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비정형 텍스트 데이터를 활용한 융합연구개발의 정책 동향 분석

Analysis of Policy Trends in Convergence Research and Development Using Unstructured Text Data

  • 이지예 (경제.인문사회연구회) ;
  • 신재은 (소상공인시장진흥공단)
  • Jiye Rhee (National Research Council for Humanities, Economics and Social Science) ;
  • JaeEun Shin (Korea SMEs and Startups Agency)
  • 투고 : 2024.03.10
  • 심사 : 2024.06.13
  • 발행 : 2024.06.30

초록

현대사회의 다양하고 복잡한 사회적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융합적 시각의 문제 분석과 해결책 모색이 필요하다. 이러한 의미에서 융합연구의 중요성이 더욱 강조되고 있으며 효율성과 효과성 제고를 위한 전략적 접근이 요구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융합연구개발 활성화 기본계획의 텍스트 분석을 통하여 융합연구 정책의 시기별 특성과 시기별 토픽의 연관성과 변화추이를 확인하고 이를 통해 기본계획이 제시하는 정책적 변화를 이해하고자 하였다. TF-IDF 분석, 토픽 모델링(LDA), 그리고 네트워크(CONCOR) 분석 등 다양한 분석 방법을 활용하여 각 시기별 핵심 토픽을 도출하여 정책 변화 추이를 파악하였다. 분석결과, 시기별 토픽의 군집화와 토픽의 변화를 확인하였고 융합연구 생태계 조성과 당면한 과제 해결을 위한 융합연구의 방향성을 제시하고 있다는 것을 파악할 수 있었다. 본 연구 결과는 향후 거시적 관점에서 융합연구개발 활성화 정책 수립 시에 정책의 변화에 대한 새로운 통찰을 제공함으로써 정부, 기업, 학계, 연구기관 등 다양한 이해관계자들에게 중요한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This study aims to analyze policy changes over time by conducting a textual analysis of the basic plan for activating convergence research and development. By examining the basic plan for convergence research development, this study looks into changes in convergence research policies and suggests future directions, thereby exploring strategic approaches that can contribute to the advancement of science and technology and societal development in our country. In particular, it sought to understand the policy changes proposed by the basic plan by identifying the relevance and trends of topics over time. Various analytical methods such as TF-IDF analysis, topic modeling (LDA), and network (CONCOR) analysis were used to identify the key topics of each period and grasp the trends in policy changes. The analysis revealed clustering of topics by period and changes in topics, providing directions for the convergence research ecosystem and addressing pressing issue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provide important insights to various stakeholders such as governments, businesses, academia, and research institutions, offering new insights into the changes in policies proposed by previous basic plans from a macroscopic perspective.

키워드

참고문헌

  1. 오지현, 신현우, 전은진, 이천환, 정현덕 (2021). 문제해결형 융합 연구를 위한 디지털 플랫폼 구축 동향과 시사점. GTC BRIEF, 2(3), 1-16. 
  2. 도계훈 (2021). 일본의 제6기 「과학기술.혁신기본계획」 주요내용과 시사점. KISTEP 정책 브리프, 4, 1-3. 
  3. 권난주, 안재홍 (2012). 융합 및 통합 과학교육 관련 국내 연구 동향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2(2), 265-278. 
  4. 김근현, 정성훈, 양재동, 위주연 (2023). 빅데이터 분석기법을 활용한 10년간의 공공데이터 관련 정책 연구: 정권별 비교분석을 중심으로. 국가정책연구, 37(4), 45-67. 
  5. 노영희, 이광희, 정대근 (2018). 인문사회기반 융합연구 성과 영향 요인 연구.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8(6), 667-678. 
  6. 노영희, 박종희 (2021). 학제간 융합연구 트렌드 분석에 관한 연구. 인문사회 21, 12(1), 3359-3374. 
  7. 노영희, 신영지 (2023). 국내 인문사회기반 융합연구의 학술 및 과학기술 성과 분석에 대한 연구: 한국연구재단 학제간융합연구지원사업과 일반공동연구지원사업(융복합연구)을 중심으로. 문화와융합, 45(4), 989-999. 
  8. 송인한, 김혜진 (2019). 융합연구자 학제 간 연결성에 관한 네트워크 분석: 대학 내 융합연구그룹의 사례. 한국융합학회논문지, 10(4), 153-163. 
  9. 심영대, 조근태 (2020). 네트워크분석을 활용한 다학제 분야의 융합연구 동향 분석. 기술혁신학회지, 23(3), 505-528. 
  10. 조용래, 우청원, 최종화 (2017). 국가 출연연구소의 협업적 융합연구 성과 분석. 한국기술혁신학회 학술대회, 20(4), 1089-1121. 
  11. 김해원, 전채남 (2014). 빅데이터를 활용한 콘텐츠 제작방안에 관한 탐색적 연구: TV홈쇼핑을 중심으로. 사이버커뮤니케이션학보, 31(3), 5-51.
  12. Cavnar, W. B., & Trenkle, J. M. (1994). N-gram-based text categorization. In Proceedings of SDAIR-94, 3rd Annual Symposium on Document Analysis and Information Retrieval (Vol. 161175, pp. 161-175). 
  13. Park, H., Lee, M., Hwang, S., & Oh, S. (2016). TF-IDF based association rule analysis system for medical data. KIPS Transactions on Software and Data Engineering, 5(3), 145-154. 
  14. Blei, D., Ng, A., & Jordan, M.(2003). Latent Dirichlet allocation. Journal of Machine Learning Research, 3, 993-1022.
  15.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2021). 중국 <14.5 규획> 과학기술정책방향과 시사점. https://www.kistep.re.kr/gpsIssueView.es?mid=a30101000000&list_no=48678&nPage=8186 
  16. National Science Foundation (2023). FY 2024 Budget Request to Congress. https://new.nsf.gov/about/budget/fy2024 
  17. Executive Office of the President Office of Management and Budget (2021). 2022 Discretionary request. https://www.whitehouse.gov/wp-content/uploads/2021/04/FY2022-Discretionary-Request.pdf 
  18.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융합연구정책센터 (2008). 국가융합기술 발전 기본계획(제1차 융합연구개발 활성화 기본계획). https://crpc.kist.re.kr/user/nd49151.do 
  19.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융합연구정책센터 (2014). 창조경제 실현을 위한 융합기술 발전전략(제2차 융합연구개발 활성화 기본계획). https://crpc.kist.re.kr/user/nd49151.do 
  20.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융합연구정책센터 (2018). 제3차 융합연구개발 활성화 기본계획. https://crpc.kist.re.kr/user/nd49151.do 
  21.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융합연구정책센터 (2023). 제4차 융합연구개발 활성화 기본계획. https://crpc.kist.re.kr/user/nd49151.d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