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정재학파 조긍섭과 한주학파 곽종석의 심론 고찰

A Study on the Mind Theory of the JeongJae School of Cho Geung-seop and the Hanju school of Kwak Jong-seok

  • 안유경 (경북대학교 영남문화연구원)
  • An Yoo-kyoung (Institute of Youngnam Culture Research,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 투고 : 2024.04.24
  • 심사 : 2024.06.25
  • 발행 : 2024.06.30

초록

본 논문은 암서 조긍섭(1873~1933)과 면우 곽종석(1846~1919)의 심론에 대한 해석을 고찰함으로써 이들의 이론적 차이를 밝힌 것이다. 조긍섭 심론의 특징은 심합이기(心合理氣)에 있다. 심의 주재로서 리를 인정하면서도, 동시에 작용으로서 기의 역할과 지위를 인정하자는 입장이다. 기가 있어야 리가 내재할 수 있고 심의 주재도 가능하다. 이러한 이유에서 조긍섭은 '심합이기'의 관점에서 '심즉리'를 주장하는 곽종석을 비판한다. 곽종석 심론의 특징은 심즉리(心卽理)에 있다. 심에 기가 없는 것은 아니지만, 결국 심이 심다울 수 있는 것(심이 한 몸을 주재할 수 있는 것)은 리 때문이니 심은 리가 되어야 한다. 이러한 이유에서 곽종석은 '심즉리'의 관점에서 '심합이기'를 주장하는 조긍섭을 비판한다. 또한 이들의 심론은 '지각을 기로 볼 것인지 리로 볼 것인지'와 같은 지각의 문제로 전개된다. 조긍섭이 심의 지각을 <허령한>기로써 해석한다면, 곽종석은 심의 지각을 <허령한>리로써 해석한다. 조긍섭에 따르면, 심의 지각은 '허령한 기'에 의해 가능하며, 이때 허령한 기의 작용이 바로 심의 지각작용이다. 결국 심에는 <허령한>기에 해당하는 지각작용이 있으므로 곽종석처럼 심을 곧장 리로써 해석해서는 안 된다. 곽종석에 따르면, 심에 <허령한>리의 신묘함이 가해짐으로써 지각이 가능하다. 심의 지각은 조긍섭의 말처럼 허령한 기의 작용이 아니라 '허령한 리'가 그것(심)을 신묘하게 한 결과이다. 이에 곽종석은 조긍섭이 심의 지각을 기의 작용으로 이해하기 때문에 '심즉리'를 제대로 알지 못한 것이라고 비판한다.

This article reveals their theoretical differences by examining the interpretation of the mind theory of Cho Geung-seop (1873~1933) and Kwak Jong-seok (1846~1919). The characteristic of Cho Geung-seop's mind theory is that it is simhapligi (心合理氣 the mind is a combination of principles and internal energy). It is a position to recognize the role and status of Gi as an action while also acknowledging Li as the presidency of mind. In this theory, Li can exist only when there is Gi, and the presidency mind is thereby possible. For this reason, Cho Geung-seop criticized Kwak Jong-seok, who insisted on simjeokli (心卽理 the mind is precisely principles) from the perspective of simhapligi. The characteristic of Kwak Jong-seok's theory of mind lies in simjeokli. Although the mind is not without Gi, it is because of Li that the mind can preside over one body such that it can be described as simjeokli. Accordingly, Kwak Jong-seok criticized Cho Geung-seop, who insisted on simhapligi from the perspective of simjeokli. In addition, their theories of mind leads to problems of perception, such as whether to see perception as a Gi or a Li. If Cho Geung-seop could be said to have interpreted the perception of deliberation as spiritual Gi, then Kwak Jong-seok interpreted the perception as spiritual Li. According to Cho Geung-seop, the perception of mind is possible due to "spiritual Gi," and at this time, the action of spiritual Gi is the perception of the mind. In the end, there is a perception action corresponding to spiritual Gi. Thereby, the mind should not be interpreted directly as a Li in Kwak Jong-seok's theory. According to Kwak Jong-seok, perception is possible by applying the novelty of Li to the mind. The perception of mind is not the action of spiritual Gi as it is in Cho Geung-seop's model, but it is rather the result of spiritual Li making it new. Accordingly, Kwak Jong-seok criticized Cho Geung-seop for not knowing simjeokli properly because he understood the perception of mind as an action of Gi.

키워드

과제정보

이 논문은 2023년도 정부(교육과학기술부)의 재원으로 한국연구재단의 지원을 받아 수행된 연구임(NRF-2023S1A5B5A16075097).

참고문헌

  1. 「俛宇集」
  2. 「孟子」
  3. 「孟子集註」
  4. 「深齋續集」
  5. 「巖棲集」
  6. 「二程全書」
  7. 「朱子語類」
  8. 「朱熹續集」
  9. 「朱熹集」
  10. 금장태.고광직, 「유학근백년」, 서울: 박영사, 1986.
  11. 금장태.고광직, 「퇴계학파의 사상(I)」, 서울: 집문당, 1996.
  12. 금장태.고광직, 「퇴계학파와 리(理)철학의 전개」, 서울: 서울대학교출판부, 2000.
  13. 안유경, 「만구 이종기와 면우 곽종석의 사단칠정론 비교 연구」, 「영남학」 65, 2018. https://doi.org/10.36034/yncdoi.2018..65.185
  14. 안유경, 「곽종석의 성리학적 특징 고찰」, 「남명학연구」 79, 2023.
  15. 유지웅, 「면우 곽종석 성론(性論)의 특징과 의의: 편전지성(偏全之性)에 대한 주리적(主理的) 해석을 중심으로」, 「남명학연구」 79, 2023.
  16. 임종진, 「한주학파의 성리학에 대한 심재 조긍섭의 비판」, 「한국학논집」 70, 2018.
  17. 최석기, 「면우 곽종석의 명덕설 논쟁: 이승희.허유.김진호와의 논쟁을 중심으로」, 「남명학연구」 27, 20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