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가로수 식재 특성에 따른 도시 열환경 개선 효과 - 대구광역시 가로수 온습도 관측을 바탕으로 -

Effect of Roadside Tree Planting Characteristics on Improving Urban Thermal Environment - Based on Observations of Temperature and Humidity of Roadside Trees in Daegu Metropolitan City -

  • 손정민 (경북대학교 대학원 조경학과) ;
  • 엄정희 (경북대학교 산림과학.조경학부 조경학전공)
  • Son, Jeong-Min (Dept. of Landscape Architecture,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
  • Eum, Jeong-Hee (Dept. of Landscape Architecture,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 투고 : 2024.06.20
  • 심사 : 2024.06.26
  • 발행 : 2024.08.31

초록

본 연구는 가로수의 유무, 구조(교목 식재, 교목+관목 식재), 배열(1열 식재, 2열 식재)에 따른 온습도 변화를 분석하고 불쾌지수를 산출하여 열환경을 평가하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 이를 위해 대구광역시 달서구 및 중구 일대 가로를 대상으로 하여 2023년 6~9월경 3차례에 걸쳐 온습도 관측을 실시하였다. 달서구 일대 가로수 유무 및 구조에 대한 온습도 관측 결과, 온습도는 반비례하며 낮 동안에는 가로수가 있는 지역이 가로수가 없는 지역보다 기온이 낮은 것이 모든 관측 차수에서 명확하게 나타났다. 특히 기온이 높은 시간대(15~16시)로 갈수록 두 지역의 기온차는 더 커졌으며, 낮(14~16시) 동안 교목+관목 식재지, 교목 식재지, 가로수가 없는 지역 순으로 평균 기온이 낮고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밤과 새벽에는 교목 또는 교목+관목 식재지에서 최고 기온이 나타나는 경향을 보였다. 반면, 불쾌지수를 산출했을 때 교목뿐만 아니라 관목을 함께 식재한 지역의 열쾌적성이 가장 긍정적으로 나타났다. 중구 일대 가로수 배열에 대한 온습도 관측 결과, 온습도는 반비례하며 거의 모든 관측에서 2열 교목 식재지의 기온이 더 낮았고 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불쾌지수 또한 2열 교목 식재지가 1열 교목 식재지에 비해 더 긍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도시 가로수의 기온 저감 효과 및 열쾌적성 향상에 대해 정량적으로 분석함으로써 관련 도시숲 조성 사업 및 정책 시행에 있어 근거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This study aimed to analyze changes in temperature and humidity based on the presence of roadside trees (tree, tree + shrub) and their arrangement (single row, double row), and calculate the discomfort index to evaluate the thermal environment. For this, three temperature and humidity observation campaigns were conducted from June to September 2023 in Dalseo-gu and Jung-gu, Daegu. Results from the observation in Dalseo-gu showed that temperature and humidity were inversely related. During the day, areas with roadside trees consistently exhibited lower temperatures than those without trees. This pattern was evident in all observation campaigns. In particular, the temperature difference between the areas increased during peak heat hours (15:00-16:00). Specifically, the average temperatures were lowest in areas with tree + shrub planting, followed by tree-only areas, and highest in areas without trees, showing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The highest temperatures were observed at night and early morning in areas with trees or tree + shrub planting. Conversely, when calculating the discomfort index, areas with trees and shrubs showed the most favorable thermal comfort. In Jung-gu, nearly all observations indicated that areas with double-row tree-planting had significantly lower temperatures than areas with single-row tree-planting. The discomfort index was also found to be more positive in second-row tree planting areas compared to first-row tree planting areas. By quantitatively analyzing the cooling effect of urban roadside trees and the improvement in thermal comfort, this study provides empirical evidence that can be used to support urban forest projects and related policy implementations.

키워드

과제정보

본 연구는 산림조합중앙회 및 한국임업진흥원 "2023년 기후대응 도시숲 산림자원조사" 및 산림청(한국임업진흥원) "산림과학기술 연구개발사업(2022428B10-2224-0802)"의 지원을 받아 연구되었습니다.

