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cknowledgement
이 논문은 2020년 대한민국 교육부와 한국연구재단의 지원을 받아 수행된 연구임(NRF-2020S1A3A2A01095782)
References
- 강인애, 정준환, 서봉현, 정득년(2011). 교실 속 즐거운 변화를 꿈꾸는 프로젝트 학습. 서울: 상상채널.
- 교육부(2015). 초.중등학교 교육과정 총론. 교육부 고시 제2015-74호[별책 1] 세종: 교육부.
- 교육부(2021년 4 20일). 국민과 함께하는 미래 교육과정 논의 본격 착수. 교육부 공식 블로그. https://if-blog.tistory.com/11998
- 구자옥(2006). 실시간 데이터를 활용한 지구과학탐구학습 자료 및 홈페이지 개발과 적용.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김래영, 김은현(2020). 교육과정 핵심역량과 교과역량으로서의 지식정보처리 역량의 의미와 요소 분석. 교과교육학연구, 24(5), 500-510. https://doi.org/10.24231/RICI.2020.24.5.500
- 김문경, 최선영(2013). 초등과학에서 융합인재교육 프로젝트 학습이 학생의 창의적 문제해결력 및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효과. 과학교육연구지, 37(3), 562-572. https://doi.org/10.21796/JSE.2013.37.3.562
- 김민석(2013). 중학생 소집단의 과학적 모형의 사회적 구성과정 이해: 상황 정의와 상호주관성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김상욱, 소금현(2016). 스마트기기를 활용한 프로젝트 학습이 초등과학 영재아의 과학학습 동기, 창의적 인성 및 창의적 문제해결력에 미치는 영향. 생물교육(구 생물교육학회지), 44(3), 364-371.
- 김은정, 박판우 (2002). 웹 기반의 프로젝트 학습을 위한 시스템 설계 및 구현. 정보교육학회논문지, 6(1), 53-63.
- 김찬종, 박인선, 안희수, 오필석, 김동영, 박영신(2005). 지구과학 탐구의 특징을 반영한 탐구 활동의 분석틀 개발 및 '지구의 역사와 지각 변동' 단원의 탐구 활동 분석. 한국지구과학회지, 26(8), 751-758.
- 노은희, 신호재, 이재진, 정현선(2018). 교과 교육에서의 디지털 리터러시 교육 실태 분석 및 개선 방안 연구. 진천: 한국교육과정평가원 RRC 2018-7.
- 노태희, 이봉우, 김선경, 장종목, 강석진, 양찬호, 박재근, 민진선, 배영혜, 오필석, 김연귀, 박창용(2018). 중학교 과학 2. 서울: 천재교과서.
- 문효진(2024). 디지털 교과서 특성과 학습 몰입도, 디지털 교과서 만족도, 학습 성과와의 관계 연구. 사회과학연구, 17(1), 261-287.
- 박민정(2007). 프로젝트 기반 수업을 통한 대학원 학생들의 학습경험에 관한 연구. 교육과정연구, 25(3), 265-288. https://doi.org/10.15708/KSCS.25.3.200709.011011
- 손미현(2020). 지식정보처리역량 함양을 위한 데이터 기반 과학탐구 모형 개발.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손미현, 정대홍, 손정우(2018). 지식정보처리역량 관점에서 중학생들의 과학탐구활동 어려움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8(3), 441-449. https://doi.org/10.14697/JKASE.2018.38.3.441
- 송진웅, 강석진, 곽영순, 김동건, 김수환, 나지연 외(2019). 미래세대과학교육표준. 서울: 한국과학창의재단.
- 신명렬, 서혜애(2017). 문제중심학습(PBL) 기반 과학영재 수업이 초등과학영재 의 과학적 창의성 신장에 미치는 효과. 영재교육연구, 27(3), 367-386.
- 안희정, 이준호, 문두호(2013). 과학교사의 자유탐구 수업이 중학생들의 과학 학습 동기 및 과학의 정의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 교사교육연구, 52(3), 529-544. https://doi.org/10.15812/TER.52.3.201312.529
- 여상한, 엄우용(2014). 초등 교육과정과 연계한 프로젝트중심학습 설계 모형 개발. 교육공학연구, 30(2), 259-283.
- 유승희(2013). 프로젝트 수업을 통한 초등학교 1학년 아동의 학교생활 적응과정 탐색. 열린유아교육연구, 18(2), 415-448.
- 윤정현, 안인영, 노태희(2015). 과학 수업에서 스마트 기기를 활용한 개념 적응적 개별화 학습의 효과.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5(2), 325-331. https://doi.org/10.14697/JKASE.2015.35.2.0325
- 이규호, 권병두(2010). 지구과학적 현상의 특성을 고려한 추론 중심 탐구수업 모형 제안. 한국지구과학회지, 31(2), 185-202.
- 이용섭(2018). 프로젝트 기반 수업이 과학개념 및 과학학습 동기에 미치는 효과.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11(3), 203-211. https://doi.org/10.15523/JKSESE.2018.11.3.203
- 이재은, 조은진(2017). 텍스트 중심 유아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효과. 아동학회지, 38(1), 77-93.
- 이지애(2015). 중등 과학영재를 위한 안내된 프로젝트 학습 모형 개발 연구: 과학기반융합 프로그램 적용 사례를 중심으로. 부산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정영란, 김동식(2003). 웹 기반 프로젝트 중심 학습에서 성찰적 실천 과정이 학습자의 태도 및 학습 결과에 미친 영향. 교육공학연구, 19(2), 87-115.
