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Establishment and Development of Wooden Coffin Tombs in the Jinhan and Byeonhan Confederacies: An Examination of the Wolseong-dong Type

진·변한 목관묘 문화의 성립과 전개 -월성동 유형의 검토와 함께

  • Lee Donggwan (the Collection Management Division at the National Museum of Korea)
  • 이동관 (국립중앙박물관 유물관리부)
  • Received : 2024.03.19
  • Accepted : 2024.05.02
  • Published : 2024.06.20

Abstract

The Gyeongsang region experienced an epoch-making social transformation approximately around the second to first century BCE, including the replacement of Bronze Age types of tombs (such as dolmens, stone cist tombs, and earthen tombs with flat capstones) with clusters of wooden coffin tombs and the emergence of wajil pottery (soft stoneware) and ironware. These shifts in the archaeological material evidence have been discussed in the context of the formation of the states that comprised the three Han confederacies and in relation to wooden coffin tombs built in later periods. This paper explicates the appearance of clustered wooden coffin tombs with accompanying ironware by categorizing them. In particular, it examines the emergence of wooden coffin tombs by creating the Wolseong-dong type, which differs from Tomb No. 5 in Joyang-dong and Tomb No. 1 in Daho-ri with their deep burial pits and large quantities of prestige goods and soft stoneware items. The Wolseong-dong type of tomb commonly features ironware, including flat-bladed iron axes, oblong cast iron axes, iron wire, iron chisels, and iron swords; a small slender, rectangular wooden coffin tomb with a shallow burial pit of less than sixty centimeters; and pottery of a type preceding soft stoneware, such as long-necked jars, triangular attached-rim pottery bowls and pots, and mounted vessels. There are also a few bronzeware items found in them, but no prestige goods. This study scrutinizes tombs in Tamni-ri in Uiseong, Hagu-ri in Gyeongju, and Hakjeongdong in Daegu by comparing them with the Wolseong-dong type, and it confirms that in Sinseodong in Daegu, Wolseong-dong type tombs and later Joyang-dong type tombs have separate spatial distributions within the site. This also indicates that the Wolseong-dong type is a valid categorization among wooden coffin tombs. Although the rise of the Wolseong-dong type tomb is associated with the migration of a group, I reserve judgement on whether its origins should be understood in the context of the iron culture in the southwestern region of South Korea that was sparked by King Jun's advance to the south or if they lie in the western region of North Korea. Either way, the Wolseong-dong type is thought to be the tombs of a group of people with lower hierarchical status than the occupants of the later Joyang-dong type.

영남지역은 대략적으로 서기전 2~1세기 무렵부터 청동기시대의 무덤인 지석묘와 석관묘, 석개 토광묘 등에서 군집 목관묘로의 교체, 와질토기와 철기의 등장이라는 획기적인 사회변혁을 맞이하게 된다. 이러한 고고학적 물질자료의 변화는 삼한을 구성하던 '국(國)'의 형성과 관련하여 이후 시기 목곽묘에 이르기까지 연속적으로 다루어져왔다. 본문에서는 이 중에서 본격적으로 철기가 공반되는 군집 목관묘의 출현을 유형화하여 설명한다. 특히 조양동 5호, 다호리 1호 등과 같이 깊은 묘광을 가지고 위세품과 와질토기가 다량 부장되는 것과는 양상이 다른 월성동 유형을 설정하여 목관묘 등장의 배경을 살펴본다. 월성동 유형은 편평편인철부, 장방형 주조철부, 철사, 철착, 철검의 철기구성과 60cm 이하의 얕은 묘광을 가진 세장방형의 소형 목관묘로 대표되며, 토기는 와질토기에 앞서는 장경호, 삼각형점토대토기 발과옹, 두형토기가 주 기종이다. 소량의 청동기가 있지만 위세품은 보이지 않는다. 월성동 유형의 관점에서 의성 탑리리, 경주 하구리, 대구 학정동을 검토하였고 특히 대구 신서동에서는 월성동유형과 이후 단계의 조양동유형이 한 유적 내에서 별도의 공간 분포를 보이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양상 또한 월성동 유형의 유효성을 입증하는 사례이다. 월성동 유형의 등장은 결국 집단의 이주와 연관될 수 밖에 없다. 그 기원을 준왕의 남하로 촉발된 서남부지역 철기문화와의 관계로 볼 것인지 서북한지역으로 볼 것인지에 대한 판단은 유보하지만 어느 쪽이라 할지라도 이후 조양동 유형에 비해서는 집단의 계층적 위계가 낮았던 것으로 판단한다.

Keywords

References

  1. 김도헌, 2004, 「고대의 판상철부에 대한 검토」, 「한국고고학보」 53
  2. 김두철, 2009, 「변진한의 철기문화」, 「考古學誌」 特輯號, 창원 다호리유적 발굴 20주년 기념, 국립중앙박물관
  3. 김민철, 2019, 「대외교류와 위세품으로 본 수장층의 출현」, 「영남지역 수장층의 출현과 전개」 제28회 영남고고학회 정기학술발표회 자료집
  4. 김상민, 2020, 「동북아 초기철기문화의 성립과 고조선」, 서경문화사
  5. 김일규, 2022, 「영남지역 목관묘 단계 초기의 철 문화」, 「진.변한지역 초기 목관묘문화기의 물질문화와 네트워크 -토기, 청동기, 철기를 중심으로-」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기초연구 공동연구팀 학술회의 자료집
  6. 박진일, 2019, 「무문토기의 와질화과정에서 보이는 전국토기 제작기술의 수용방식」, 「철기시대 토기 제작기술의 확산과 수용」 한국학중앙연구원출판부
  7. 박진일, 2022, 「삼한의 고고학적 시.공간」, 동원고고미술연구소 동원학술총서 3, 진인진
  8. 우병철, 2012, 「한반도 동남부지역 철기문화의 성격과 전개양상」, 「동아시아 고대철기 문화연구 -燕國철기문화의 형성과 확산-」 동아시아 고대 철기문화 연구 학술포럼, 국립문화재연구소
  9. 이동관, 2011, 「古代 따비에 대한 考察」, 「韓國考古學報」 78
  10. 이동관, 2016, 「늑도 출토 철기에 대한 검토 -한반도 동남부지역 초기단계 철기와 비교를 통하여-」, 「국제무역항, 늑도와 하루노쓰지」 국립진주박물관 특별전시 도록
  11. 이동관, 2017, 「한반도 남부 철기문화의 파동 -초기철기.원삼국기 철기의 계보와 획기-」, 「고고학지」 23. 국립중앙박물관.
  12. 이성주, 2007, 「原三國時代 土器에 대한 理論的 論議의 方向」, 「先史와 古代」 26
  13. 이성주, 2022, 「진.변한 목관묘 초기 토기 제작기술의 변동과정」, 「진.변한지역 초기 목관묘문화기의 물질문화와 네트워크-토기, 청동기, 철기를 중심으로-」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기초연구 공동연구팀 학술회의 자료집
  14. 이원태, 2011, 「慶北地域 前期 瓦質土器 硏究」, 동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5. 정인성, 2008, 「'瓦質土器 樂浪影響說'의 검토」, 「嶺南考古學」 47
  16. 崔鐘圭, 1995, 「三韓考古學硏究」, 書景文化社
  17. 安在皓, 2000, 「弁.辰韓の木棺墓文化」, 「東夷世界の考古学」, 青木書店