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n Empirical Analysis of the Effectiveness of Financial Support Policy for Venture Firms in Daejeon Region

대전지역 벤처기업 자금지원 효과 실증 분석

  • Bai, Yun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
  • Kim, Taegi (Chonnam National University) ;
  • Li, Yancheng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
  • Oh, Keunyeob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 백운 (충남대학교 무역학과) ;
  • 김태기 (전남대학교 경제학부) ;
  • 이언성 (충남대학교 무역학과) ;
  • 오근엽 (충남대학교 무역학과)
  • Received : 2024.05.01
  • Accepted : 2024.06.13
  • Published : 2024.06.30

Abstract

This study empirically analyzed the effectiveness of government financial support policies for venture enterprises in the Daejeon region, using raw data obtained from the Small and Medium Venture Business Administration's survey results from 2016 to 2021. Daejeon, considering its economic significance, has a significant proportion of venture enterprises in its economy compared to the national average, with a focus on technological development. Conducting regression analysis yielded several key findings. Firstly, loan and guarantee support is effective for improving sales and market share, while R&D support is effective for technological development. Second, R&D and loan support have the most significant impact on sales in the fourth stage (maturity), while guarantee support is most influential in the third stage. Third, in industry analysis, the coefficients representing the effects of financial support were larger across all performance indicators compared to firm level data analysis. Based on these empirical analysis results, the study proposes several policy implications as follows. First, the government should actively provide funding support to venture companies rather than leaving investments to the capital market. Second, the methods and targets of funding support should vary according to the purpose of the support. Third,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 platform that connects venture companies with private investors to commercialize developed technologies. Fourth, the funding support of venture capital for technology-intensive venture companies should be expanded.

본 연구에서는 중소벤처기업부 벤처기업정밀실태조사 결과 산출된 원데이터(raw data)를 구득하여 2016년~2021년 데이터를 이용하여 대전지역의 벤처기업을 중심으로 정부의 자금지원 정책효과를 실증분석하였다. 대전 지역은 경제 규모를 고려하였을 때 전국에 비해 경제에서 차지하는 벤처기업의 비중이 매우 크며 기술개발 지향적 특성을 갖고 있다. 벤처기업 데이터를 pooling하여 회귀분석한 결과, 대전 벤처기업에 대한 자금지원 효과의 주요 특징은 다음과 같다. 첫째, 기업 전체에 대한 회귀분석의 결과, 매출 및 시장점유율 개선을 위해서는 융자 및 보증서 지원이 효과적이고 기술개발을 ㅣ럴 위해서는 R&D 지원이 효과적인 것을 발견하였다. 성장단계별로, R&D지원 및 융자지원은 4단계(성숙기)에서 매출에 가장 큰 영향을 주지만 보증서 지원은 3단계에 가장 큰 영향을 준다. 지재권에 대한 영향은 R&D지원과 융자지원 모두 2단계(초기성장기)에 큰 영향을 미친다. 또한 산업별로 수치들을 통합한 패널데이터를 구축하여 분석한 결과, 자금지원의 효과가 기업데이터 분석의 경우보다 산업데이터 분석에서 더 크게 나타나고 있다는 점을 발견하였다. 이는 자금지원 정책이 단순히 해당 수혜기업의 성과 개선에만 그치지 않고 산업내의 다른 기업에도 확산되는 효과가 있다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이러한 실증분석 결과들에 근거하여 다음과 같은 정책적 시사점을 제안하였다. 첫째, 벤처기업에 대해서는 자본시장에 맡겨두어 투자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보다는 정부가 적극적인 자금지원을 해야한다. 둘째, 자금지원의 목적에 따라 지원 방법과 대상을 달리 해야 한다. 셋째, 개발된 기술을 상업화할 수 있도록 벤처기업과 민간투자자를 연결하는 플랫폼의 구축이 필요하다. 넷째, 기술집약적 벤처기업에 대한 벤처캐피탈의 자금지원이 확대되어야 한다.

