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부부의 외현적 자기애와 결혼만족도의 관계에서 갈등대처방식의 상호의존 매개효과: APIMeM 적용

Interdependence Mediating Effect of Conflict Resolution Style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ouple's Overt Narcissism and Marital Satisfaction

  • 고수연 (중앙대학교 아동청소년학과) ;
  • 박정윤 (중앙대학교 심리학과)
  • 투고 : 2024.06.17
  • 심사 : 2024.08.07
  • 발행 : 2024.08.31

초록

본 연구는 부부의 성격요인인 외현적 자기애 특성과 상호관계적인 요인인 갈등대처방식이 부부의 결혼만족도에 미치는 자기효과와 상대방효과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조사전문기관을 통해 부부를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부부 337쌍의 자료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자료분석은 자기-상대방 상호의존 매개모형(Actor-Partner Interdependence Mediation Model; APIMeM)을 사용하여 AMOS 28.0 프로그램을 통해 구조모형분석과 개별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남편과 아내의 외현적 자기애는 자신의 결혼만족도에 미치는 직접 자기효과가 나타났으며, 남편의 외현적 자기애는 아내의 결혼만족도에 미치는 직접 상대방효과가 나타났다. 둘째, 남편과 아내의 외현적 자기애는 자신의 결혼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서 갈등대처방식의 간접 자기효과가 나타났으며, 남편의 외현적 자기애가 높을수록 아내의 부적응적인 갈등대처방식에 영향을 미쳐 남편과 아내의 결혼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간접 상대방효과가 나타났다. 본 연구는 남편의 외현적 자기애와 아내의 갈등대처방식이 부부의 결혼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변인임을 밝혔다. 이를 통해 외현적 자기애 특성과 성별 특성을 고려한 차별화된 개입을 통해 부부의 결혼만족도 향상의 효과성을 기대해 볼 수 있다.

This study examined the actor-effects and partner-effects of overt narcissism as a personality factor and conflict resolution styles as an interpersonal factor on marital satisfaction among couples. Data were collected from 337 couples through a survey conducted by a research institute.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nd individual mediation effects were verified using the Actor-Partner Interdependence Mediation Model (APIMeM) in the AMOS 28.0 program.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both husbands' and wives' extraversion showed direct self-effects on their own marital satisfaction. Additionally, husbands' overt narcissism demonstrated a direct partner-effect on wives' marital satisfaction. Second, overt narcissism in both husbands and wives showed indirect self-effects through conflict resolution styles on marital satisfaction. Higher levels of husbands' overt narcissism influenced wives' maladaptive conflict resolution styles, which in turn affected marital satisfaction for both husbands and wives. This study highlights the importance of husbands' overt narcissism and wives' conflict resolution styles as significant variables influencing marital satisfaction. It suggests that differentiated interventions considering overt narcissism traits and gender-specific characteristics could potentially enhance marital satisfaction for couples.

