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가상현실 옥외광고의 깊이감과 애니메이션 효과가 사용자의 인지적 반응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Depth Perception and Animation in Virtual Reality OOH Ad on Users' Cognitive Responses

  • 조민우 (광운대학교 일반대학원 메타버스융합학과) ;
  • 정동훈 (광운대학교 일반대학원 메타버스융합학과/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부)
  • Min-Woo Cho ;
  • Donghun Chung
  • 투고 : 2023.12.28
  • 심사 : 2024.03.04
  • 발행 : 2024.04.30

초록

This research analyzes users' cognitive responses to Out-Of-Home advertising content based in virtual environments. Specifically, it distinguishes the depth of advertisements as 2D or 3D and categorizes animation effects of light as a representation of virtuality into 'none', 'blinking', and 'flowing'. For this purpose, virtual reality content was developed, and after experiencing the content while wearing HMD, users' cognitive responses were investigated. Involving 60 participants, the study found that the interaction effects between depth perception and animation effects we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nor was the primary effect of depth perception. However, the main effect of animation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users' attention, vividness, perceived intrusiveness, avoidance tendency, and flow. This study presents design elements that can be utilized in the production of virtual environment-based Out-Of-Home advertising and experimentally demonstrates that animation effects can serve as an effective means of emphasis in virtual environment advertising. These findings provide important insights for the creation and strategic planning of advertisements in virtual environments.

키워드

과제정보

이 논문 또는 저서는 2021년 대한민국 교육부와 한국연구재단의 인문사회분야 중견연구자지원사업의 지원을 받아 수행된 연구임(NRF-2021S1A5A2A01062901).

