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cknowledgement
본 연구는 리츠메이칸대학 2024년도 아시아·일본연구추진프로그램의 보조금 및 일본학술진흥회의 지원금(20KK0056)을 받아 수행되고 있는 「여성의 산후 양육지원의 다양성 및 모자 웰빙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한중일 비교 연구 프로젝트」의 일환으로 실시되었다.
References
- 강숙정, 양민지 (2022). 임부의 임신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단면연구. 여성건강간호학회지, 28(1), 27-37.
- 공정원, 엄명용 (2016). 근로 시장에서 기혼 직장여성의 출산 계획, 임신, 출산, 육아 경험에 관한 질적 사례연구: 직접, 간접차별 경험을 중심으로. 한국가족복지학, 51, 149-186.
- 김동희, 정선아 (2019). 영유아와 초등학생 자녀를 둔 여성 근로자의 직장-가정 갈등이 가정 및 직장생활만족에 미치는 영향: 가족친화제도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9(12), 101-112.
- , 김소영, 이경옥 (2020). 영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양육 스트레스: 어머니의 취업 여부와 양육지식, 영아의 성별과 기질을 중심으로. 한국보육학회지, 20(2), 1-15.
- 김선미, 구혜령, 이승미 (2014). 육아휴직과정에 관한 질적 사례 연구.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18(3), 21-40.
- 김은영, 도남희, 조은경, 조혜주 (2011). 육아지원 서비스 질 제고를 위한 인력 운영 개선 방안. 연구보고서 제 2011-11호. 육아정책연구소. https://kicce.re.kr/main/index.do
- 김은정 (2014). 손자녀 양육지원가정 취업모의 양육스트레스와 영향요인. 한국영유아보육학, 89, 237-259.
- 김은지, 송효진, 배호중, 선보영, 최진희, 황정미 (2020). 저출산 대응정책 패러다임 전환 연구 (I): 청년층의 젠더화된 생애전망과 정책정합도 분석. 한국여성정책연구원. https://zrr.kr/HGEg
- 김재현 (2014). 취업이 모의 양육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부의 양육참여와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석사학위논문, 가톨릭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 김준기, 양지숙 (2012). 기혼여성의 일-가정 양립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사회적 지원의 효과를 중심으로. 행정논총, 50(4), 251-280.
- 김희선, 박현수, 최안나 (2022). 산후우울증 관리 체계에 대한 고찰. 한국모자보건학회지, 26(2), 52-60.
- , 김은주 (2007). 협동학습에서 과제와 사회적 요소의 작용: 조원 간 친밀한 소집단을 중심으로. 교육심리연구, 21(4), 1047-1070.
- 박민정 (2020). 취업모의 일의 의미와 자녀수 반자기가치가 경력몰입에 미치는 영향- 일․가정 상호관계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가족자원경영과 정책(구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24(4), 39-57.
- 박주희 (2015). 미취학 자녀를 둔 취업모의 일- 가정 역할갈등, 배우자지지 자원이 양육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19(3), 41-62.
- 백광렬, 이상직, 사사노 미사에 (2018). 한국의 가족주의와 가족 관념. 한국사회학, 52(4), 115-159.
- 설진희, 박수현 (2019). 일-가정 다중역할 부정적 경험이 미취학 자녀를 가진 전일제 직장여성의 내재화 문제에 미치는 영향: 사회지향성의 매개효과. 한국심리학회지: 문화 및 사회문제, 25(1), 55-77.
- 손서희, 이재림 (2014). 미취학 자녀를 둔 취업모의 경제활동 중단 의향. 가정과삶의질연구, 32(3), 157-177.
- 안희란 (2015). 육아휴직제도의 부모권 보장성에 관한 탐색적 사례연구. 사회복지정책, 42(3), 51-75.
- 양은선, 김연하 (2021). 영유아기 자녀를 둔 맞벌이 부부의 일-가정 양립 갈등이 우울 및 양육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성별의 조절 효과. 가정과삶의질연구, 39(3), 1-14.
- 예호선, 안정신 (2020). 미취학 자녀를 둔 취업모의 역할지각 유형에 따른 심리적 특성과 사회적 지지의 차이. 한국가족관계학회지, 25(2), 123-141.
- 오은진, 김소연 (2021). 출산․육아기 모성보호제도 활용이 여성 경력단절에 미치는 영향. 아시아여성연구, 60(1), 163-208.
- 왕혜숙, 송민이 (2021). 모성의 의료화: 맘카페의 모유수유 담론을 중심으로. 사회사상과 문화, 24(3), 213-245.
- 유희정, 김은설, 유은영 (2006). 육아지원기관의 공공성 제고 방안 연구. 연구보고서 제 2006-02호. 육아정책개발센터. https://kicce.re.kr/main/index.do
- 이미리, 신유림 (2013). 취업모와 비취업모 유아의 발달에 대한 어머니의 역할, 유아 기질, 환경적 지지의 효과. 육아정책연구, 7(1), 1-20.
- 이순미 (2014). 생애과정의 복합적 탈근대화와 가족화와 개인화의 이중적 과정: 1955-1974년 성인기 이행 배열분석을 중심으로. 한국사회학, 48(2), 67-106.
- 이윤진, 권미경, 김승진 (2015). 조부모 영유아 손자녀 양육실태와지원 방안 연구. 연구보고서 제 2015-10호. 육아정책연구소. https://kicce.re.kr/main/index.do
- 이정원, 유해미, 김문정 (2014). 1명의 영유아 자녀를 둔 취업모의 후속출산계획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육아정책연구, 8(1), 47-80.
