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Factors Influencing Unplanned Hospital Readmission among Medical Aid Community Care Program Participants

재가의료급여 시범사업 대상자의 재입원에 미치는 영향: 일반적 특성, 일상생활수행능력, 서비스 이용을 중심으로

  • Yim, Eun Shil (Department of Nursing, Daegu Health College) ;
  • Na, Young-Kyoon (Department of Health and Welfare, Paichai University) ;
  • Kim, Areum (Korean Health and Policy Sssociation) ;
  • Kim, Kibeom (Department of Public Health, Korea University) ;
  • Kim, Bomin (Department of Human Systems Medicine, College of Medicine, Seoul National University)
  • 임은실 (대구보건대학교 간호대학) ;
  • 나영균 (배제대학교 보건의료복지학과) ;
  • 김아름 (한국보건의료정책연구원) ;
  • 김기범 (고려대학교 보건대학원) ;
  • 김보민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휴먼시스템의학과)
  • Received : 2024.05.18
  • Accepted : 2024.06.03
  • Published : 2024.06.30

Abstract

Purpose: This study identifies the factors influencing unplanned readmissions among participants of the medical aid community care pilot program. Methods: This descriptive study analyzed data from 1,013 participants in a medical aid community care pilot program. Data were analyzed using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Results: The presence of mental illness, injury-related conditions, long-term care grades, and activities of daily living scores are key factors influencing the likelihood of readmission. In particular, the presence of a mental disorder or an injury-related condition increased the probability of readmission, whereas individuals with long-term care grades 1~2 showed a decreased likelihood of readmission. Conclusion: This study emphasizes the importance of enhancing the management of mental and injury-related conditions, effective utilization of long-term care services, and improvement of ADL scores to reduce readmission. These findings offer crucial insights for enhancing the efficiency of home medical care benefit programs and sustainable expansion of services.

Keywords

References

  1. 통계청. 2023 고령자 통계[Internet]. 대전: 한국 통계청; 2024[cited 2024 March 5] Available from: https://kostat.go.kr/board.es?mid=a10301010000&bid=10820&act=view&list_no=427252
  2. 홍성희. 지역사회 통합돌봄 정책의 향후 방향성 모색: 노인대상 지역사회 통합돌봄 선도사업 중심으로. 한국정책과학학회보. 2024;28;(1):133-155. https://doi.org/10.31553/kpsr.2024.3.28.1.133
  3. 김선미, 홍미영, 이용셉. 의료급여수급자의 재가의료급여 시범사업 만족도 및 재입원의도에 관한 연구. 대한보건연구. 2021;47(2):55-66. https://doi.org/10.22900/kphr.2021.47.2.005
  4. 신현웅, 여나금, 권용진, 김정선, 박세경, 정홍원 등. 의료급여 재가급여 시범사업 운영방안 연구, 보건복지부,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정책보고서, 2019.
  5. 이요셉, 윤은지, 김선미, 박미숙, 김효원, 홍미영 등. 재가의료급여 시범사업 운영 및 성과분석, 보건복지부, 건강보험심사평가원, 2020.
  6. 이요셉, 윤은지, 김선미, 박미숙, 김효원, 홍미영 등. 재가의료급여 시범사업 운영을 통한 제도화 방안 연구, 보건복지부, 건강보험심사평가원, 2021.
  7. 임은실, 나영균, 김아름, 김보민. 재가의료급여 전국 확대에 따른 발전 방안 수립. 대구보건대학교.보건복지부 연구보고서. 세종; 보건복지부; 2023 12. 발간등록번호 11-1352000-003689-01.
  8. 오진주, 오세은. 의료급여 장기입원사례관리: 성공적 수행과 정착. 대한보건연구. 2015;41(4):1-13.
  9. 국민건강보험공단, 건강보험심사평가원. 2022 의료급여 통계[Internet]. 원주: 국민건강보험공단. 2024 [cited 2024 March 5] Available from: https://www.nhis.or.kr/nhis/together/wbhaec06500m01.do?mode=view&articleNo=10839093&article.offset=0&articleLimit=10
  10. 박일수, 이윤태, 임은실, 이경아, 지재훈, 김아름 등. 의료급여 코호트 구축을 위한 기초 연구.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한국보건의료정책연구소 연구보고서. 부산;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2022 111. 발간등록번호 11-1352000-003448-01.
  11. 조정현, 김순옥, 송명경, 임은실. 노인 의료급여 수급권자의 지역별 사례관리 효과에 관한 연구- 대도시, 중소도시, 농촌 지역을 중심으로. 한국보건간호학회지. 2012;26(2):289-302. https://doi.org/10.5932/JKPHN.2012.26.2.289
  12. 안영진, 최윤경. 고위험군 의료급여 수급권자에 대한 의료급여 사례관리 효과.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2015;18(8):5430-5441. https://doi.org/10.5762/KAIS.2015.16.8.5430
  13. 윤은지, 이요셉, 홍미영, 박미숙. 장기입원 의료급여 환자의 재원일수에 미치는 영향요인: 요양병원 입원유형 중심으로. 보건행정학회지. 2021;3(2):173-179. https://doi.org/10.4332/KJHPA.2021.31.2.173
  14. 황윤희, 이가언. 의료급여관리사의 재가전환관리 경험. 대한간호학회. 2023;53(5):555-569. https://doi.org/10.4040/jkan.23031
  15. 건강보험심사평가원. 국내외 초발 정신질환자의 치료체계 고찰. 건강보험심사평가원 연구보고서. 원주; 건강보험심사평가원; 2015 12. 발간등록번호 G000K31-20150109.
  16. 조경미, 김민영. 노인 낙상 후 중등도 이상 손상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노인간호학회지. 2019;21(1):33-40. https://doi.org/10.17079/jkgn.2019.21.1.33
  17. 황도경, 선우덕, 안수인, 신나라, 임재우, 유혜영. 의료급여 수급자 장기입원 적정성 평가 및 제도개선 방안 연구. 보건복지부.한국보건사회연구원. 세종; 보건복지부. 발간등록번호 11-1352000-002570-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