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Religious Implications of the Concepts of Public and Private Affairs in the Daesoon Thought

대순사상의 공사론(公私論)에 나타난 종교적 함의

  • Choi Jeong-rak (Department of Philosophy, Korea University)
  • 최정락 (고려대학교)
  • Received : 2024.04.25
  • Accepted : 2024.06.25
  • Published : 2024.06.30

Abstract

This article examines the religious implications of the concept of public (gong, 公) and private (sa, 私) affairs as presented in Daesoon Thought. To achieve this, the article first explores the three main meanings of gong and sa in the East Asian tradition: ①gong as ruling powers or institutions and sa as the personal sphere, ②gong as communal interests or opinions and sa as individual interests or opinions, and ③gong as fair ethical principles and sa as unfair, immoral intentions. The analysis reveals that Daesoon Thought strongly emphasizes the conceptualization of gong and sa in terms of ethical principles and immoral aspects. The practice of distinguishing between gong and sa is seen as an important way to open up the new order of life, called the Earthly Paradise of Later World, that Daesoon Jinrihoe aims to achieve. Daesoon Thought's theory on public versus private, which restrains the private (sa, 私) and prioritizes the public (gong, 公), provides a solid framework for self-transformation through moral practice, enabling participation in the Earthly Paradise of Later World envisioned by Jeungsan, the originator of Daesoon Jinrihoe's teachings.

이 글에서는 대순사상의 공사(公私) 개념에 나타난 종교적 함의에 대한 논의를 다루었다. 이를 위해 논자는 먼저 동양 전통의 공·사 개념을 살펴보았다. 그리고 대순사상에서는 동양 전통의 공·사 개념 중에 어떠한 내용이 강조되고 있는지 검토한 후 그 종교적 함의를 논하였다. 동양 전통에서 보면, 공과 사는 크게 세 가지 의미가 있다. 이는 ①지배권력과 기구로서의 '공'과 개인 영역으로서의 '사', ②공동의 이익과 의견으로서 '공'과 개인의 이익과 의견으로서의 '사', ③공정한 윤리 원칙으로서의 '공'과 불공정한 비도덕적 의미로서의 '사' 등의 의미이다. 이중 대순사상에서는 윤리 원칙과 비도덕적인 측면의 공·사 개념이 강하게 나타난다. 그리고 대순사상에서 공·사를 구분하여 수행하는 것은 후천선경이라는 대순진리회가 지향하는 새로운 삶의 질서를 열어가는 중요한 방법이 된다. 사를 억제하고 공을 지향하는 대순사상의 공사론(公私論)은 도덕의 실천을 통해 자신을 변혁하며 증산이 제시한 후천선경에 참여할 수 있는 수행의 견고한 방안이라 할 수 있다.

