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Effect of Project Based Learning Using Earth Science Data on Middle School Students' Knowledge-information Processing Competency, Communication and Collaboration Competency

지구과학 데이터 활용 프로젝트 학습이 중학생의 지식정보 처리 역량 및 의사소통과 협업 역량에 미치는 영향

  • Received : 2024.06.27
  • Accepted : 2024.08.14
  • Published : 2024.08.30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project-based learning program utilizing Earth science data and to evaluate its effects on students' knowledge-information processing competency and communication and collaboration competency. To achieve this, the ADDIE instructional design model was employed to create the program, which was then implemented with 75 second-year middle school students. The program's effectiveness was assessed using paired sample t-tests on the results of tests measuring knowledge-information processing competency and communication and collaboration competency. Additionally, reflection journals were analyzed to identify students' interest in and difficulties with the program. The study's conclusions are as follows: first, the Earth science data-based project learning program comprises three themes: 'Journey through the Planets of the Solar System,' 'I am a Marine Expert,' and 'Planning a Tidal Flat Experience Program.' Second, following the program's implementation, there was a significant improvement in the overall students' knowledge-information processing competency. Third, the program also led to a significant enhancement in students' communication and collaboration competency. Based on these findings, the study suggests the need for specific and continuous teacher support to provide students with successful experiences through the program, overcoming challenges in program implementation through collaboration with the information subject, and conducting research that microscopically analyzes students' interactions.

이 연구의 목적은 지구과학 데이터 활용 프로젝트 학습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프로그램이 학생들의 지식정보 처리 역량, 의사소통과 협업 역량에 미치는 효과를 확인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ADDIE 수업 설계 모형을 적용하여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중학교 2학년 학생 75명을 대상으로 적용하였다. 프로그램의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지식정보 처리 역량 검사, 의사소통과 협업 역량 검사 결과를 대응 표본 t 검정으로 분석하였고, 프로그램의 흥미와 어려움을 확인하기 위해 성찰일지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지구과학 데이터 활용 프로젝트 학습 프로그램은 '태양계의 행성 여행', '나는 해수 전문가', '갯벌 체험 프로그램 계획하기'라는 세 가지 주제로 구성되어 있다. 둘째, 프로그램 적용 후 전체 학생들의 지식정보 처리 역량이 유의미하게 향상되었다, 셋째, 프로그램 적용 후 전체 학생들의 의사소통 및 협업 역량이 유의미하게 향상되었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프로그램을 통해 학생들에게 성공적인 경험을 제공하기 위한 교사의 구체적이고 지속적인 지원 방안, 정보 교과와의 협업을 통한 프로그램 활용의 어려움 극복, 미시적으로 학생들의 상호작용을 분석하는 연구가 필요함을 제안하였다.

Keywords

Acknowledgement

이 논문은 2020년 대한민국 교육부와 한국연구재단의 지원을 받아 수행된 연구임(NRF-2020S1A3A2A01095782)