참고문헌

  1. 강건, 최원식, 김재진(2022) 도시숲과 가로수가 대기 흐름과 기온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수치 연구. 대한원격탐사학회지 38(6): 1395-1406.
  2. 권유진, 이동근, 안새결(2019) 미시적 열섬현상 저감을 위한 도시 가로수 식재 시나리오별 분석-서울시를 대상으로. 환경영향평가 28(1): 23-34.
  3. 김현희, 김다빈, 공우석(2019) 서울시 여름철 불쾌지수의 시공간적 특성. 한국기후변화학회지 10(3): 173-184.
  4. 민진규, 엄정희, 성욱제, 손정민, 김주은(2022) 녹지 조성 시나리오에 따른 도시 열환경 개선 효과 분석. 한국조경학회지 50(6): 1-14.
  5. 박주현, 엄정희(2024) 도시열환경 개선 및 보행자 열 쾌적성 증대를 위한 효율적 가로녹지 조성방안 연구-계획 및 설계를 위한 매개변수 도출과 녹지조성 방법 제안을 중심으로. 한국조경학회지 52(2): 21-38.
  6. 엄정희, 민진규, 박주현, 손정민, 서홍덕, 오정학(2023) 가로수 식재 시나리오에 따른 기온 및 미세먼지 저감 효과 분석. 한국지리정보학회지 26(2): 68-81.
  7. 윤석환, 이동근, 박채연(2020) 도시 가로수의 증산 작용으로 인한 불쾌지수 변화 분석.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23(5): 29-43.
  8. 윤용한(2003) 수림의 계층구조가 녹지내의 기온 및 습도에 미치는 영향. 환경생물학회지 21(2): 120-125.
  9. 윤용한, 조계현, 백승엽, 김승태, 김원태(2003) 녹지주변의 토지이용형태가 녹지내의 기온저감효과에 미치는 영향. 한국잔디학회지 17(1): 45-52.
  10. 임현우, 조상만, 박수국(2022) ENVI-Met 시뮬레이션을 통한 도로 방향별 가로수 식재 형태에 따른 여름철 열 환경 개선 효과 분석. 한국조경학회지 50(2): 1-22.
  11. 장유정, 허혜숙, 김백조, 김성균, 홍기만, 이우균(2012) 한반도의 여름철 불쾌지수 특성 분석. 한국기후변화학회지 3(2): 89-100.
  12. 정희은, 한봉호, 곽정인(2015) 서울 도심 가로수 및 가로녹지의 기온 저감 효과와 기능 향상 연구. 한국조경학회지 43(4): 37-49.
  13. 조상만, 현철지, 박수국(2017) 여름철 인간 열환경지수에 미치는 가로수의 영향 분석. 한국조경학회지 45(5): 105-112.
  14. 조현민, 권태경(2022) 여름철 도시공원의 열환경 개선 효과-서울숲 미기상 관측자료 분석을 중심으로-. 한국조경학회지 50(6): 30-41.
  15. 한봉호, 곽정인, 김홍순(2013) 가로녹지 조성 및 관리를 위한 가로환경 영향요인 분석 연구-서울시 관리도로를 대상으로. 한국환경생태학회지 27(2): 253-265.
  16. Antoszewski, P., M. Krzyzaniak and D. Swierk(2022) The future of climate-resilient and climate-neutral city in the temperate climate zone. International Journal of Environmental Research and Public Health 19(7): 4365.
  17. Cheung, P. K., C. Y. Jim and C. T. Siu(2021) Effects of urban park design features on summer air temperature and humidity in compact-city milieu. Applied Geography 129: 102439.
  18. Herath, H. M. P. I. K., R. U. Halwatura and G. Y. Jayasinghe(2018) Evaluation of green infrastructure effects on tropical Sri Lankan urban context as an urban heat island adaptation strategy. Urban Forestry & Urban Greening 29: 212-222.
  19. Jayasinghe, S., V. Jayasooriya, S. M. Dassanayake and S. Muthukumaran(2024) Effects of street tree configuration and placement on roadside thermal environment within a tropical urban canyon. International Journal of Biometeorology 68(6): 1133-1142.
  20. Mirzaei, P. A. and F. Haghighat(2010) Approaches to study urban heat island-abilities and limitations. Building and Environment 45(10): 2192-2201.
  21. Morakinyo, T. E., W. Ouyang, K. K. L. Lau, C. Ren and E. Ng(2020) Right tree, right place (urban canyon): Tree species selection approach for optimum urban heat mitigation-development and evaluation. Science of the Total Environment 719: 137461.
  22. Norton, B. A., A. M. Coutts, S. J. Livesley, R. J. Harris, A. M. Hunter and N. S. Williams(2015) Planning for cooler cities: A framework to prioritise green infrastructure to mitigate high temperatures in urban landscapes. Landscape and Urban Planning 134: 127-138.
  23. Rahman, M. A., L. M. Stratopoulos, A. Moser-Reischl, T. Zolch, K. H. Haberle, T. Rotzer, H. Pretzsch and S. Pauleit(2020) Traits of trees for cooling urban heat islands: A meta-analysis. Building and Environment 170: 106606.
  24. Ren, Z., H. Zhao, Y. Fu, L. Xiao and Y. Dong(2022) Effects of urban street trees on human thermal comfort and physiological indices: A case study in Changchun city, China. Journal of Forestry Research 33(3): 911-922.
  25. Yan, S., T. Zhang, Y. Wu, C. Lv, F. Qi, Y. Chen, X. Wu and Y. Shen(2023) Cooling effect of trees with different attributes and layouts on the surface heat island of urban street canyons in summer. Atmosphere 14(5): 8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