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Effect of Gender Equality Values, Perceptions of Gender Equality, and Sexual Culture Characteristics on Adolescents' Marriage Intentions

청소년의 양성평등 가치관과 양성평등 인식, 성문화 특성이 결혼의향에 미치는 영향

  • Seo, Jong-Soo (Dept. of Child and Family Welfare, Daegu University) ;
  • Shin, Yi Na (Institute for Education Innovation, Daegu University)
  • 서종수 (대구대학교 아동가정복지학과) ;
  • 신이나 (대구대학교 교육혁신원)
  • Received : 2024.03.22
  • Accepted : 2024.04.23
  • Published : 2024.05.31

Abstract

This study investigates the effects of gender equality values, perceptions of gender equality, and gender cultural characteristics on adolescents' marriage intentions in the Busan area. For this research purpose, we used data from a survey on youth sexual culture in Busan. We found that conservative values and misogynistic value perceptions, which are subfactors of gender equality values, appeared at levels below the median. Perceptions of gender equality were also reported at a level below the median. Among the sexual culture characteristics, most of the experience of requesting housework was found to have not been requested for less than one out of five items, and the frequency of sex-related conversations with friends was found to be lower than the median. More than half of the respondents had dating experience, and adolescents' marriage intentions were slightly higher than the median. In addition, gender equality values, perceptions of gender equality, and gender cultural characteristics all had a significant effects on adolescents' marriage intentions. Specifically, more conservative values corresponded to, lower perceptions of misogynistic values, and higher awareness of gender equality corresponded to, more experience with requesting housework. Furthermore, a higher frequency of sex-related conversations, and more adolescent dating experiences, corresponded to higher marriage intentions among adolescents. Based on these findings, we propose policy measures to improve adolescents' marriage intentions.

