R. and N.-M. Yip (2013), Young People and Housing: Transitions, Trajectories and Generational Fractures, New York: Routledge.
  23. Kendig, H. L. (1986), "Housing Careers, Life Cycle and Residential Mobility: Implications for the Housing Market", Urban Studies, 21(3): 271~283.
  24. Kennett, P. and K. W. Chan (2011), Women and Housing, London: Routledge.
  25. Stein, M. (2012), Young People Leaving Care: Supporting Pathways to Adulthood, London: Jessica Kingsley Publishers.
  26. Statistics Korea (2024a), "Statistical Database", http://kosis.kr/. (in Korean)
  27. Statistics Korea (2024b), "Statistical Geographic In formation Service (SGIS)", https://sgis.kostat.go.kr/. (in Korean)
  28. OECD (2024), "Data Population Portal", https://data.oecd.org/pop/population.htm.
  29. UN (2024), "United Nations Data Portal", https://population.un.org/dataportal/hom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