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Process of Utilizing Childcare Support Services for Working Mothers with Children under Age 2 in South Korea

만 2세 이하 자녀를 둔 취업모의 육아지원 서비스 이용 과정

  • Received : 2024.02.06
  • Accepted : 2024.05.22
  • Published : 2024.08.31

Abstract

Childcare support for working mothers is crucial for women's smooth transition into society, career development, and well-being. Based on interviews with 10 Korean working mothers with children aged 0-2, this paper explores the process of utilizing childcare support services, psychological experiences, and plans for work-life balance using the grounded theory analysis method. The analysis revealed three categories: the decision-making process before using the childcare services (past), experiences during the use of childcare support (present), and future plans for work-life balance (future). The decision-making process before using childcare support services consisted of the following categories: seeking information about childcare support services, having family discussions during the decision-making process, the proposer and decision-maker of the services, and the final decision on childcare support services. Experiences during the use of services included economic burdens, changes in postnatal career paths, disparities between expectations and the reality of pre- and post-childbirth, discrepancies between expectations and reality in work-family balance, factors affecting of quality of life, and the division of household and childcare responsibilities with husbands. Plans for future work-life balance included categories such as the desire for career advancement, the desire to maintain a career, the desire for temporary or reduced career commitment, and uncertainty regarding future career plans. Finally, the study investigated whether there were differences in the past and present service usage processes and experiences based on plans for future work-life balance. This research suggests the need for multidimensional support for working mothers' work-family balance and well-being, and highlights the need to reduce uncertainty about women's future careers.

육아지원 서비스는 여성의 원만한 사회 진출과 커리어 발전, 웰빙 향상을 위해 중요하다. 본 논문은 국내 만 2세 이하 자녀를 둔 취업모 10명의 인터뷰를 바탕으로, 근거이론분석 방법을 사용하여 육아지원 서비스 이용 과정과 심리적 경험, 일-가정 양립 계획을 탐색하였다. 분석 결과, 육아지원 서비스 이용 전 결정 과정, 육아지원 서비스 이용 중 경험, 향후 일-가정 양립 계획 범주가 도출되었다. 서비스 이용 전 결정 과정은 육아지원 서비스 정보 탐색, 선택 시 가족과의 대화, 서비스 제안과 결정의 주체, 육아지원 서비스 최종 결정의 범주로 이루어졌다. 서비스 이용 중 경험은 경제적 부담, 산후 경력에 변화, 일-가정 양립에서 기대와 실제의 차이, 삶의 질 영향 요인, 남편과의 가사 및 육아 분담이 도출되었다. 향후 일-가정 양립 계획에서는 커리어 발전 희망, 커리어 유지 희망, 커리어 일시 중단 및 축소 희망, 향후 커리어에 대한 생각이 미정의 범주가 도출되었다. 마지막으로, 향후 일-가정 양립 계획에 따라 서비스 이용 과정과 경험에서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았다. 본 연구는 취업모의 일-가정 양립과 웰빙을 위한 다차원적 지원과 여성의 향후 커리어에 대한 불확실성을 줄이는 것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Keywords

Acknowledgement

본 연구는 리츠메이칸대학 2024년도 아시아·일본연구추진프로그램의 보조금 및 일본학술진흥회의 지원금(20KK0056)을 받아 수행되고 있는 「여성의 산후 양육지원의 다양성 및 모자 웰빙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한중일 비교 연구 프로젝트」의 일환으로 실시되었다.