Keywords

Acknowledgement

본 논문은 한국은행의 재정지원을 받아 작성된 것임

References

  1. 강대석.오근엽(2003). 벤처기업과 벤처금융. 서울: 집문당. 
  2. 길운규.배홍범.심용호.김서균(2018). 창업기업 지원 정책 개선 방안 연구: ICT 창업기업을 중심으로. 벤처창업연구, 13(4), 117-128.
  3. 김덕용.배성주(2021). 벤처기업의 정부 R&D정책에 대한 신뢰가 혁신 성과에 미치는 영향. 기술혁신연구, 29(4), 95-124.
  4. 김민석(2021). 대전 중소.벤처기업의 기술혁신 결정요인 및 혁신 노력이 기업 성장에 미치는 효과 연구. 박사학위 논문, 충남대학교.
  5. 김민석.안기돈.홍은영(2023). 대전 투자생태계 현황 및 활성화 방안 연구. 한국진로창업경영학회지, 7(5), 129-143.
  6. 김주미(2016). 중소기업 창업.벤처 지원 대상 업종에 관한 연구(기본연구 16-08). 서울: 중소기업연구원.
  7. 김홍기.유진만.오근엽(2016). 자료포락분석을 활용한 벤처기업 자금지원의 기업 효율성 및 생산성 효과 분석. 중소기업연구, 38(3), 165-184.
  8. 김희선(2019). 벤처출신기업의 성과분석(정책연구 19-19). 서울: 중소기업연구원.
  9. 노용환(2014). 중소기업 지원형 R&D 사업의 효과 분석. 서울: 국회예산정책처.
  10. 벤처확인시스템(2024). 벤처확인기업현황. Retrieved (2024.6.6.) from https://www.smes.go.kr/venturein/statistics/viewVentureCurrent.
  11. 송치승.노용환(2011). 우리나라 벤처기업의 미시적 특성과 생존요인 분석. 기업가정신과 벤처연구, 14(3), 1-24.
  12. 송치승.박재필(2013). 우리나라 벤처기업 지원정책의 실효성에 관한 분석. 기업경영연구, 20(5), 215-240.
  13. 윤소라.한봉희(2009). 기술보증이 벤처기업의 수익성과 연구개발투자에 미치는 영향. 벤처경영연구, 12(3), 25-41.
  14. 이창구.서영욱(2018). 지역 창업생태계 분석을 통한 청년창업 활성화 방안 연구: 대전 지역창업지원 프로그램 참여자를 중심으로. 한국창업학회지, 13(6), 182-207.
  15. 이희경(2017). 기술기반 창업의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정부정책 효과성 분석을 중심으로. 박사학위논문, 고려대학교.
  16. 중소벤처기업부 보도자료(2024). 모태기금(펀드) 9천억원 출자, 벤처기금(펀드) 1.6조원 이상 조성. Retrieved(2024.6.6.) from https://www.mss.go.kr/site/smba/ex/bbs/View.do?cbIdx=86&bcIdx=1047933&parentSeq=1047933.
  17. 중소기업벤처부 보도자료(2023) 2022년 벤처투자 동향 발표.. Retrieved (2024.6.6.) from https://www.mss.go.kr/site/smba/ex/bbs/View.do?cbIdx=86&bcIdx=1038984&parentSeq=1038984.
  18. 중소벤처기업부(2023). 벤처기업정밀실태조사. Retrieved (2023.10.01.) from https://mdis.kostat.go.kr/dwnlSvc/ofrSurvSearch.do?curMenuNo=UI_POR_P9240#survNm_search.
  19. 중소벤처기업연구원(2020). 해외 중소기업 정책동향. 서울: 중소벤처기업연구원.
  20. 최종인.백강(2019). 대전지역 벤처창업 활성화를 위한 벤처 자금생태계 개선방안. 벤처창업연구, 13(6), 39-48.
  21. 통계청(2024). MDIS. Retrieved 2024.06.06. from https://mdis.kostat.go.kr/index.do.
  22. 하규수.박배진(2023). 벤처기업 스케일업을 위한 판교테크노밸리와 실리콘밸리의 비교연구. 한국진로창업경영학회지, 7(2), 51-64.
  23. 한국개발원(2019).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우리 경제의 성장률 둔화와 장기전망. Retrieved (2024.06.06.) from https://www.kdi.re.kr/research/analysisView?art_no=3081.
  24. 한국은행 대전충남본부(2009). 대전.충남지역 벤처기업의 금융이용 현황과 시사점. Retrieved (2024.06.06.) from https://www.bok.or.kr/portal/bbs/P0000800/view.do?nttId=152357&searchBbsSeCd=z16&menuNo=200560&pageIndex=15.