- 이정원, 이재희, 김자연, 우석진, 김태우 (2022). KICCE 소비실태조사: 양육비용 및 육아서비스 수요 연구 (V). 연구보고서 제 2022-20호. 육아정책연구소. https://zrr.kr/Tg35
- 이하나, 최 영 (2015). 비공식적 돌봄 자원이 기혼여성의 출산의도에 미치는 영향-조부모를 중심으로. 가족과 문화, 27(2), 262-288.
- 저출산 고령사회 위원회 (2024. 02. 08). 2024년 결혼 육아 지원정책 총정리. https://www.betterfuture.go.kr/front/policySpace/policyReferenceDetail.do?articleId=33&listLen=10&searchKeyword=&position=S
- 정재우, 윤성민 (2023). 첫 출산 후 복직한 여성 사무종사자의 일․가정 양립 경험. 인문사회 21, 14(1), 1859-1874.
- 조숙인, 김나영, 장미나, 박은영 (2020). 맞벌이 가구의 일.가정 양립을 위한 육아지원 방안 연구. 연구보고서 제 2020-10호. 육아정책연구소. https://repo.kicce.re.kr/handle/2019.oak/5078
- 조윤진 (2017). 영유아기 자녀를 양육하는 아버지와 어머니의 부부공동양육 경험. 사회과학연구논총, 33(2), 57-115.
- 조은주, 이소연 (2021). 유아기 자녀를 둔 맞벌이 부모의 일-가정 갈등, 우울증상, 자녀에 대한 분노와 자녀 문제행동의 관계: 자기-상대방 상호의존모형 (APIM) 의 적용. 아시아여성연구, 60(3), 213-248.
- 최윤경 (2020). 육아정책의 성과와 과제: 2019년 전문가․부모 조사결과를 중심으로. 육아정책 Brief, 84, 1-4.
- 최항준 (2015). 취업모의 심리변인, 사회적 지원변인, 경제변인 및 자녀(영아)의 기질변인이 후속출산계획에 미치는 영향. 한국영유아보육학, 93, 89-114.
- 통계청 (2019). 생활시간조사: 가사노동시간. https://zrr.kr/blcv
- 통계청 (2022a). 인구동향조사: 합계출산율. https://zrr.kr/IlgA
- 통계청 (2022b). 지역별고용조사: 맞벌이가구 비율. https://zrr.kr/nnhg
- 한유미, 양연숙, 곽혜경 (2006). 육아지원센터 도입의 과제 및 활성화 방안. 한국영유아보육학, 45, 75-98.
- 현솔지, 백학영 (2020). 기혼 직장 남녀의 일- 가정 갈등이 가족관계에 미치는 영향. 사회과학연구, 59(2), 531-569.
- 홍예지, 이강이 (2020). 학령초기 자녀를 둔 취업모의 일-가정 갈등의 변화 유형화 및 영향요인과 결과 요인 검증. 육아정책연구, 14(1), 97-120.
- Beehr, T. A. & O'driscoll, M. P. (1990). Employee uncertainty as a factor in occupational stress. https://eric.ed.gov/?id=ED321217
- Boswell, J. F., Thompson-Hollands, J., Farchione, T. J., & Barlow, D. H. (2013). Intolerance of uncertainty: A common factor in the treatment of emotional disorders.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69(6), 630-645. doi: 10.1002/jclp.21965.
- Brashers, D. E. (2001). Communication and uncertainty management. Journal of Communication, 51(3), 477-497.
- Corbin, J., & Strauss, A. (2008). Basics of qualitative research: Techniques and procedures for developing grounded theory. Los Angeles, CA: Sage.
- Delhey, J., & Welzel, C. (2012). Generalizing trust: How outgroup-trust grows beyond ingroup-trust. World Values Research, 5(3), 46-69. https://dx.doi.org/10.2139/ssrn.2390636
- Denzin, N. K. (1989). Interpretive biography. Newbury Park, CA: Sage.
- Glaser, B., & Strauss, A. (1967). The Discovery of Grounded Theory: Strategies for Qualitative Research. Chicago: Aldine.
- Gutek, B. A., Searle, S., & Klepa, L. (1991). Rational versus gender role explanations for work-family conflict.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76(4), 560-568. https://doi.org/10.1037/0021-9010.76.4.560
- Lim, C., Im, D. K., & Lee, S. (2021). Revisiting the "trust radius" question: Individualism, collectivism, and trust radius in South Korea. Social Indicators Research, 153(1), 149-171. https://doi.org/10.1007/s11205-020-02496-4
- Lincoln, Y., & E. G. Guba. (1985). Naturalistic Inquiry. Newbury Park: Sage.
- Massazza, A., Joffe, H., & Brewin, C. R. (2021). Intrusive memories following disaster: Relationship with peritraumatic responses and later affect. Journal of Abnormal Psychology, 130(7), 727-735. https://psycnet.apa.org/doi/10.1037/abn0000694
- Mustillo, S., Li, M., & Wang, W. (2021). Parent work-to-family conflict and child psychological well-being: Moderating role of grandparent coresidence. Journal of Marriage and Family, 83(1), 27-39. https://doi.org/10.1111/jomf.12703
- Padgett, D. K. (1998). Does the glove really fit? Qualitative research and clinical social work practice. Social Work, 43(4), 373-381.
- Schweizer, S., Lawson, R. P., & Blakemore, S. J. (2023). Uncertainty as a driver of the youth mental health crisis. Current opinion in psychology, 53, 101657. https://doi.org/10.1016/j.copsyc.2023.101657
- Spradley, J. P. (1979). Ethnography and culture. The ethnographic interview, 3-16.
- Strauss, A. L., & Corbin, J. M. (1998). Basics of qualitative research:Techniques and procedures for developing grounded theory. Thousand Oaks, CA: S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