Keywords

References

  1. 대순진리회 교무부, 「전경」 13판, 여주: 대순진리회 출판부, 2010.
  2. 대순진리회 교무부, 「대순지침」 2판, 여주: 대순진리회 출판부, 2012.
  3. 대순진리회 교무부, 「대순진리회요람」, 여주: 대순진리회 출판부, 2003.
  4. 대순진리회 교무부, 「우당 훈시」, 「대순회보」.
  5. 「헌종실록」. 「고종실록」. 「태종실록」. 「인조실록」. 「명종실록」. 「광해군일기」. 「정조실록」. 「순조실록」. 「현종개수실록」. 「세종실록」.
  6. 三經(「詩經」.「書經」.「周易」), 서울: 경인문화사, 1986.
  7. 四書(「論語」.「孟子」.「中庸」.「大學」), 서울: 성균관대학교 대동문화연구원, 1965.
  8. 宋時烈, 「宋子大全」, (韓國文集叢刊 113). 서울: 민족문화추진회, 1993.
  9. 王先謙, 「荀子集解」, 北京: 中華書局, 1988.
  10. 李珥, 「栗谷全書」, (韓國文集叢刊 44~45). 서울: 민족문화추진회, 1814.
  11. 李滉, 「退溪集」 (韓國文集叢刊 29~31), 서울: 민족문화추진회, 1989.
  12. 程顥.程頤, 「二程集」, 王孝魚 點校, 北京: 中華書局, 1984.
  13. 朱熹, 「朱子語類」, 黎靖德 編, 王星賢 點校, 北京: 中華書局, 1994.
  14. 朱熹, 「朱熹集」, 郭齊.尹波 點校, 成都: 四川敎育出版社, 1996.
  15. 「尙書」. 「周禮」. 「禮記」. 「荀子」. 「左傳」. 「商君書」. 「韓非子」. 「貞觀政要」.
  16. 강대성, 「전경 성구: 무한 유사지 불명(無恨有司之不明)」, 「대순회보」 221, 여주: 대순진리회 출판부, 2019.
  17. 고남식, 「강증산 관련 경전의 변이에 대한 고찰: 천지공사 이전의 내용을 중심으로」, 「종교연구」 50, 2008. http://doi.org/10.21457/kars..50.200803.247
  18. 고남식, 「연대기(年代記)로 본 강증산의 생애에 대한 「전경」 구절의 양상과 의미: 「증산천사공사기」와 관련하여」, 「대순사상논총」 44, 2023. https://doi.org/10.25050/jdaos.2022.44.0.213
  19. 권오돈 역해, 「(신역) 예기」, 서울: 홍신문화사, 1996.
  20. 권정안.복대형, 「「예기(禮記)」 대동사회에 대한 고찰」, 「한문고전연구」 36, 2018. https://doi.org/10.18213/jkccl.2018.36.1.012
  21. 권향숙, 「주희의 공과 사: 구구웅삼(溝口雄三)의 주희 공사(公私)관 비판적 검토」, 「철학탐구」 30, 2002.
  22. 김정현, 「동아시아 공(公) 개념의 전통과 근대 공동체의식」, 「민주사회와 정책연구」 13, 2008. http://uci.or.kr/G704-001870.2008..13.002
  23. 김 탁, 「증산과 정산의 도수(度數)사상」, 「대순사상논총」 30, 2018. https://doi.org/10.25050/jdaos.2018.30.0.235
  24. 김형찬, 「자아 확대의 두 가지 길: 유학의 성인관과 근대의 시민관에 대하여」, 「퇴계학보」 145, 2019. http://doi.org/10.46264/toegye.2019.145.07
  25. 대순진리회 교무부, 「천계탑: 무사지공(無私至公)」, 「대순회보」 26, 여주: 대순진리회 출판부, 1991.
  26. 미조구치 유조(溝口雄三), 「중국의 공과 사」, 정태섭.김용천 옮김, 서울: 신서원, 2004.
  27. 박병만, 「대순사상의 인심도심론(人心道心論) 연구」, 「대순사상논총」 47, 2023. https://doi.org/10.25050/jdaos.2023.47.0.139
  28. 배수호.김도영 「유학에서의 공공성 논의: 행정학 맥락에서 이해하기」, 「한국행정학보」 48, 2014. http://uci.or.kr/I410-ECN-0102-2015-300-000164885 10-ECN-0102-2015-300-000164885
  29. 소병선, 「공공성에 관한 동.서철학적 고찰」, 「동서철학연구」 83, 2017. http://doi.org/10.15841/kspew..83.201703.265
  30. 야규 마코토(柳生眞), 「동서양 공공성 연구와 한국적 공공성 탐구: 교토포럼의 연구 성과를 중심으로」, 「퇴계학논집」 20, 2017.
  31. 이경원, 「구천상제론의 시각에서 본 천지공사의 실제와 교리적 의의에 관한 연구」, 「대순사상논총」 22, 2014. http://doi.org/10.25050/jdaos.2014.22.0.33
  32. 이상호, 「대순전경」 초판, 경성: 동화교회도장, 1929.
  33. 이승환, 「유교담론의 지형학」, 서울: 푸른 숲, 2004.
  34. 이정립, 「대순철학」, 대법사편집국, 1947.
  35. 윤원현, 「주희의 "공.사(公.私)" 개념과 공론(公論)」, 「율곡학연구」 17, 2008. http://uci.or.kr/G704-SER000010130.2008.17..005 10130.2008.17..005
  36. 장현근, 「군주권력의 공공성을 둘러싼 논쟁: 공천하인가, 사천하인가」, 「정치사상연구」 27, 2021. http://doi.org/10.37248/krpt.2021.05.27.1.64
  37. 장현근, 「공사(公私) 관념의 변천을 통해 본 동서양 정치사상사에서의 공공성 담론」, 「한국행정학보」 4, 2021. http://doi.org/10.18333/KPAR.55.4.5
  38. 차선근, 「대순진리회 상제관 연구 서설(II): 15신위와 양위상제를 중심으로」, 「대순사상논총」 23, 2014. https://doi.org/10.25050/jdaos.2014.23.0.241
  39. 차선근, 「한국 종교의 해원사상 연구: 대순진리회를 중심으로」, 한국학중앙연구원 박사학위 논문, 2021. http://uci.or.kr/I804:41054-200000385685
  40. 최정락, 「도통진경(道通眞境)에 이르는 두 가지 길: 대순진리회의 윤리적 수도와 신앙적 수도를 중심으로」, 「대순종학」 1, 2021.
  41. 홍범초, 「증산의 천지공사에 나타난 미륵사상: 증산은 어떻게 전래의 한국미륵사상을 구현하였는가?」, 「한국사상사학」 6, 1994.
  42. 황금중, 「공(公)과 사(私)에 대한 주희의 인식과 공공성 교육」, 「교육사상연구」 26, 2012. http://doi.org/10.17283/jkedi.2012.26.3.229
  43. 溝口雄三, 「中國の公と私」, 東京: 硏文出版, 1995.
  44. 《전경용어사전》 http://daesoon.org/about/bible.dictionary.php
  45. 《한국고전종합DB》 https://db.itkc.or.kr
  46. 《한국사 데이터베이스》 http://db.history.go.kr
  47. 《中國哲學書電子化計劃》 https://ctext.or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