  25. 한국은행 대전충남본부(2015). 대전지역 벤처기업의 금융이용 현황과 과제: 기업 성장단계를 중심으로. Retrieved (2024.06.06) from https://www.bok.or.kr/portal/bbs/P0000800/view.do?nttId=206779&menuNo=200560&pageIndex=76.
  26. 현대경제연구원(2018). 국내 벤처기업의 발전 과제와 시사점. Retrieved (2024.06.06) from https://www.hri.co.kr/upload/board/20171213174355%5B1%5D.pdf.
  27. 홍태호.박지영(2007). DEA와 SVM을 통합한 IT 벤처기업의 효율성평가. 한국경영정보학회 학술대회논문집, 한국경영정보학회 정기학술대회, 서울: 한국경영정보학회.
  28. 황정태(2012). 벤처기업의 생존에 기술이 미치는 영향. 기업가정신과 벤처연구, 15(1), 69-92.
  29. Arellano, M., & Bover, O.(1995). Another look at the instrumental variable estimation of error-components models. Journal of Econometrics, 68(1), 29-51.
  30. Arellano, M., & Bond, S.(1991). Some tests of specification for panel data: Monte Carlo evidence and an application to employment equations. The Review of Economic Studies, 58(2), 277-297.
  31. Audretsch, D. B.(2002). Entrepreneurship: a survey of the literature. Prepared for the European Commission, Enterprise Directorate General. London: Institute for Development Strategies, Indiana University & Centre for Economic Policy Research.
  32. Bosma, N., & Donna, K.(2018). Global Entrepreneurship Monitor 2018/2019 Global Report. Retrieved from https://www.gemconsortium.org/file/open?fileId=50213.
  33. Calvino, F., Criscuolo, C., & Menon, C.(2015). Cross-country evidence on start-up dynamics, OECD Science, Technology and Industry. Paris: OECD.
  34. Nickell, S.(1981). Biases in dynamic models with fixed effects. Econometrica, 49(6), 1417-1426.
  35. Roodman, D.(2009). How to do xtabond2: An introduction to difference and system GMM in Stata. The Stata Journal, 9(1), 86-136.
  36. Roodman, D.(2009). A note on the theme of too many instruments. Oxford Bulletin of Economics and Statistics, 71(1), 135-158.
  37. Schuler, D.(2022). Institutional change and entrepreneurship as occupational choice-The case of South Korea. Journal of International Entrepreneurship, 21(3), 385-439.
  38. Schuler, D., Suhalitca, M., Pascha, W., & Oh, K. Y.(2020). Government Policies for Start-ups in Korea and its Regions: Motives, Mechanisms and Major Obstacles, Working Papers on East Asian Studies. Working Papers on East Asian Studies, 127.
  39. Smith, D.(2010). The Role of Entrepreneurship in Economic Growth. Undergraduate Economic Review, 6(1), 7.
  40. Van Stel, A., Carree, M., & Thurik, R.(2005). The effect of entrepreneurial activity on national economic growth. Small Business Economics, 24, 311-3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