References

  1. 강숙정, 양민지 (2022). 임부의 임신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단면연구. 여성건강간호학회지, 28(1), 27-37.
  2. 공정원, 엄명용 (2016). 근로 시장에서 기혼 직장여성의 출산 계획, 임신, 출산, 육아 경험에 관한 질적 사례연구: 직접, 간접차별 경험을 중심으로. 한국가족복지학, 51, 149-186.
  3. 김동희, 정선아 (2019). 영유아와 초등학생 자녀를 둔 여성 근로자의 직장-가정 갈등이 가정 및 직장생활만족에 미치는 영향: 가족친화제도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9(12), 101-112.
  4. , 김소영, 이경옥 (2020). 영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양육 스트레스: 어머니의 취업 여부와 양육지식, 영아의 성별과 기질을 중심으로. 한국보육학회지, 20(2), 1-15.
  5. 김선미, 구혜령, 이승미 (2014). 육아휴직과정에 관한 질적 사례 연구.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18(3), 21-40.
  6. 김은영, 도남희, 조은경, 조혜주 (2011). 육아지원 서비스 질 제고를 위한 인력 운영 개선 방안. 연구보고서 제 2011-11호. 육아정책연구소. https://kicce.re.kr/main/index.do
  7. 김은정 (2014). 손자녀 양육지원가정 취업모의 양육스트레스와 영향요인. 한국영유아보육학, 89, 237-259.
  8. 김은지, 송효진, 배호중, 선보영, 최진희, 황정미 (2020). 저출산 대응정책 패러다임 전환 연구 (I): 청년층의 젠더화된 생애전망과 정책정합도 분석. 한국여성정책연구원. https://zrr.kr/HGEg
  9. 김재현 (2014). 취업이 모의 양육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부의 양육참여와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석사학위논문, 가톨릭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10. 김준기, 양지숙 (2012). 기혼여성의 일-가정 양립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사회적 지원의 효과를 중심으로. 행정논총, 50(4), 251-280.
  11. 김희선, 박현수, 최안나 (2022). 산후우울증 관리 체계에 대한 고찰. 한국모자보건학회지, 26(2), 52-60.
  12. , 김은주 (2007). 협동학습에서 과제와 사회적 요소의 작용: 조원 간 친밀한 소집단을 중심으로. 교육심리연구, 21(4), 1047-1070.
  13. 박민정 (2020). 취업모의 일의 의미와 자녀수 반자기가치가 경력몰입에 미치는 영향- 일․가정 상호관계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가족자원경영과 정책(구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24(4), 39-57.
  14. 박주희 (2015). 미취학 자녀를 둔 취업모의 일- 가정 역할갈등, 배우자지지 자원이 양육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19(3), 41-62.
  15. 백광렬, 이상직, 사사노 미사에 (2018). 한국의 가족주의와 가족 관념. 한국사회학, 52(4), 115-159.
  16. 설진희, 박수현 (2019). 일-가정 다중역할 부정적 경험이 미취학 자녀를 가진 전일제 직장여성의 내재화 문제에 미치는 영향: 사회지향성의 매개효과. 한국심리학회지: 문화 및 사회문제, 25(1), 55-77.
  17. 손서희, 이재림 (2014). 미취학 자녀를 둔 취업모의 경제활동 중단 의향. 가정과삶의질연구, 32(3), 157-177.
  18. 안희란 (2015). 육아휴직제도의 부모권 보장성에 관한 탐색적 사례연구. 사회복지정책, 42(3), 51-75.
  19. 양은선, 김연하 (2021). 영유아기 자녀를 둔 맞벌이 부부의 일-가정 양립 갈등이 우울 및 양육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성별의 조절 효과. 가정과삶의질연구, 39(3), 1-14.
  20. 예호선, 안정신 (2020). 미취학 자녀를 둔 취업모의 역할지각 유형에 따른 심리적 특성과 사회적 지지의 차이. 한국가족관계학회지, 25(2), 123-141.
  21. 오은진, 김소연 (2021). 출산․육아기 모성보호제도 활용이 여성 경력단절에 미치는 영향. 아시아여성연구, 60(1), 163-208.
  22. 왕혜숙, 송민이 (2021). 모성의 의료화: 맘카페의 모유수유 담론을 중심으로. 사회사상과 문화, 24(3), 213-245.
  23. 유희정, 김은설, 유은영 (2006). 육아지원기관의 공공성 제고 방안 연구. 연구보고서 제 2006-02호. 육아정책개발센터. https://kicce.re.kr/main/index.do
  24. 이미리, 신유림 (2013). 취업모와 비취업모 유아의 발달에 대한 어머니의 역할, 유아 기질, 환경적 지지의 효과. 육아정책연구, 7(1), 1-20.
  25. 이순미 (2014). 생애과정의 복합적 탈근대화와 가족화와 개인화의 이중적 과정: 1955-1974년 성인기 이행 배열분석을 중심으로. 한국사회학, 48(2), 67-106.
  26. 이윤진, 권미경, 김승진 (2015). 조부모 영유아 손자녀 양육실태와지원 방안 연구. 연구보고서 제 2015-10호. 육아정책연구소. https://kicce.re.kr/main/index.do
  27. 이정원, 유해미, 김문정 (2014). 1명의 영유아 자녀를 둔 취업모의 후속출산계획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육아정책연구, 8(1), 47-80.
  28. 이정원, 이재희, 김자연, 우석진, 김태우 (2022). KICCE 소비실태조사: 양육비용 및 육아서비스 수요 연구 (V). 연구보고서 제 2022-20호. 육아정책연구소. https://zrr.kr/Tg35
  29. 이하나, 최 영 (2015). 비공식적 돌봄 자원이 기혼여성의 출산의도에 미치는 영향-조부모를 중심으로. 가족과 문화, 27(2), 262-288.
  30. 저출산 고령사회 위원회 (2024. 02. 08). 2024년 결혼 육아 지원정책 총정리. https://www.betterfuture.go.kr/front/policySpace/policyReferenceDetail.do?articleId=33&listLen=10&searchKeyword=&position=S
  31. 정재우, 윤성민 (2023). 첫 출산 후 복직한 여성 사무종사자의 일․가정 양립 경험. 인문사회 21, 14(1), 1859-1874.