키워드

참고문헌

  1. 강미선, 정인혜, 조서진 (2023). 중년 부부의 문제해결 유형과 결혼만족도의 관계. 한국가족관계학회지, 28(1), 33-53.
  2. 김성미, 이수림 (2018). 배우자의 내현적 자기애성향과 결혼만족도의 관계.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8(4), 186-201.
  3. 박영화, 고재홍 (2005). 부부의 자존감, 의사소통 방식, 및 갈등대처행동과 결혼만족도 간의 관계: 자기효과와 상대방효과.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19(1), 65-83.
  4. 박지연, 주수산나 (2021). 목회자 부부의 결혼만족도에 대한 지각된 배우자 지지의 자기효과와 상대방효과. 가족과 가족치료, 29(3), 605-627.
  5. 배병렬 (2017). AMOS 24 구조방정식 모델링. 청람.
  6. 송진아, 전세송 (2023). 한국부부의 결혼만족도 관련 변인에 대한 메타분석. 가족과 문화, 35(2), 69-114.
  7. 안연주, 최연실 (2021). 개인 심리적 요인이 부부의 결혼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의 자기효과와 상대방효과: 개인의 우울감과 자아존중감을 중심으로. 한국가족관계학회지, 26(1), 165-182.
  8. 애리덴, 안정신 (2021). 결혼이주여성의 출신국가별 결혼만족도에 대한 문화적응스트레스 및 자원의 영향. 한국가족관계학회지, 26(1), 27-49.
  9. 우성범, 남숙경, 이승민, 양은주 (2012). 이차원적 자기애적 성향과 연애관계 양상의 관계.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26, 87-101.
  10. 우종필 (2016). 구조방정식모델 개념과 이해. 한나래 아카데미.
  11. 유보람 (2019). 부부의 자아분화가 결혼만족도에 미치는 자기효과 및 상대방효과: 정서표현 억제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석사학위논문, 한양대학교 대학원].
  12. 이민진, 정진복 (2017). 외현적 자기애와 내현적 자기애의 대인관계 양상: 사회적 행동의 구조분석 모델을 이용하여. 한국심리학회지: 임상심리 연구와 실제, 3(1), 119-146.
  13. 이성미, 이영호 (2021). 외현적․내현적 자기애와 결혼만족도의 관계에서 배우자 평가의 상호매개효과: APIMeM의 적용. 한국심리학회지, 7(1), 55-81.
  14. 이승현, 이규호 (2022). 기혼여성의 전통적 가족주의 가치관이 결혼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부부갈등 대처방식의 매개효과. 한국가족관계학회지, 27(2), 87-113.
  15. 이연정, 최은실 (2022). 중년기 부부의 성인애착과 우울증상의 관계에서 결혼만족도의 매개효과: 자기-상대방 상호의존모형(APIM)의 적용. 가정과삶의질연구, 40(2), 71-89. 605-627.
  16. 이영숙, 박경란 (2009). 기혼남성의 성격유형, 갈등대처방법과 결혼만족도와의 관계. 한국생활과학회지, 18(2), 275-286.
  17. 이종선, 권정혜 (2002). 부부의 대인관계, 의사소통 방식, 결혼만족도가 부부폭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21(2), 313-330.
  18. 장해순, 한주리, 허경호 (2007). 갈등관리스타일에 영향을 미치는 퍼스낼리티 요인. 성격 5요인(Big Five Factors), 자아존중감, 자기감시를 중심으로. 한국언론정보학보, 37, 418-451.
  19. 정병완, 홍혜영 (2015). 내현적 자기애가 스마트폰 중독에 미치는 영향. 부부공감과 결혼만족도를 매개변인으로.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27(1), 183-201.
  20. 최규련 (1988). 韓國都市夫婦의 結婚滿足度要因에 관한 硏究 [박사학위논문, 고려대학교 대학원].
  21. 최선우, 이영호 (2015). 이성 관계에서 자기애 성향에 따른 갈등대처방식, 정서 및 관계 만족도의 차이: 대학생을 중심으로. 인간이해, 36(1), 21-40.
  22. 통계청 (2018). 2017년 「인구동향조사」[데이터 세트]. https://kosis.kr/statHtml/statHtml.do?orgId=101&tblId=DT_1B85028&conn_path=I2
  23. 한국가정법률상담소 (2022. 03. 02). 2021년 상담 통계. https://lawhome.or.kr/new21/law05/
  24. 한수정 (2018). 자기애성 성격장애. 학지사.
  25. 한영숙, 양명숙 (2020). 부모의 이혼 유무와 부부갈등에 따른 대학생의 심리적 적응에 대한 연구. 디지털융복합연구, 18(1), 379-387.
  26. 한영애, 양혜. (2020). 중년부부의 마음 챙김과 결혼만족도의 관계에서 의사소통 능력의 매개효과: 자기-상대방 상호의존성 모형(APIM)의 적용. 가족과 가족치료, 28(3), 405-425.
  27. 홍지희, 김보영 (2021). 부모의 부부갈등이 중년기 부부의 결혼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자기자비와 부부갈등대처방식의 매개효과.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33(3), 1349-1374.
  28. 황순택 (1995). 전형성 평정에 의한 성격장애진단준거 개발 [박사학위 논문, 연세대학원 대학원].
  29. Abe, S. & Ota, J. (2023). The Effects of Narcissism and Humor Coping on Anger Expression in Married Couples. Japanese Psychological Research, 65(1), 1-8. https://doi.org/10.1111/jpr.12344
  30. Augsburger, D. W. (1996). Helping People Forgive. Lousville, KY.: Westiminster John Knox Press. 
  31. Berko, R. M., Rosenfeld, L B.., & Samovar, L A. (1998). Connecting: A Culture-Sensitive Approach to Interpersonal Communication Competency. Harcourt Canada, Limited.
  32. Brown, A. A. (2017). Grandiose and Vulnerable Narcissists in Relationships: A Perceived Control Perspective. [Dissertation Abstract, The Ohio State University] http://rave.ohiolink.edu/etdc/view?acc_num=osu149823282032602
  33. Cag. P. & Yildirim. I. (2018). The Mediator Role of Spousal Self-Disclosur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Marital Satisfaction and Spousal Support. Educational Sciences: Theory & Practice; 18(3), 701-736. http://doi10.12738/estp.2018.3.0086
