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Designing a Sustainable Energyscape - Based on the 'Sun-Garden' Project in Solaseado Solar Power Plant, Haenam -

지속 가능한 에너지스케이프의 설계 - 해남 솔라시도 태양광 발전단지 내 '태양의 정원' 설계안을 중심으로 -

  • Kim, Bo kyung (BS-Corp) ;
  • Lee, Byung Chul (Southwest Coast Enterprise City Development Co. Ltd.)
  • 김보경 (BS산업) ;
  • 이병철 (서남해안기업도시개발)
  • Received : 2024.05.23
  • Accepted : 2024.06.14
  • Published : 2024.06.30

Abstract

This study is based on the design project of 'Sun-Garden' within the Solaseado Solar Power Plant located in Solaseado, which is a New City being developed in Haenam, Jeollanam-d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reate an integrated and sustainable energyscape that harmonizes energy infrastructure with the natural environment, while supporting the city's carbon neutrality agenda. To achieve this, design principles were established by considering three key aspects. The first aspect is economic, which seeks to create multifunctional spaces that integrate nature and technology, pursuing long-term sustainability while generating additional economic value. The second aspect is natural, emphasizing the creation of planting environments that conserve and enhance ecosystems, introduce region-specific species, and maintain ecosystem services and sustainable resource use. The third aspect is landscape, offering sensory and educational experiences to visitors and functioning as a landmark that symbolizes the carbon-neutral garden city of Solaseado through the aesthetic harmony of nature and technology. Through the creation of the 'Sun-Garden,' the Solaseado Solar Power Plant exemplifies a sustainable energyscape development model that merges economic, environmental, and landscape aspects beyond the conventional energy production facility. This project is expected to provide guidelines and implications for future energy infrastructure design, contributing to global energy transition efforts.

본 연구는 전남 해남에 개발 중인 신도시 '솔라시도'에 위치한 '솔라시도 태양광 발전단지' 내 '태양의 정원' 설계 프로젝트를 바탕으로 한다. 통합적이고 지속 가능한 에너지스케이프를 창출하는 것을 목적으로 세 가지 측면의 설계 원칙을 바탕으로 한 설계 프레임워크를 구축하였고 이에 따른 공간 프로그램을 도출하여 설계에 반영하였다. 첫번째는 경제적 측면으로, 자연과 기술이 어우러진 다기능적 공간을 창출하여 장기적인 지속가능성과 추가적인 경제적 가치를 추구하였다. 두 번째는 자연적 측면으로, 생태계 보존과 개선을 위한 식재환경 조성과 지역 특화 수종의 도입, 생태계 서비스의 유지 및 지속 가능한 자원 사용을 강조하였다. 세 번째는 경관적 측면으로, 자연과 기술의 미적 조화를 통해 탄소중립 정원도시 솔라시도를 상징하는 랜드마크로서의 기능과 더불어 방문자들에게 감각적이고 교육적인 경험을 제공하였다. 솔라시도 태양광 발전단지는 '태양의 정원' 조성을 통해 단순한 에너지 생산 시설을 넘어 경제적, 환경적, 경관적 가치가 통합된 지속 가능한 에너지스케이프로 자리잡았다. 이는 조경학 분야에서 에너지 전환과 환경 보전이라는 시대적 요구에 대응하는 새로운 접근법을 모색하는 데 기준을 제시하며, 향후 관련 연구와 실천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Keywords

References

  1. 김연중, 서대석, 허정회, 이정민(2021) 탄소중립, 농촌 태양광의 이슈와 과제.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 박선아, 윤순진(2018) 장소애착 맥락으로 본 태양광 발전시설 입지 갈등과 수용성. ECO 22(2), 267-317.
  3. 이서영, 유지민, 정욱주(2022) 신도시 개발 컨셉으로서 정원도시 구현 전략 - 영암 해남 관광레저형 기업도시 솔라시도를 대상으로. 한국조경학회지 50(5): 54-68.
  4. 정원도시포럼(2021). 정원도시,사람과 지구를 생각하는 생태문명으로의 전환. 해남: 서남해안기업도시개발.
  5. 한빛나라(2022) 지역주도형 에너지 전환을 위한 사회혁신 담론의 가능성 - 도시를 중심으로 -. 지역사회연구 149-179.
  6. 한승훈(2021). 그린리모델링과 에너지스케이프. 건축 65(6): 31-34.
  7. Coutard, O. and J. Rutherford(2010) The rise of post-networked cities in Europe? Recombining infrastructural, ecological and urban transformations in low carbon transitions. In Cities and Low Carbon Transitions (pp. 123-141). Routledge.
  8. European Commission(2018) A Clean Planet for All: A European Strategic Long-Term Vision for a Prosperous, Modern, Competitive and Climate Neutral Economy (COM(2018)773 final).
  9. Ivancic, A(2010) Energyscapes. Barcelona: Gustavo Gili.
  10. Blaschke, T., M. Biberacher, S. Gadocha. and I. Schardinger(2013) Energy landscapes: Meeting energy demands and human aspirations. Biomass and Bioenergy 55: 3-16.
  11. Howard, D. C., P. J. Burgess, S. J. Butler, S. J. Carver, T. Cockerill, A. M. Coleby. and P. Scholefield(2013) Energyscapes: Linking the energy system and ecosystem services in real landscapes. Biomass and Bioenergy 55: 17-26.
  12. Oudes, D., A. Van Den Brink and S. Stremke(2022) Towards a typology of solar energy landscapes: Mixed-production, nature based and landscape inclusive solar power transitions. Energy Research & Social Science 91, 102742.
  13. De Vos, R(2007) Energy Scape. Wellington: National Institute of Water & Atmospheric Research.
  14. Stremke, S. and A. van den Dobbelsteen(2012) Sustainable Energy Landscapes: Designing, Planning, Development; CRC Press.
  15. Stremke, S. and D. Oudes(2018). Sustainable energy landscapes. In Researching the arts: Een bloemlezing uit het werk van de AHK-lectoren (pp. 62-101). Amsterdam: Amsterdamse Hogeschool voor de Kunsten.
  16. Van der Horst, D. and S. Vermeylen(2011). Local rights to landscape in the global moral economy of carbon. Landscape Research. 36(4): 455-470.
  17. World Commission on Environment and Development(1987) Our common future (Brundtland report). United Nations.
  18. 뉴스웨이 홈페이지, https://www.newsway.co.kr/news/view?ud=2021012116411839654
  19. 솔라시도 홈페이지, https://www.solaseado.com/bluecity/target2030.php
  20. 외교부 홈페이지, https://www.mofa.go.kr/www/wpge/m_20150/contents.do,
  21.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홈페이지, https://energium.kier.re.kr/sub040101/articles/view/tableid/news/id/4453
  22. 한양 홈페이지, https://www.hycorp.co.kr/hy/solarpower.ph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