  32. 조숙인, 김나영, 장미나, 박은영 (2020). 맞벌이 가구의 일.가정 양립을 위한 육아지원 방안 연구. 연구보고서 제 2020-10호. 육아정책연구소. https://repo.kicce.re.kr/handle/2019.oak/5078
  33. 조윤진 (2017). 영유아기 자녀를 양육하는 아버지와 어머니의 부부공동양육 경험. 사회과학연구논총, 33(2), 57-115.
  34. 조은주, 이소연 (2021). 유아기 자녀를 둔 맞벌이 부모의 일-가정 갈등, 우울증상, 자녀에 대한 분노와 자녀 문제행동의 관계: 자기-상대방 상호의존모형 (APIM) 의 적용. 아시아여성연구, 60(3), 213-248.
  35. 최윤경 (2020). 육아정책의 성과와 과제: 2019년 전문가․부모 조사결과를 중심으로. 육아정책 Brief, 84, 1-4.
  36. 최항준 (2015). 취업모의 심리변인, 사회적 지원변인, 경제변인 및 자녀(영아)의 기질변인이 후속출산계획에 미치는 영향. 한국영유아보육학, 93, 89-114.
  37. 통계청 (2019). 생활시간조사: 가사노동시간. https://zrr.kr/blcv
  38. 통계청 (2022a). 인구동향조사: 합계출산율. https://zrr.kr/IlgA 
  39. 통계청 (2022b). 지역별고용조사: 맞벌이가구 비율. https://zrr.kr/nnhg
  40. 한유미, 양연숙, 곽혜경 (2006). 육아지원센터 도입의 과제 및 활성화 방안. 한국영유아보육학, 45, 75-98.
  41. 현솔지, 백학영 (2020). 기혼 직장 남녀의 일- 가정 갈등이 가족관계에 미치는 영향. 사회과학연구, 59(2), 531-569.
  42. 홍예지, 이강이 (2020). 학령초기 자녀를 둔 취업모의 일-가정 갈등의 변화 유형화 및 영향요인과 결과 요인 검증. 육아정책연구, 14(1), 97-120.
  43. Beehr, T. A. & O'driscoll, M. P. (1990). Employee uncertainty as a factor in occupational stress. https://eric.ed.gov/?id=ED321217
  44. Boswell, J. F., Thompson-Hollands, J., Farchione, T. J., & Barlow, D. H. (2013). Intolerance of uncertainty: A common factor in the treatment of emotional disorders.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69(6), 630-645. doi: 10.1002/jclp.21965.
  45. Brashers, D. E. (2001). Communication and uncertainty management. Journal of Communication, 51(3), 477-497.
  46. Corbin, J., & Strauss, A. (2008). Basics of qualitative research: Techniques and procedures for developing grounded theory. Los Angeles, CA: Sage.
  47. Delhey, J., & Welzel, C. (2012). Generalizing trust: How outgroup-trust grows beyond ingroup-trust. World Values Research, 5(3), 46-69. https://dx.doi.org/10.2139/ssrn.2390636
  48. Denzin, N. K. (1989). Interpretive biography. Newbury Park, CA: Sage.
  49. Glaser, B., & Strauss, A. (1967). The Discovery of Grounded Theory: Strategies for Qualitative Research. Chicago: Aldine.
  50. Gutek, B. A., Searle, S., & Klepa, L. (1991). Rational versus gender role explanations for work-family conflict.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76(4), 560-568. https://doi.org/10.1037/0021-9010.76.4.560
  51. Lim, C., Im, D. K., & Lee, S. (2021). Revisiting the "trust radius" question: Individualism, collectivism, and trust radius in South Korea. Social Indicators Research, 153(1), 149-171. https://doi.org/10.1007/s11205-020-02496-4
  52. Lincoln, Y., & E. G. Guba. (1985). Naturalistic Inquiry. Newbury Park: Sage.
  53. Massazza, A., Joffe, H., & Brewin, C. R. (2021). Intrusive memories following disaster: Relationship with peritraumatic responses and later affect. Journal of Abnormal Psychology, 130(7), 727-735. https://psycnet.apa.org/doi/10.1037/abn0000694
  54. Mustillo, S., Li, M., & Wang, W. (2021). Parent work-to-family conflict and child psychological well-being: Moderating role of grandparent coresidence. Journal of Marriage and Family, 83(1), 27-39. https://doi.org/10.1111/jomf.12703
  55. Padgett, D. K. (1998). Does the glove really fit? Qualitative research and clinical social work practice. Social Work, 43(4), 373-381.
  56. Schweizer, S., Lawson, R. P., & Blakemore, S. J. (2023). Uncertainty as a driver of the youth mental health crisis. Current opinion in psychology, 53, 101657. https://doi.org/10.1016/j.copsyc.2023.101657
  57. Spradley, J. P. (1979). Ethnography and culture. The ethnographic interview, 3-16.
  58. Strauss, A. L., & Corbin, J. M. (1998). Basics of qualitative research:Techniques and procedures for developing grounded theory. Thousand Oaks, CA: S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