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Characteristics of Yeong-dae Garden Recorded in Shijing and Mencius, and Its Perception in the Joseon Dynasty

『시경』과 『맹자』에 기록된 영대(靈臺) 원림의 특성과 조선시대 인식

  • Lim, Hansol (Environmental Planning Institute, Seoul National University)
  • 임한솔 (서울대학교 환경계획연구소)
  • Received : 2024.04.05
  • Accepted : 2024.08.23
  • Published : 2024.08.31

Abstract

Yeong-dae(靈臺), Yeong-yu(靈囿), and Yeong-so(靈沼) - so-called 'Yeong-dae Garden' – appear in the poem 'Dae-ah(大雅)․Yeong-dae(靈臺)' in Shijing(詩經) which is considered the record of the earliest garden in East Asia, in the chapter 'Yanghyewang(梁惠王)' of Mencius(孟子). Focusing on those records, this research clarifies their characteristics and discusses the aspects related to garden practices in the Joseon Dynasty. The Yeong-dae Garden is the garden of King Wen of the Zhou Dynasty, who is considered a sage of Confucianism. It is considered to be the first imperial garden in China, and the basic form of all gardens consists of mountains and water. The characteristics of Yeong-dae Garden can be specified through the texts of Shijing and Mencius, the comments written by Zhu Xi and others, and later literature, such as Sambohwangdo. The characteristics of Yeong-dae Garden are as follows: In terms of form, the three spatial elements corresponding to raised ground, a wide area for raising animals, and a pond with fish form a simple arrangement; in terms of function, it combines observation and rest; and in terms of symbolism, it signifies the companionship of the public sentiment and the leader's sincerity. In literature from the Joseon Dynasty, Yeong-dae Garden mainly appear in historical materials related to the King, and its meaning shows an aspect of differentiation into two functions: an observatory for astronomical observation and a garden for rest and appreciation. For the intellectuals of Joseon who sought to restore an ancient ideal state like the Zhou Dynasty through Zhu Xi's Neo-Confucianism, the Yeong-dae Garden served as a control device to warn against royal garden's practices and a symbolic mechanism to expand its meaning of existence to good politics.

본 연구는 동아시아에서 가장 이른 시기의 원림 기록으로 꼽히는 『시경』의 「대아·영대」에 등장하고 『맹자』의 「양혜왕」 장에 언급된 영대(靈臺)·영유(靈囿)·영소(靈沼), 일명 영대 원림에 주목해 그 특성을 규명하고 조선시대 원림 실천과 관련된 인식의 양상을 논한다. 영대 원림은 유학에서 성인으로 꼽히는 주나라 문왕의 원림으로서 중국 최초의 황가원림이자 산과 물의 조합으로 구성된 역대 원림의 기본 형식으로 평가된다. 영대 원림의 특성은 『시경』과 『맹자』의 경전 본문과 주자 등이 서술한 주석, 『삼보황도』 등의 후대 문헌을 통해 구체화할 수 있다. 형식 측면에서는 높이 돋운 땅과 동물을 기르는 너른 영역, 물고기가 있는 못에 해당하는 세 공간 요소가 간결한 배치를 이루고, 기능 측면에서는 관측과 휴식이 복합되어 있으며, 상징 측면에서는 민심의 동반과 지도자의 무일(無逸)을 뜻한다는 점이 영대 원림의 특성이다. 조선시대 문헌에서 영대 원림은 주로 왕실과 관련된 사료에 등장하며 그 의미는 천체관측 기능의 관천대와 휴식·감상 기능의 원림 두 가지로 분화되는 양상을 보인다. 주자 성리학을 경유하여 주나라와 같은 고대의 이상국가를 재현하고자 했던 조선의 인물들에게 영대 원림은 왕실의 원림 실천을 경계하는 제어 장치이자 그 존재의미를 선정(善政)으로 확장하는 상징 기제로 작용하였다.