본 연구는 부산지역 청소년을 대상으로 양성평등 가치관과 양성평등 인식, 성문화 특성이 결혼의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를 위하여 부산지역 청소년 성문화 실태조사 자료를 이용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를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청소년들의 양성평등 가치관은 보수적 가치관과 여성혐오적 가치관 인식으로 나타났으며, 둘다 보통보다 낮은 수준으로 나타났다. 양성평등 인식 역시 보통보다 낮은 수준으로 나타났다. 성문화 특성 중 가사노동 요청경험은 대부분 다섯가지 중 한 가지도 채 요청받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친구와 성관련 대화 빈도는 보통 보다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연애경험은 절반이 조금 넘는 것으로 나타났다. 청소년의 결혼의향은 보통보다 조금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청소년의 결혼의향에 양성평등가치관, 양성평등 인식, 성문화 특성은 모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보수적 가치관이 높을수록, 여성혐오적 가치관 인식이 낮을수록, 양성평등 인식이 높을수록, 가사노동 요청경험이 많을수록, 성관련 대화빈도가 많을수록, 연애 경험이 있는 경우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청소년의 결혼의향을 향상하기 위한 정책적 방안을 제시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김상윤(2021). 미혼남녀의 결혼의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대구광역시 30~44세 미혼남녀를 중심으로. 영남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 도미향(2011). 대학생들의 결혼과 출산에 대한 인식이 미래 결혼과 출산행위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족복지학, 16(4), 163-178. 
  3. 민은혜.김순미(2008). 남녀청소년의 가사노동 참여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들의 경로분석. 대한가정학회지, 46(6), 33-48. 
  4. 박선영(2022). 한국 청년의 결혼의향 영향요인 메타분석: 2000년대 이후 국내연구를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5. 서인균.이연실(2020). 부모됨 인식이 출산의식에 미치는 영향과 결혼의식의 매개효과: 청소년을 대상으로. 보건과 복지, 22(1), 7-24. 
  6. 서종수(2016). 청소년의 인터넷 중독과 자살생각과의 관계에서 사회적 관계의 조절 효과: 친구, 부모, 교사관계를 중심으로. 한국가족복지학, 21(4), 629-652. 
  7. 서종수(2018). 청소년의 학업스트레스와 행복의 관계에서 대인관계 유능감의 조절효과. 한국가족복지학, 23(4), 595-611. 
  8. 신효영.방은령(2008). 청소년들의 결혼과 출산에 대한 인식 조사. 미래청소년학회지, 5(3), 95-113. 
  9. 아하서울시립청소년성문화센터(2021). 제5차 청소년 성문화 실태조사 연구보고서. 
  10. 오민지(2021). 여성의 결혼과 출산에 관한 연구: 패러다임 변화에 따른 통합모형의 검토.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1. 오세비.박성철(2008). 후기여자청소년의 가족가치관이 결혼의향에 미치는 영향. 가족과 가족치료, 26(3), 279-300. 
  12. 원아름(2015). 미혼남녀의 결혼의향과 결혼가치관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 연구. 중앙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3. 이기영.이현아.김외숙.이연숙.조희금.이승미.김주희.한영선(2011). 가족공유 가사노동시간 및 영향요인 연구. 가족자원경영과 정책, 15(2), 103-128. 
  14. 이삼식.정경희(2010). 저출산 원인과 파급효과 및 정책방안. 한국보건사회연구원. 
  15. 이수진(2005). 젠더관점에서 본 결혼선택의 규정요인. 노동정책연구, 5(1), 131-156. 
  16. 이정하.박정윤.유나나(2017). 비혼 선택에 영향을 미치는 심리적 특성 탐색을 위한 질적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문화 및 사회문제, 23(2), 183-214. 
  17. 이지나.황명진(2019). 미혼남녀의 결혼에 관한 가치관이 결혼의향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민족문화논총, 71, 117-151.
  18. 이지선.조혜정(1999). 중고등학생의 가사노동참여에 관한 연구. 대한가정학회지, 37(3), 111-125. 
  19. 이진숙(2021). 부산지역 청소년 성문화 실태조사. 부산여성가족개발원. 
  20. 전중환(2012). 현대 사회의 저출산에 대한 진화적 분석. 한국심리학회지: 사회문제, 18(1), 97-110. 
  21. 정의현(2022). 청년 여성의 젠더관계인식 유형이 결혼의향에 미치는 영향.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2. 조선아(2018). 청년기 남자대학생의 삶의 만족도가 여성혐오에 미치는 영향- 결혼의향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 경희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3. 진미정.정혜은(2010). 미혼남녀의 결혼의향과 결혼희망 연령에 대한 가족 가치관의 영향 추세 연구: 2005년, 2009년 전국 결혼 및 출산 동향 조사 자료를 중심으로. 한국인구학, 33(3), 31-51. 
  24. 최슬기.최새은(2022). 청년들이 인식하는 결혼 연령규범 과 결혼의향. KDI School of Pub Policy & Management Paper. Available at SSRN: https://ssrn.com/abstract=4323504 or DOI : 10.2139/ssrn.4323504. 
  25. 최효미(2017). 청년 미혼층의 결혼 및 출산 의향에 관한 연구. 가정과삶의질학회 2017 공동춘계학술대회 자료집. 
  26. 홍성희(2020). 20-30대 남녀의 결혼제도 인식과 결혼의향. 가족자원경영과 정책, 24(1), 1-19. DOI : 10.22626/jkfrma.2020.24.1.001. 
  27. 홍성희(2021). 여성의 경제활동참가율이 출산율에 미치는 영향: OECD 국가를 대상으로. 가족자원경영과 정책, 25(2), 41-52. DOI : 10.22626/jkfrma.2021.25.2.004. 
  28. Esping-Andersen, G. & Billari, F. C. (2015). Re-theorizing family demographics. Population and development review, 41(1), 1-31. 
  29. Kline, R. B.(2015). Principles and practice of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NewYork: Guilford publicatio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