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건설분야 생산체계 개편에 대비한 조경분야 전문공사업 업무 개선 방향 - 설문조사 결과를 중심으로 -

A study on How to Improve the Work of Professional Landscape Construction in Preparation for the Reorganization of the Production System in the Construction Sector - Based on the Survey Results -

  • 안명준 (조경시공연구소 느티)
  • Ahn, Myung June (nTi Landscaping)
  • 투고 : 2024.03.02
  • 심사 : 2024.04.23
  • 발행 : 2024.06.30

초록

정부는 생산체계 개편을 주제로 건설업역 간 기존 체제를 변경하는 건설분야 생산구조 개편을 추진 중이다. 그러나 이는 날로 높아가는 조경분야의 전문성과 기술성에 역행하는 것이라는 지적이 높다. 이에 건설업 업종 통합 정책에 대응하고 적절한 조경분야 업무체계와 내용을 개선하는 것이 시급하다. 이에 본 연구는 적절한 조경분야 생산체계와 생산구조 개편의 방향을 모색할 수 있도록 실무 업계의 의사를 조사하여 참조자료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데 목적을 두고 연구하였다. 설문을 진행한 결과, 1) 개편 정책의 인식은 업계 의사를 반영한 단계적 추진을 높게 요청하고 있었고, 2) 종합과 전문으로 나뉜 체계는 통합에 반대하는 의견이 높게 나타났으며, 3) 조경공사업 개선 방향으로는 적절한 설계안과 공사비가 가장 높게 지적되었으며, 4) 세부공종 개선 방향으로는 부대 토목공사와의 관계 재정립이 중요하게 지적되었다. 전반적으로 현행 조경 전문공사는 변화하는 조경업무를 충분히 반영하지 못하고 있고, 타 공종의 부대공사 형식에 그치고 있다는 지적이 높았다. 따라서 이를 반영한 정책 추진이 필요하다. 장기적으로는 조경공간을 독립 대상물로 하는 조경공사의 위상 정립이 시급하며, 이를 위한 법제의 보완과 그에 따른 업종 변화가 필요하다.

The government is promoting the reorganization of the construction indusrty under the theme of reorganizing the production system. However, it has been pointed out that this is contrary to the increasingly specialized and technical skills of the landscaping field. Therefore, it is urgent to respond to the construction industry integration policy and improve an appropriate work system and the content of the landscape field. Therefore, this study investigated the intention of the industry to reorganize the production system and the production structure of the landscape field, so that it can be used as a reference for future changes. As a result of the survey, 1) the perception of the reorganization policy is a highly requesting step-by-step promotion that reflects the industry's will, 2) the system is divided into generalization and specialization and is highly opposed to integration, 3) appropriate design and construction costs are the most important directions for improving landscape construction projects, and 4) reestablishing the relationship with related civil engineering works is important for improving detailed construction types. Overall, it was pointed out that the current specialized landscape construction does not sufficiently reflect the changing landscape business and is only appropriate for subcontractors in other industrie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promote policies that reflect this. In the long run, it is urgent to establish the status of landscape construction as an independent object, and it is necessary to supplement the legal system and change the industry accordingly.

키워드

과제정보

본 논문은 2020년 대한전문건설협회 조경식재・시설물설치공사업협의회의 지원으로 수행된 연구 결과와 한국조경학회 학술대회 발표 자료를 수정・보완한 것임.

참고문헌

  1. 국토교통부(2020) 국토부, '21년 1월부터 건설산업 혁신방안 본격시행(보도자료).
  2. 안명준(2020a) 조경분야 전문공사업 업종 체계 개선 방안. 한국조경학회 춘계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3. 안명준(2020b) 조경유지관리의 업무 범위 및 기준 설정 방안. 한국조경학회 춘계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4. 안명준(2020c) 조경분야 생산구조 개편안 대응 방안 연구. 대한전문건설협회 조경식재.시설물설치공사업협의회.
  5. 안명준(2020d) 조경공간 및 조경공사 유지관리 기준 수립 연구. 대한건설협회, 대한전문건설협회 조경식재.시설물설치공사업협의회.
  6. 안명준, 유주은(2019) 조경유지관리의 개념 설정 및 제도화 방안. 한국조경학회 추계 학술대회 논문집.
  7. 안승홍(2018) 조경진흥법 제개정 연구. 대한환경조경단체총연합회.
  8. 윤은주, 이은엽, 김미나, 오승봉, 이용주(2017) 기후변화 대응 식재환경 개선 기초 연구. 한국토지주택공사 토지주택연구원.
  9. 이은엽, 윤은주, 김미나, 박병준(2018) 조경유지관리 최적화를 위한 관리기준 개선방안 연구. 한국토지주택공사 토지주택연구원.
  10. 한국건축시공학회(2019) 전문건설업종의 합리적인 분류체계 연구.
  11. 한국조경학회 편(2016) 신 조경시공학. 문운당.
  12. 한국조경학회(2012) 조경공사 하자 이행기준 및 개선방안.
  13. 한국조경학회(2018) 조경분야진흥을 위한 방안마련 연구. 국토교통부.
  14. 한국조경학회(2019) 하자저감을 위한 조경수목선진화 방안 연구. 한국토지주택공사 토지주택연구원.
  15. 국가건설기준센터(https://www.kcsc.re.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