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n Analysi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Competency Need for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ESD)

유아교사의 지속가능발전교육 역량에 대한 요구도 분석

  • 안정은 (국립부경대학교 일반대학원 유아교육학과) ;
  • 권연희 (국립부경대학교 유아교육과)
  • Received : 2024.03.31
  • Accepted : 2024.05.30
  • Published : 2024.07.31

Abstract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and analyze the need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in order to improve their competencies for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ESD). Methods: Two hundred fifty-four early childhood teachers working in the B area responded to a questionnaire developed by the researcher, assessing the importance and performance of various competencies.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Borich demand model and the Locus for Focus model. Results: First, in terms of educational needs by category, the competency to implement ESD was identified as the highest priority, followed by understanding the value of ESD and the economic aspects of ESD content. Second, 17 items were identified as the top priority for educational needs in each detailed item, and 6 items were identified as the next priority. Conclusion/Implications: By directly analyzing the need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to improve their competencies for ESD, this study was able to identify the competencies required to enhance ESD for young children. Additionally, it provided a basis for discussing the direction of teacher education for early childhood teachers in the context of ESD.

Keywords

References

  1. 김경철, 김은혜 (2019). 지속가능발전교육에 대한 유치원 교사의 인식. 유아교육연구, 39(2), 125-151. http://doi.org/10.18023/kjece.2019.39.2.006
  2. 김경희, 김혜전, 최인욱 (2021). 예비유아교사의 테크놀로지 내용 교수학적 지식(TPACK)에 대한 요구도 분석. 구성주의유아교육연구, 8(1), 79-90. http://doi.org/10.23197/scece.2021.8.1.004
  3. 김도경 (2019). 지속가능발전교육 교사학습공동체 사례로 본 지속가능발전교육 실천 및 확산 요인.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4. 김은정, 유영의, 박은혜 (2016). 지속가능발전교육의 실천적 역량 증진 프로그램 개발에 대한 유치원 교사의 인식 및 요구 조사. 미래유아교육학회지, 23(2), 409-432.
  5. 김은정, 유영의, 신은수, 박은혜 (2013). 독일, 영국, 호주의 지속가능발전교육 분석과 학교 교육과정 및 유아교육과정에의 시사. 열린유아교육연구, 18(4), 75-100.
  6. 김은혜 (2019). 유아 지속가능발전 인식 검사도구 개발. 한국교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7. 김현미 (2020). 유아교사의 지속가능발전교육 실천 경험과 의미. 공주대학교 석사학위논문.
  8. 김현주 (2023). 지속가능발전교육과 유아교사역량에 관한 연구. 중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9. 김혜전, 전우용 (2023). 예비유아교사의 놀이지원역량에 대한 교육요구도 분석. 유아교육연구, 43(3), 213-230. http://doi.org/10.18023/kjece.2023.43.3.009
  10. 박미현 (2019). 교사와 유아를 위한 자연친화적 교육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효과. 대구가톨릭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1. 박혜지, 전홍주 (2019. 3). 유치원 교사들의 지속가능발전교육 학습공동체 참여경험과 의미. 한국유아교육학회 2019년 춘계정기학술대회 포스터발표 논문, 서울.
  12. 서현정, 조부경, 김경철, 최현주, 최연철 (2018). 지속가능발전지향 유아 창의인성 교육 프로그램 개발. 유아교육연구, 38(2), 173-203. http://doi.org/10.18023/kjece.2018.38.2.007
  13. 서혜선 (2019). 유아기의 지속가능발전교육을 위한 생태그림책 분석. 강남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4. 유네스코한국위원회 (2008). 지속가능한 미래를 위한 교육. 서울: 유네스코한국위원회.
