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모래놀이에 나타난 연금술적 변환과정

Alchemical Transformation Process revealed in Sand Play

  • 김덕규 (융심리학 연구소 심리치료센터)
  • 투고 : 2024.03.14
  • 심사 : 2024.04.18
  • 발행 : 2024.06.25

초록

연금술은 화학적 변환 과정에서 무가치한 물질을 최고의 물질로 만드는 작업이다. 외견상 연금술사의 수많은 실험은 물질의 변환 작업이라 할 수 있지만, 실상 연금술사의 결과물은 무의식의 산물이다. 본 연구는 마카엘 마이어의 ≪달아나는 아탈란타(Atalanta Fugiens)≫를 통하여 연금술의 세 국면인 니그레도, 알베도, 루베도를 설명하고, 내담자들의 모래놀이치료에서 나타난 모래사진으로 연금술적 변환 과정을 이해하기 위해 시도한 것이다. 먼저 무의식의 심리학 기반으로 연금술이 왜 심상을 다루는 모래놀이치료에서 중요한지를 다루었다. 이어서 연금술의 변환 과정의 첫 번째 국면인 니그레도(흑화)를 기술하고, 니그레도에서 드러나는 혼돈, 용해, 분리, 분할, 부패, 죽음, 하소 등의 내용이 모래놀이치료에서 어떻게 나타나는지 살펴보았다. 다음으로 두번째 국면인 알베도(백화)를 기술하고, 정화, 승화, 증류, 분리, 하강, 응고의 형태로 등장하는 알베도의 대표적 이미지인 물과 불의 상이 어떻게 모래놀이에서 나타나는지 기술하였다. 마지막으로 루베도(적화)의 상태를 기술하고, 융합과 재탄생의 형태로 등장하는 루베도에서 결합과 만다라 형태가 어떤 식으로 모래놀이에서 나타나는지 제시하였다. 이 연금술에 드러난 상징은 모래놀이 치료나 꿈분석에서 드러난 심상을 확충하는데 유용한 가치가 있다. 특히 연금술에서 나타나는 절차는 인격의 변환 과정을 이해하는데 도움이 된다.

Alchemy is the process of producing worthless substances into the best substances through chemical opus(work). On the surface, many of the alchemist's experiments can be depicted as work on transforming substances, but in reality, the alchemist's result is a product of the Unconscious. This study aims to explain the three phases of alchemy, Nigredo, Albedo, and Rubedo, through Michael Mayer's alchemical text, Atalanta Fugiens, and understand the transformation process by utilizing images that appeared from clients' sand play therapy. This study first described why alchemy, as the foundation for the psychology of the Unconscious, is important in sand play that deals with images. Next, Nigredo (blackening), the first phase of the alchemical process, is briefly described, and how the contents of Nigredo, such as chaos, dissolution, separation, division, corruption, death, and calcination, appear in sand play therapy. Next, the second phase, albedo (whitening), is described, and how the images of water and fire, which are representative images of albedo in the form of purification, sublimation, distillation, separation, descension, and coagulation, are revealed in sand play. Lastly, the phase of rubedo (reddening) in alchemy is described, and how the form of union (mandala or central image) in rubedo, which appears in the form of conjunction and rebirth, is revealed in sand play. The symbols revealed in alchemy are very valuable in amplifying the images that appeared in sand play therapy or dream analysis. In particular, the procedures found in alchemical opus are helpful in understanding the transformation process of personality.

키워드

참고문헌

  1. 장미경 (2017): ≪분석심리학적 모래놀이치료≫, 학지사, 서울.
  2. Abt T, 이유경(역) (2008): ≪융심리학적 그림해석≫, 분석심리학연구소, 서울.
  3. Ammann R, 이유경(역) (2001): ≪융심리학적 모래놀이치료≫, 분석심리학연구소, 서울.
  4. Craven JB (2010): The Life Of Count Michael Maier, Kessinger Publishing, Whitefish.
  5. Edinger EF, 김진숙(역) (2015): ≪연금술의 상징과 심리치료≫, 돈화문출판사, 서울.
  6. Hannah B (2006): The Archetypal Symbolism of Animals, Chiron, Wilmette.
  7. Jaffe A, 이부영(역) (2012): ≪C.G. Jung의 회상, 꿈 그리고 사상≫, 집문당, 서울.
  8. Jung CG (1976): CW 5, Symbols of Transformation, Princeton University Press, Princeton.
  9. Jung CG (1983): CW 13, Alchemical Studies, Princeton University Press, Princeton.
  10. Jung CG (1989): CW 14, Mysterium Coniunctionis, Princeton University Press, Princeton.
  11. Jung CG (1993): CW 12, Psychology and Alchemy, Princeton University Press, Princeton.
  12. Jung CG, 한국융연구원 C.G. 융 저작 번역위원회(역) (2002a): C.G. 융 기본저작집 제2권, ≪원형과 무의식≫, 솔출판사, 서울.
  13. Jung CG, 한국융연구원 C.G. 융 저작 번역위원회(역) (2002b): C.G. 융 기본저작집 제5권, ≪꿈에 나타난 개성과 과정≫, 솔출판사, 서울.
  14. Jung CG, 한국융연구원 C.G. 융 저작 번역위원회(역) (2004a): C.G. 융 기본저작집 제3권, ≪인격과 전이≫, 솔출판사, 서울.
  15. Jung CG, 한국융연구원 C.G. 융 저작 번역위원회(역) (2004b): C.G. 융 기본저작집 제6권, ≪연금술에서 본 구원의 관념≫, 솔출판사, 서울
  16. Jung CG, 한국융연구원 C.G. 융 저작 번역위원회(역) (2008): C.G. 융 기본저작집 제4권, ≪인간의 상과 신의 상≫, 솔출판사, 서울.
  17. Kalff DM, 이보섭(역) (2012): ≪도라 칼프의 모래놀이≫, 학지사, 서울.
  18. Neumann E (1963): Das Kind, Rhein-Verlag, Zurich.
  19. Neumann E, 이유경(역) (2010): ≪의식의 기원사≫, 분석심리학연구소, 서울.
  20. Von Franz ML, 이부영, 이광자(역) (2018): ≪민담의 심리학적 해석≫, 한국융연구원, 서울.
  21. Von Franz ML, 김현진(역) (2019): ≪창조신화≫, 한국융연구원, 서울.
  22. Von Franz ML, 이상익(역) (2022): ≪연금술: 연금술의 상징주의에 대한 입문≫, 한국융연구원, 서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