Keywords

Acknowledgement

이 논문은 2021년 대한민국 교육부와 한국연구재단의 지원을 받아 수행된 연구임(NRF-2021S1A5B5A17057987)

References

  1. 김백선 역(2002) 국역 직산영소정어제시갱화첩. 천안: 성환문화원.
  2. 김일권(2007) 동양 천문사상, 인간의 역사. 서울: 예문서원.
  3. 김일권(2010) 첨성대의 영대적 독법과 신라 왕경의 삼옹제도 관점. 신라사학보 18: 5-31.
  4. 박소동 역(2019) 시경집전. 서울: 전통문화연구회.
  5. 서울역사박물관 학예연구부 전시운영과, 고려대학교 박물관 학예부(2002) 서울, 하늘.땅.사람. 서울: 서울역사 박물관 고려대학교 박물관.
  6. 서정화(2016) 주대의 명당과 벽옹에 관한 소고: 선진시기 종묘의 본원적 기능에 대한 궁구 과정에서. 동양철학 연구 87. 2016: 161-190.
  7. 성백효 역(2005) 맹자집주. 서울: 전통문화연구회.
  8. 세종대왕기념사업회 편(1978) (국역)증보문헌비고: 여지고 1-4. 서울: 세종대왕기념사업회.
  9. 송진 역(2021) 삼보황도. 파주: 아카넷.
  10. 실시학사경학연구회 역(2008) (역주) 시경강의 4. 서울: 사암.
  11. 윤국병(1978) 조경사. 서울: 일조각.
  12. 이성초, 최영준(2023) 论《诗经》园林诗发微. 중국학논총 79: 151-167.
  13. 이영식 역(2016) 모시정전 역해. 서울: 퍼플.
  14. 정동오(1996) 동양조경문화사. 광주: 전남대학교 출판부.
  15. 정연식(2010) 조선시대 관천대와 일영대의 연혁: 창경궁 일영대와 관련하여. 한국문화 51: 265-298.
  16. 차선근(2023) 물질종교 관점에서 본 영대: 물질 영대와 비물질 영대 가로지르기. 대순사상논총 44: 53-96.
  17. 한국전통조경학회(2016) 최신 동양조경문화사. 고양: 대가.
  18. Cui, L., Y. Zhang, T. Zhang, and Y. Jiang(2015) The protection methods and ideas of the city heritage district in Lingtai reconstruction during the Republic of China. Architecture & Culture 2015(6): 36-41.
  19. Deuchler, M.(1992) Confucian Transformation of Korea: A Study of Society and Ideology. 이훈상(역), 한국의 유교화 과정: 신유학은 한국 사회를 어떻게 바꾸었나. 서울: 너머북스, 2013.
  20. Li, Y. H.(1984) Cathay's Idea: Design Theory of Chinese Classical Architecture(華夏意匠: 中國古典建築設計原理分析). 이상해, 한동수, 이주행, 조인숙(역), 중국 고전건축의 원리. 서울: 시공사, 2000.
  21. Lim, H. S.(2016) Remains of Gyeongbokgung palace: from the Japanese invasion of Korea in 1592 until reconstruction by King Gojong in 1865. Proceedings of 11th International Symposium on Architectural Interchanges in Asia. Architectural Institute of Japan, Architectural Society of China,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22. Liu, T.(2015) The Confucian Gene of Chinese Classical Gardens(中国古典园林的儒学基因). Tianjin: Tianjin University Press.
  23. Luoyang Working Group of the Archaeology Institute in Chinese Academy of Social Sciences(1978) Lingtai ruins in the southern suburbs of Luoyang City in the Han and Wei dynasties(汉魏洛阳城南郊的灵台遗址). Archaeology 1. 54-57: 73-75.
  24. Wang, Y.(1990) Garden and Chinese Culture(園林與中國文化). 김대원(역), 원림과 중국문화. 서울: 학고방, 2014.
  25. Zhang, F.(2000) The History of Chinese Aesthetics(中國美學史). 백승도(역), 장파 교수의 중국미학사: 살펴 보다 맛보다 깨닫다. 파주: 푸른숲, 2012.
  26. 국가유산청 궁능유적본부. https://royal.khs.go.kr/
  27. 국립민속박물관. https://www.nfm.go.kr/
  28. 국립중앙도서관. https://www.nl.go.kr/
  29. 국사편찬위원회. 조선왕조실록. https://sillok.history.go.kr/
  30. 국사편찬위원회. 한국사데이터베이스. https://db.history.go.kr/
  31.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https://kyu.snu.ac.kr/)
  32. 한국고전번역원. 한국고전종합DB. https://db.itkc.or.kr/
  33. 하버드대학교 도서관. https://library.harvard.edu/