  15. 유네스코한국위원회 (2014). 유네스코한국위원회와 지속가능발전교육. 서울: 유네스코한국위원회.
  16. 유네스코한국위원회 (2019). 지속가능발전목표(SDGs) 달성을 위한 교육-학습목표. 서울: 유네스코한국위원회.
  17. 유선영 (2014). 수업사례를 활용한 지속가능발전교육 프로그램 개발과 예비 유아교사의 역량 증진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8. 유연옥, 최윤지 (2021). 유아교사의 지속가능발전 환경교육 경험에 관한 의미 탐색. 인문사회21, 12(1), 2909-2924.
  19. 유영의, 장은정, 양선희, 이성주 (2022). 유아교사의 미디어 리터러시에 대한 교육요구도 분석: Borich 요구도와 the Locus for Focus model. 어린이미디어연구, 21(3), 25-52. http://doi.org/10.21183/kjcm.2022.09.21.3.25
  20. 유은정, 김혜숙, 이미숙, 김찬국, 권영락 (2021). 교사, 학생, 학부모의 인식 및 요구분석을 통한 지속가능발전교육 개선 방안 탐색. 환경교육, 34(4), 358-379. http://doi.org/10.17965/kjee.2021.34.4.358
  21. 이경화 (2016). 메타포를 통해 본 유아교사의 '교육과정'에 대한 실천적 지식의 한계. 한국보육지원학회지, 12(4), 131-149. http://doi.org/10.14698/jkcce.2016.12.04.131
  22. 이원호, 권이정 (2023. 11). 가정연계 지속가능발전교육에 대한 유아교사의 인식 및 요구. 2023년도 한국어린이미디어학회 추계학술대회 구두발표 논문, 서울.
  23. 이윤정, 김혜경 (2021). 지속가능발전 교육의 교사 관련 국내・외 연구 동향 분석: 유아 및 초등교사를 중심으로.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1(4), 1411-1436.
  24. 이인선 (2014). 지속가능발전교육에 대한 유아교사의 이해, 실행 및 변화.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5. 이효빈, 권연희, 안정은 (2021). 유아기 지속가능발전교육을 위한 교사역량에 대한 개념도 연구. 한국보육지원학회지, 17(6), 53-72. http://doi.org/10.14698/jkcce.2021.17.06.053
  26. 임지명, 최연철 (2020). 유아 소프트웨어교육 활동에서 교사의 실천과 반성. 학습자중심교육교육연구, 20(9), 401-423. http://doi.org/10.22251/jlcci.2020.20.9.401
  27. 전현수 (2016). 지속가능발전교육(ESD)에 대한 보육교사의 인식 및 실행. 서울신학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8. 정기섭 (2010). 지속가능발전교육(ESD)에 대한 유아교사의 인식 조사. 발도로프교육연구, 2(1), 65-96.
  29. 정은주 (2024). 지속가능발전교육에 대한 유아교사의 인식과 학습공동체 운영과정 및 역량 변화. 서울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30. 조대연 (2009). 설문조사를 통한 요구분석에서 우선순위결정 방안 탐색. 교육문제연구, 35(-), 165-187.
  31. 지승현 (2007). 지속가능발전이해교육 프로그램 개발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32. 최지안 (2021). 유치원 교사의 배경 변인과 지속가능발전교육 인식 및 민주시민역량 간의 관계. 한국교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33. 최하림 (2018). 지속가능발전교육에 대한 유치원 교사의 이야기 탐색. 한국교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34. 최효정, 이근영 (2023). 유아 성교육에 대한 유아교사의 인식, 경험, 요구 분석. 유아교육연구, 43(1), 291-313. http://doi.org/10.18023/kjece.2023.43.1.012
  35. Borich, G. D. (1980). A needs assessment model for conducting follow-up studies. Journal of Teacher Education, 31(3), 39-42. http://doi.org/10.1177/00224871800310031
  36. de Haan, G. (2010). The development of ESD-related competencies in supportive institutional frameworks. International Review of Education, 56(2-3), 315-328. https://doi.org/10.1007/s11159-010-9157-9
  37. Redman, E. (2013). Advancing education pedagogy for sustainability: Developing and implementing programs to transform behaviors. International Journal of Environmental & Science Education, 8(1), 1-34.
  38. UNECE (2012). Learning for the future: Competences in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Geneva, Switzerland: UNECE.
  39. UNESCO (2005). United Nations decade of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2005-2014): International implementation scheme. Paris, France: UNESC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