References

  1. 강인애, 정준환, 서봉현, 정득년(2011). 교실 속 즐거운 변화를 꿈꾸는 프로젝트 학습. 서울: 상상채널.
  2. 교육부(2015). 초.중등학교 교육과정 총론. 교육부 고시 제2015-74호[별책 1] 세종: 교육부.
  3. 교육부(2021년 4 20일). 국민과 함께하는 미래 교육과정 논의 본격 착수. 교육부 공식 블로그. https://if-blog.tistory.com/11998
  4. 구자옥(2006). 실시간 데이터를 활용한 지구과학탐구학습 자료 및 홈페이지 개발과 적용.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5. 김래영, 김은현(2020). 교육과정 핵심역량과 교과역량으로서의 지식정보처리 역량의 의미와 요소 분석. 교과교육학연구, 24(5), 500-510. https://doi.org/10.24231/RICI.2020.24.5.500
  6. 김문경, 최선영(2013). 초등과학에서 융합인재교육 프로젝트 학습이 학생의 창의적 문제해결력 및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효과. 과학교육연구지, 37(3), 562-572. https://doi.org/10.21796/JSE.2013.37.3.562
  7. 김민석(2013). 중학생 소집단의 과학적 모형의 사회적 구성과정 이해: 상황 정의와 상호주관성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8. 김상욱, 소금현(2016). 스마트기기를 활용한 프로젝트 학습이 초등과학 영재아의 과학학습 동기, 창의적 인성 및 창의적 문제해결력에 미치는 영향. 생물교육(구 생물교육학회지), 44(3), 364-371.
  9. 김은정, 박판우 (2002). 웹 기반의 프로젝트 학습을 위한 시스템 설계 및 구현. 정보교육학회논문지, 6(1), 53-63.
  10. 김찬종, 박인선, 안희수, 오필석, 김동영, 박영신(2005). 지구과학 탐구의 특징을 반영한 탐구 활동의 분석틀 개발 및 '지구의 역사와 지각 변동' 단원의 탐구 활동 분석. 한국지구과학회지, 26(8), 751-758.
  11. 노은희, 신호재, 이재진, 정현선(2018). 교과 교육에서의 디지털 리터러시 교육 실태 분석 및 개선 방안 연구. 진천: 한국교육과정평가원 RRC 2018-7.
  12. 노태희, 이봉우, 김선경, 장종목, 강석진, 양찬호, 박재근, 민진선, 배영혜, 오필석, 김연귀, 박창용(2018). 중학교 과학 2. 서울: 천재교과서.
  13. 문효진(2024). 디지털 교과서 특성과 학습 몰입도, 디지털 교과서 만족도, 학습 성과와의 관계 연구. 사회과학연구, 17(1), 261-287.
  14. 박민정(2007). 프로젝트 기반 수업을 통한 대학원 학생들의 학습경험에 관한 연구. 교육과정연구, 25(3), 265-288. https://doi.org/10.15708/KSCS.25.3.200709.011011
  15. 손미현(2020). 지식정보처리역량 함양을 위한 데이터 기반 과학탐구 모형 개발.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6. 손미현, 정대홍, 손정우(2018). 지식정보처리역량 관점에서 중학생들의 과학탐구활동 어려움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8(3), 441-449. https://doi.org/10.14697/JKASE.2018.38.3.441
  17. 송진웅, 강석진, 곽영순, 김동건, 김수환, 나지연 외(2019). 미래세대과학교육표준. 서울: 한국과학창의재단.
  18. 신명렬, 서혜애(2017). 문제중심학습(PBL) 기반 과학영재 수업이 초등과학영재 의 과학적 창의성 신장에 미치는 효과. 영재교육연구, 27(3), 367-386.
  19. 안희정, 이준호, 문두호(2013). 과학교사의 자유탐구 수업이 중학생들의 과학 학습 동기 및 과학의 정의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 교사교육연구, 52(3), 529-544. https://doi.org/10.15812/TER.52.3.201312.529
  20. 여상한, 엄우용(2014). 초등 교육과정과 연계한 프로젝트중심학습 설계 모형 개발. 교육공학연구, 30(2), 259-283.
  21. 유승희(2013). 프로젝트 수업을 통한 초등학교 1학년 아동의 학교생활 적응과정 탐색. 열린유아교육연구, 18(2), 415-448.
  22. 윤정현, 안인영, 노태희(2015). 과학 수업에서 스마트 기기를 활용한 개념 적응적 개별화 학습의 효과.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5(2), 325-331. https://doi.org/10.14697/JKASE.2015.35.2.0325
  23. 이규호, 권병두(2010). 지구과학적 현상의 특성을 고려한 추론 중심 탐구수업 모형 제안. 한국지구과학회지, 31(2), 185-202.
  24. 이용섭(2018). 프로젝트 기반 수업이 과학개념 및 과학학습 동기에 미치는 효과.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11(3), 203-211. https://doi.org/10.15523/JKSESE.2018.11.3.203
  25. 이재은, 조은진(2017). 텍스트 중심 유아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효과. 아동학회지, 38(1), 77-93.
  26. 이지애(2015). 중등 과학영재를 위한 안내된 프로젝트 학습 모형 개발 연구: 과학기반융합 프로그램 적용 사례를 중심으로. 부산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7. 정영란, 김동식(2003). 웹 기반 프로젝트 중심 학습에서 성찰적 실천 과정이 학습자의 태도 및 학습 결과에 미친 영향. 교육공학연구, 19(2), 87-115.
  28. 정은주(2020). 데이터 기반 과학탐구학습을 위해 개발한 SIDI 모형이 초등학생의 지식정보처리 역량과 협력적 문제 해결력에 미치는 영향. 경상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9. 정은주, 손정우(2019). 데이터 기반 과학탐구에 대한 초등학생의 인식 조사. 과학교육연구지, 43(2), 227-238. https://doi.org/10.21796/JSE.2019.43.2.227
  30. 조용(2020). 초.중등학교 핵심 프로젝트 교육과정 기준 개발 연구. 고려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31. 최윤성, 김종욱(2022). 가상 야외지질답사 모듈 개발에 참여한 초등학생들의 학습 효과 탐색.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15(2), 171-191. https://doi.org/10.15523/JKSESE.2022.15.2.171
  32. 한제준(2023). 초등 예비교사의 천문 개념에 대한 오개념 분포 분석.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16(3), 328-339. https://doi.org/10.15523/JKSESE.2023.16.3.328
  33. 함동철(2012). 천문 단원 모형 구성 수업에서 또래간 상호작용에 의한 중학생의 모형 변화 과정.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34. 허진(2020). 프로젝트 학습을 적용한 통합교과 수업이 의사소통능력과 협업능력에 미치는 영향. 서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5. Caspari-Sadeghi, S., & Konig, J. (2018). On the Adequacy of Expert Teachers: From Practical Convenience to Psychological Reality. International Journal of Higher Education, 7(5), 1-19. https://doi.org/10.5430/ijhe.v7n5p1
