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Comparative Analysis of Entrepreneurial Ecosystems by Country and Implications

국가별 창업생태계 비교분석 및 시사점

  • Received : 2024.05.13
  • Accepted : 2024.06.12
  • Published : 2024.06.30

Abstract

Major countries are actively pursuing policies to promote entrepreneurship to foster economic growth and employment. Meanwhile, although South Korea's entrepreneurial ecosystem has shown robust quantitative growth since the COVID-19 pandemic, it is still criticized for its shortcomings compared to other major countries. Based on this, this study aims to derive a comprehensive innovation entrepreneurship index for each country to foster an innovative entrepreneurial ecosystem and sustainable growth in South Korea. Specifically, this study first analyzed the entrepreneurial ecosystem of various countries. Second, we utilizing data from sources such as the Global Entrepreneurship Monitor, Global Innovation Index, and World Bank, the study calculates a comprehensive innovation entrepreneurship index for each country. Finally, this study analyzes the type of South Korea's innovation entrepreneurship index and suggests the future direction of through cluster analysis.

주요국들이 경제성장과 고용 촉진 등을 도모하기 위해 창업 활성화 정책을 적극적으로 추진하고 있다. 한편, 대한민국의 창업생태계는 코로나 펜데믹 이후 건실한 양적성장을 보여주고 있으나, 전 세계 주요국들과 비교했을 때는 아직 미비한 점들이 지적되고 있다. 이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대한민국의 혁신적인 창업생태계 조성과 지속가능한 성장을 위해 국가별 혁신창업 종합지수를 도출하고자 한다. 구체적으로, 먼저 창업 관련 선행연구 분석 및 국가별 창업생태계를 분석한다. 이후, 글로벌기업가정신모니터, 글로벌기업가정신지수, 월드뱅크 등의 자료를 바탕으로 국가별 혁신창업 종합지수를 산출한다. 마지막으로, 산출된 국가별 혁신창업 종합지수를 군집분석을 통해 국가별 유형을 분석하여 한국의 혁신창업 종합지수 유형과 향후 발전 방향을 제시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관계부처 합동. (2023). 국가 첨단산업 육성정책 추진 현황 및 향후 계획.
  2. 김꽃별&박지환. (2023). 스케일업을 위한 스타트업 생태계 국제비교 및 진단, 한국무역협회 제8호.
  3. 김부용. (2021). 중국의 창업 생태계 현황과 성공모델 도출에 관한 연구, 중국지역연구 제8권제22호.
  4. 문남철(2008). 지역 간 창업 격차 및 특성, 지리학연구 제42권제2호.
  5. 이예림&김학민. (2016). 기업가적 행동과 환경이 국가 경제성장에 미치는 영향: 무역과 혁신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무역학회지 제41권제4호.
  6. 이윤숙,이상준&신호정. (2018). 기업가의 창업동기와 고용 창출에 관한 실증적 연구: 서울시 창업기업을 중심으로, 경영학연구 제47권제4호.
  7. 이정현&이희연. (2017). 지식기반산업 창업기업의 고용 창출 효과, 한국경제지리학회지 제20권제2호.
  8. 정두희. (2019). 기술창업과 국가 혁신효능(Innovation efficacy)의 관계에 대한 연구, 기술혁신학회지 제22권제6호.
  9. 정해준,이찬희&정두희. (2019). 규제의 역설: 국가혁신성에 대한 기술창업의 영향 및 규제환경의 조절효과, 한국혁신학회지 제14권제3호.
  10. 중소벤처기업부. (2022). 21년 창업벤처 생태계 종합지수 발표.
  11. 중소벤처기업부. (2023). 22년 국내 거대신생기업(유니콘기업) 현황 발표.
  12. 최돈승,고성은&강호상. (2014). 창업활동이 경제성장에 미치는 영향: 금융시스템의 발전단계에 따른 국가 간 비교분석, 국제경영연구 제25권제2호.
  13. 한국기업가정신재단. (2014). 글로벌 기업가정신 지수 개발. 한국기업기정신재단.
  14. Andersson, M., & Noseleit, F. (2011). Start-ups and employment dynamics within and across sectors, Small Business Economics, 36.
  15. Armington, C., & Acs, Z. J. (2002). The determinants of regional variation in new firm formation, Regional Studies, 36.
  16. Bae, W. S., & Roh, S. W. (2005). A study on k-means clustering. Communications for Statistical Applications and Methods, 12.
  17. Baptista, R., & Preto, M. T. (2011). New firm formation and employment growth: Regional and business dynamics, Small Business Economics, 36.
  18. Fritsch, M ., & Mueller, P. (2004). Effects of new business formation on regional development over time, Regional Studies, 38(8)
  19. Hartigan J.A. (1974), Clustering Algorithms, John Wiley & Sons, New York.
  20. Ipsos. (2019). 한국사회 기업가정신 현황과 시사점. Ipsos 이슈리포트 47호.
  21. Isenberg, D. (2011). The entrepreneurship ecosystem strategy as a new paradigm for economic policy: Principles for cultivating entrepreneurship. Institute of International European Affairs.
  22. Saberi, M. & Hamdan, A. (2019). The moderating role of governmental suppor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entrepreneurship and economic growth: A study on the GCC countries, Journal of Entrepreneurship in Emerging Economies, 11.
  23. Startupblink.com. (2023).
  24. Startupgenome.com. (20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