- 정은주(2020). 데이터 기반 과학탐구학습을 위해 개발한 SIDI 모형이 초등학생의 지식정보처리 역량과 협력적 문제 해결력에 미치는 영향. 경상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정은주, 손정우(2019). 데이터 기반 과학탐구에 대한 초등학생의 인식 조사. 과학교육연구지, 43(2), 227-238. https://doi.org/10.21796/JSE.2019.43.2.227
- 조용(2020). 초.중등학교 핵심 프로젝트 교육과정 기준 개발 연구. 고려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최윤성, 김종욱(2022). 가상 야외지질답사 모듈 개발에 참여한 초등학생들의 학습 효과 탐색.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15(2), 171-191. https://doi.org/10.15523/JKSESE.2022.15.2.171
- 한제준(2023). 초등 예비교사의 천문 개념에 대한 오개념 분포 분석.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16(3), 328-339. https://doi.org/10.15523/JKSESE.2023.16.3.328
- 함동철(2012). 천문 단원 모형 구성 수업에서 또래간 상호작용에 의한 중학생의 모형 변화 과정.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허진(2020). 프로젝트 학습을 적용한 통합교과 수업이 의사소통능력과 협업능력에 미치는 영향. 서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Caspari-Sadeghi, S., & Konig, J. (2018). On the Adequacy of Expert Teachers: From Practical Convenience to Psychological Reality. International Journal of Higher Education, 7(5), 1-19. https://doi.org/10.5430/ijhe.v7n5p1
- Chen, G., Cheng, Q., & Puetz, S. (2023). Data-driven discovery in geosciences: Opportunities and challenges. Mathematical Geosciences, 55(3), 287-293.
- Cheng, Q., Oberhansli, R., & Zhao, M. (2020). A new international initiative for facilitating data-driven Earth science transformation. Geological Society, London, Special Publications, 499(1), 225-240. https://doi.org/10.1144/SP499-2019-158
- Gillies, R. M. (2023). Using Cooperative Learning to Enhance Students' Learning and Engagement during Inquiry-Based Science. Education Sciences, 13(12), 1242. https://doi.org/10.3390/educsci13121242
- Gopinathan, S., Kaur, A. H., Veeraya, S., & Raman, M. (2022). The role of digital collaboration in student engagement towards enhancing student participation during COVID-19. Sustainability, 14(11), 6844. https://doi.org/10.3390/su14116844
- Grant, J. S., & Kinney, M. R. (1992). Using the Delphi technique to examine the content validity of nursing diagnoses. International Journal of Nursing Terminologies and Classifications, 3(1), 12-22. https://doi.org/10.1111/j.1744-618X.1992.tb00193.x
- Hallermann, S., Larmer, J., & Mergendoller, J. R. (2011). PBL in the elementary grades: Step-by-step guidance, tools and tips for standards-focused K-5 projects. CA: Buck Institute for Education.
- Inhelder, B., & Piaget, J. (1958). The Growth of Logical Thinking from Childhood to Adolescence Basic. New York: Routledge & Kegan Paul Ltd. https://doi.org/10.1037/10034-000
- Kellough, R. D., & Kellough, N. G. (2008). Teaching young adolescents: Methods and resources for middle grades teaching (5th ed.). Upper Saddle River, NJ: Pearson Merrill Prentice Hall.
- Kim, D. G., & Lee, J. (2015). A study on improving information processing abilities based on PBL. E-Learning Systems, Environments and Approaches: Theory and Implementation, 199-210. Berlin: Springer https://doi.org/10.1007/978-3-319-05825-2_14
- OECD (2005). The definition and selection of key competencies: Executive summary. Paris: France. http://www.oecd.org/dataoecd/47/61/35070367.pdf
- Pressley, M., Borkwski, J. G., & Schneider, W. (1989). Good information processing: What it is and how education can promote it. International Journal of Educational Research, 13(8), 857-867. https://doi.org/10.1016/0883-0355(89)90069-4
- Ropo, E. (2004). Teaching expertise: Empirical findings on expert teachers and teacher development. In Professional learning: Gaps and transitions on the way from novice to expert (pp. 159-179). Dordrecht: Springer Netherlands.
- Ross, B., Chase, A. M., Robbie, D., Oates, G., & Absalom, Y. (2018). Adaptive quizzes to increase motivation, engagement and learning outcomes in a first year accounting unit. International Journal of Educational Technology in Higher Education, 15(1), 1-14. https://doi.org/10.1186/s41239-018-0113-2
- Seels, B. B., & Richey, R. C. (1994). Instructional technology: The definition and domains of the field. Washington: Association for Educational Communications and Technology.
- Stehle, S. M., & Peters-Burton, E. E. (2019). Developing student 21st Century skills in selected exemplary inclusive STEM high schools. International Journal of STEM education, 6, 1-15. https://doi.org/10.1186/s40594-019-0192-1
- Streiner, D. L. (2003). Starting at the beginning: an introduction to coefficient alpha and internal consistency. Journal of Personality Assessment, 80(1), 99-103. https://doi.org/10.1207/S15327752JPA8001_18
- Zhao, Y., & Wang, L. (2022). A case study of student development across project-based learning units in middle school chemistry. Disciplinary and Interdisciplinary Science Education Research, 4(1), 5. https://doi.org/10.1186/s43031-021-00045-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