참고문헌

  1. 김문정, 한민수, "공공 공간에서의 앰비언트 인포메이션 시스템을 위한 디자인 요소의 실제적 활용: 인터랙티브 LED 조명", 한국 HCI 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2009, 976-983.
  2. 김재영, 한광석, "방송광고의 회피성 및 침입성에 따른 중간광고 태도가 방송사, 광고주 및 제품 태도 간의 구조적 관계에 미치는 영향 연구", 미디어 경제와 문화, 제8권, 제1호, 2010, 44-90.
  3. 김주석, 정동훈, "트루뷰 동영상 광고의 스킵버튼 종류에 따른 광고 효과", 한국 IT 서비스학회지, 제18권, 제1호, 2019, 1-12.
  4. 김지호, 부수현, 김재휘, "광고의 깊이지각 단서가 시각적 주의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아이트래커 활용 연구", 한국광고홍보학보, 제9권, 제2호, 2007, 277-310.
  5. 박순자, 김선웅, "고시인성 스마트 안전의류의 설계 및 제작", 감성과학, 제23권, 제4호, 2020, 105-116.
  6. 박진우, 최은하, "옥외 입간판 광고의 글자체 유형과 성별에 따른 소비자 태도", OOH 광고학연구, 제2권, 제1호, 2005, 57-74.
  7. 백빛나, 석현정, 김명석, "LED 로 구현된 빛을 통한 상황정보 표현에 관한 연구", 한국색채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2011, 39-42.
  8. 신일기, 최윤슬, "스토리텔링 TV 광고의 특성과 효과에 관한 연구", 디지털융복합연구, 제12권, 제10호, 2014, 541-556.
  9. 안재현, 이주원, 변준영, 한상필, "인터넷 배너 광고의 시각적 자극 특성이 시각적 주의와 기억에 미치는 영향: 과제와 시각적 복잡성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마케팅연구, 제24권, 제4호, 2009, 67-86.
  10. 엄준필, 한진욱, "스포츠 광고의 프레즌스, 플로우가 광고효과에 미치는 영향: 2D 와 3D 광고의 비교", 한국체육학회지, 제56권, 제4호, 2017.
  11. 유승엽, 김진희,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 디스플레이 광고회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연구: 광고태도, 지각된 침입성, 매체 노출량 및 매체이용동기를 중심으로", 광고학연구, 제24권, 제2호, 2013, 125-143.
  12. 윤남희, 이하경, 이윤정, "VR 점포의 생동감이 점포 몰입과 쇼핑경험에 대한 만족에 미치는 영향", 한국의류학회지, 제45권, 제3호, 2021, 559-572.
  13. 윤선길, "옥외광고의 색상과 명도 차이가 상점의 기억 및 지각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실험 연구", 한국광고홍보학보, 제6권, 제2호, 2004, 173-200.
  14. 이석인, "모바일게임의 고객 충성도 영향요인에 관한 실증 연구",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6권, 제10호, 2006, 99-106.
  15. 이혜진, 정동훈, "가상현실 영상의 깊이감이 사용자의 지각된 특성, 프레즌스, 피로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방송학보, 제33권, 제2호, 2019, 184-216.
  16. 이현지, 정동훈, "스마트폰 게임센서에 따른 상호작용성과 플로우, 태도 그리고 이용의도에 관한 연구", 한국방송학보, 제26권, 제1호, 2012, 126-166.
  17. 임승희, "인터넷 광고의 강제노출이 기억과 태도에 미치는 영향", 상품학연구, 제26권, 제2호, 2008, 79-91.
  18. 전수호, 홍주표, "LED 광원을 이용한 차량 후미등 디자인에 있어서의 고려사항", 한국디자인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 2008, 256-257.
  19. 정동훈, "가상현실에 관한 사용자 관점의 이론과 실제", 정보화정책, 제24권, 제1호, 2017, 3-29.
  20. 정동훈, "최적 광고위치 선정을 위한 지하철 차량 내 시선 주목도 연구", 한국광고홍보학보, 제17권, 제4호, 2015, 146-172.
  21. 정동훈, 양호철, "3D 영상 평가를 위한 측정도구 신뢰도와 타당도 분석", 방송공학회논문지, 제17권, 제1호, 2012, 49-59.
  22. 정해원, 심성욱, "광고소구, 관여도, 설득지식에 따른 동영상 네이티브 광고 효과", 광고 PR 실학연구, 제10권, 제4호, 2017, 222-254.
  23. 최근혜, 서구원, "인포그래픽 (infographics) 이 광고 주목도와 광고태도에 미치는 영향", 조형미디어학, 제18권, 제3호, 2015, 267-274.
  24. 최민욱, "옥외광고 효과에 관한 이론적 연구", OOH 광고학연구, 제3권, 제2호, 2006, 35-54.
  25. 한규훈, "SNS 광고효과에 대한 영향요인 연구: 페이스북 이용자 분석을 토대로", 홍보학연구, 제16권, 제3호, 2012, 132-168.
  26. Boyd, D.E. and B. Koles, "Virtual reality and its impact on B2B marketing: A value-in-use perspective", Journal of Business Research, Vol.100, 2019, 590-598.
  27. Chatterjee, P., "Are Unclicked Ads Wasted? Enduring Effects of Banner and Pop-Up Ad Exposures on Brand Memory and Attitudes", Journal of electronic commerce Research, Vol.9, No.1, 2008, 51-61.
  28. Clement, J., T. Kristensen, and K. Gronhaug, "Understanding consumers' in-store visual perception: The influence of package design features on visual attention", Journal of Retailing and Consumer Services, Vol.20, No.2, 2013, 234-239.
  29. Csikszentmihalyi, M., Beyond boredom and anxiety : The Experience of Play in Work and Games, San Francisco: Jossey-bass, 1975.
  30. Csikszentmihalyi, M., Creativity: Flow and the psychology of Discovery and invention, HarperCollins, 1996.
  31. Diao, F. and S.S. Sundar, "Orienting response and memory for web advertisements: Exploring effects of pop-up window and animation", Communication Research, Vol.31, No.5, 2004, 537-567.
  32. Donthu, N., J. Cherian, and M. Bhargava, "Factors influencing recall of outdoor advertising", Journal of Advertising Research, Vol.33, No.3, 1993, 64-73.
  33. Edwards, S.M., H. Li, and J.H. Lee, "Forced exposure and psychological reactance: Antecedents and consequences of the perceived intrusiveness of pop-up ads", Journal of Advertising, Vol.31, No.3, 2002, 83-95.
  34. Gati, I. and A. Tversky, "Recall of common and distinctive features of verbal and pictorial stimuli", Memory & Cognition, Vol.15, No.2, 1987, 97-100.
  35. Hur, H.J., J.Y. Jang, and H.J. Choo, "The effect of VR fashion shopping channel characteristics and consumer's involvement in channel acceptance-Focusing on the vividness, interactivity and fashion involvement",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Vol.43, No.5, 2019, 725-741.
  36. Lang, A., J. Borse, K. Wise, and P. David, "Captured by the World Wide Web: Orienting to structural and content features of computer-presented information", Communication Research, Vol.29, No.3, 2002, 215-245.
  37. Lee, S. and B.G. Kim, "Users' preferential factors in Web-based e-learning systems for ease of workplace learning in Korea", Learning and Individual Differences, Vol.39, 2015, 96-104.
  38. Li, H. and J.L. Bukovac, "Cognitive impact of banner ad characteristics: An experimental study", Journalism & Mass Communication Quarterly, Vol.76, No.2, 1999, 341-353.
  39. Milgram, P. and F. Kishino, "A taxonomy of mixed reality visual displays", Ieice Transactions on Information and Systems, Vol.77, No.12, 1994, 1321-1329.
  40. Nisbett, R.E. and L. Ross, Human Inference: Strategies and Shortcomings of Social Judgment, Englewood Cliffs: PrenticeHall, 1980.
  41. Pantano, E. and R. Servidio, "Modeling innovative points of sales through virtual and immersive technologies", Journal of Retailing and Consumer Services, Vol.19, No.3, 2012, 279-286.
  42. Reeves, B. and C. Nass, The media equation: How people treat computers, television, and new media like real people and places,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6.
  43. Speck, P.S. and M.T. Elliott, "Predictors of advertising avoidance in print and broadcast media", Journal of Advertising, Vol.26, No.3, 1997, 61-76.
  44. Steuer, J., "Defining Virtual Reality: Dimensions Determining Telepresence", Journal of Communication, Vol.42, No.4, 1992, 73-93.
  45. Wedel, M. and R. Pieters, "Eye fixations on advertisements and memory for brands: A model and findings", Marketing science, Vol.19, No.4, 2000, 297-312.
  46. Weiser, M. and J.S. Brown, "Designing calm technology", PowerGrid Journal, Vol.1, No.1, 1996, 75-85.
  47. Ying, L., T. Korneliussen, and K. Gronhaug, "The effect of ad value, ad placement and ad execution on the perceived intrusiveness of web advertisements", International Journal of Advertising, Vol.28, No.4, 2009, 623-63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