  36. Chen, G., Cheng, Q., & Puetz, S. (2023). Data-driven discovery in geosciences: Opportunities and challenges. Mathematical Geosciences, 55(3), 287-293.
  37. Cheng, Q., Oberhansli, R., & Zhao, M. (2020). A new international initiative for facilitating data-driven Earth science transformation. Geological Society, London, Special Publications, 499(1), 225-240. https://doi.org/10.1144/SP499-2019-158
  38. Gillies, R. M. (2023). Using Cooperative Learning to Enhance Students' Learning and Engagement during Inquiry-Based Science. Education Sciences, 13(12), 1242. https://doi.org/10.3390/educsci13121242
  39. Gopinathan, S., Kaur, A. H., Veeraya, S., & Raman, M. (2022). The role of digital collaboration in student engagement towards enhancing student participation during COVID-19. Sustainability, 14(11), 6844. https://doi.org/10.3390/su14116844
  40. Grant, J. S., & Kinney, M. R. (1992). Using the Delphi technique to examine the content validity of nursing diagnoses. International Journal of Nursing Terminologies and Classifications, 3(1), 12-22. https://doi.org/10.1111/j.1744-618X.1992.tb00193.x
  41. Hallermann, S., Larmer, J., & Mergendoller, J. R. (2011). PBL in the elementary grades: Step-by-step guidance, tools and tips for standards-focused K-5 projects. CA: Buck Institute for Education.
  42. Inhelder, B., & Piaget, J. (1958). The Growth of Logical Thinking from Childhood to Adolescence Basic. New York: Routledge & Kegan Paul Ltd. https://doi.org/10.1037/10034-000
  43. Kellough, R. D., & Kellough, N. G. (2008). Teaching young adolescents: Methods and resources for middle grades teaching (5th ed.). Upper Saddle River, NJ: Pearson Merrill Prentice Hall.
  44. Kim, D. G., & Lee, J. (2015). A study on improving information processing abilities based on PBL. E-Learning Systems, Environments and Approaches: Theory and Implementation, 199-210. Berlin: Springer https://doi.org/10.1007/978-3-319-05825-2_14
  45. OECD (2005). The definition and selection of key competencies: Executive summary. Paris: France. http://www.oecd.org/dataoecd/47/61/35070367.pdf
  46. Pressley, M., Borkwski, J. G., & Schneider, W. (1989). Good information processing: What it is and how education can promote it. International Journal of Educational Research, 13(8), 857-867. https://doi.org/10.1016/0883-0355(89)90069-4
  47. Ropo, E. (2004). Teaching expertise: Empirical findings on expert teachers and teacher development. In Professional learning: Gaps and transitions on the way from novice to expert (pp. 159-179). Dordrecht: Springer Netherlands.
  48. Ross, B., Chase, A. M., Robbie, D., Oates, G., & Absalom, Y. (2018). Adaptive quizzes to increase motivation, engagement and learning outcomes in a first year accounting unit. International Journal of Educational Technology in Higher Education, 15(1), 1-14. https://doi.org/10.1186/s41239-018-0113-2
  49. Seels, B. B., & Richey, R. C. (1994). Instructional technology: The definition and domains of the field. Washington: Association for Educational Communications and Technology.
  50. Stehle, S. M., & Peters-Burton, E. E. (2019). Developing student 21st Century skills in selected exemplary inclusive STEM high schools. International Journal of STEM education, 6, 1-15. https://doi.org/10.1186/s40594-019-0192-1
  51. Streiner, D. L. (2003). Starting at the beginning: an introduction to coefficient alpha and internal consistency. Journal of Personality Assessment, 80(1), 99-103. https://doi.org/10.1207/S15327752JPA8001_18
  52. Zhao, Y., & Wang, L. (2022). A case study of student development across project-based learning units in middle school chemistry. Disciplinary and Interdisciplinary Science Education Research, 4(1), 5. https://doi.org/10.1186/s43031-021-00045-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