  34. Cramer, D. (2000). Relationship satisfaction and conflict style in romantic relationships. Journal of Psychology, 134(3), 337-341. https://doi.org/10.1080/00223980009600873
  35. Finzi. D. R. (2023). The Role of Fear of Intimacy as Mediator between Self-Differentiation and Marital Relationship Satisfaction: A Dyadic Model. Family Journal, 31(3), 392-398. https://doi.org/10.1177/10664807231163254
  36. Gewirtz. M. A. & Finzi. D. R. (2018). Narcissism and relationship satisfaction from a dyadic perspective: The mediating role of psychological aggression. Marriage & Family Review, 54(3), 296-312. http://dx.doi.org/10.1080/01494929.2017.1359814
  37. Isik, R. A., & Kaya, Y. (2022). The relationships among perceived stress, confict resolution styles, spousal support and marital satisfaction during the COVID‑19 quarantine. Current Psychology, 41(6), 3328-3338. https://doi.org/10.1007/s12144-022-02737-4
  38. Karmey, B. R. & Bradbury, T. N. (1995). The longitudinal course of marital quality and stability: A review of theory, method, and research. Psychological Bulletin, 118(1), 3-34.
  39. Kernis, M. H. & Sun, C. R. (1994). Narcissism and reactions to interpersonal feedback. Journal of Research in Personality, 28(1), 4-13.
  40. Kline, R. B. (2010). Principles and practice of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New York: Guilford Press.
  41. Kohut, H. (2013). 자기의 분석 (이재훈 역). 한국심리치료연구소.
  42. Kohut, Heinz. (1977). The analysis of the self. New York: International Universities Press.
  43. Kurdek, Lawrence A. (1995). Predicting Change in Marital Satisfaction from Husbands' and Wives' Conflict Resolution Styles. Journal of Marriage and Family, 57(1), 153-164.
  44. Lamkin, J., Campbell, W. K., & Miller, J. D. (2015). An Exploration of the correlates of grandiose and vulnerable narcissism in romantic relationships: Homophily, partner characteristics, and dyadic adjustment. Personality and Individual Differences, 79, 166-171. https://doi.org/10.1016/j.paid.2015.01.029
  45. Ledermann, T., Macho, S., & Kenny, D. A. (2011). Assessing mediation in dyadic data using the actor-partner interdependence model.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 Multidisciplinary Journal, 18(4), 595-612. https://doi.org/10.1080/10705511.2011.607099
  46. Philip, J. M. (2001). Linking conflict strategy to the five-fator madel: Theoretical and empirical foundation. International Journal of Conflict Management, 12(1), 47-68. http://dx.doi.org/10.1108/eb022849
  47. Roach, A. J., Fraizier, L. P., & Bowden, S. R. (1981). The marital satisfaction scale: Development of a measure for intervention research. Journal of Marrage & The Family, 43(3), 537-546.
  48. Stanley, S. M., Markman, H. J., & Whitton, S. W. (2002). Communication, conflict, and commitment: Insights on the foundations of relationship success from national survey. Family Process. 41(4), 659-675. https://doi.org/10.1111/j.1545-5300.2002.00659.x
  49. unal, O. & Akgun, S. (2022a). Conflict resolution styles as predictors of marital adjustment and marital satisfaction: an actor-partner interdependence model. Journal of Family Studies, 28(3), 898-913. https://doi.org/10.1080/13229400.2020.1766542
  50. unal, O., & Akgun, S. (2022b). Relationship of conflict resolution styles in marriage with marital adjustment and satisfaction. Psikiyatride Guncel Yaklasimlar, 14(3), 322-330. https://www.psycnet.org/doi/10.18863/pgy.1016806
  51. Ye, S., Lam, Z. K. W., Ma, Z., & Ng, T. K. (2016). Differential relations of narcissism and self esteem to romantic relationships: The mediating role of perception discrepancy. Asian Journal of Social Psychology, 19(4), 374-384. https://psycnet.apa.org/doi/10.1111/ajsp.1216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