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Calibration and Verification of Detailed Prototypical Apartment Building Energy Models for Estimation of Green Remodeling Feasibility

그린리모델링 효과평가를 위한 표준공동주택 정밀에너지해석모델 보정과 검증

  • Donghyun Seo
  • 서동현 (충북대학교 건축공학과 )
  • Received : 2024.05.18
  • Accepted : 2024.06.20
  • Published : 2024.06.30

Abstract

The prototypical building energy model is very useful in building energy policies, research, and technology development. A prototypical apartment model for detailed energy analysis was proposed by Seo et al. in 2014, but sufficient verification was not possible due to the lack of reliable measurement data in predicting the model's energy consumption. However, verification is now possible thanks to a recent study that analyzed the Household Energy Panel Survey (HEPS) data that is released annually by the Korea Energy Economics Institute (KEEI) and published apartment complex benchmark data. The data was used to calibrate the prototypical apartment energy model located in the central region and constructed between 1990 and 1999. The calibrated model was used to verify the other apartment building groups with respect to region and year of completion. Meteorological data for five representative cities each in the central and southern regions were used for the simulation. A majority of the 18 groups produced results that satisfied the MBE and cv(RMSE) criteria.

표준건물 에너지모델은 정책, 연구 및 기술개발 등에 다양한 활용성이 있다. 상세 에너지해석용 표준공동주택모델이 서동현 외(2014)에 의해 제안되었으나, 모델의 에너지소비량 예측에 성능 검증용 신뢰성 있는 측정데이터가 없어 충분한 검증이 이루어지지 못하였다. 그러나, 최근 에너지경제연구원(KEEI)에서 매년 발표하는 가구에너지패널조사(HEPS) 데이터를 분석하여 공동주택 벤치마크데이터를 발표한 연구에 힘입어 검증이 가능하게 되었다. 이 연구는 이 검증용 데이터를 이용하여 표준공동주택 에너지모델을 중부지역, 2000년 이전 모델을 기준으로 보정하고, 보정된 모델을 이용하여 지역과 준공년도가 그룹에도 유효한 성능을 보여주는지 검증하였다. 검중에는 중부, 남부 각 5개씩의 대표도시 표준기상데이터가 이용되었고, 18개의 그룹에서 대부분 MBE, cv(RMSE) 기준을 만족하는 결과를 도출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국토교통부(2020), "세계최초 건물 온실가스 배출표준(Baseline) UN 승인", 세종. 
  2. 국토교통부(2021), "단위면적당 건물에너지사용량 꾸준히 감소", 세종. 
  3. 김용인.송승영(2014), "공동주택의 에너지사용량 실태 분석 및 각종 인자가 에너지사용량에 미치는 영향 분석", 「한국태양에너지학회 논문집」, 34(6): 93~102. 
  4. 김혜진.신재광.서동현(2023), "주거용 건물에너지 벤치마크데이터 개발", 「한국건축친환경설비학회 논문집」, 17(6): 482~496. 
  5. 서동현(2017), "대한민국 표준기상데이터 처리 프로그램 개발, 검증 및 시연", 「한국태양에너지학회 춘계학술발표회 논문집」, 34. 
  6. 서동현.노병일.임병찬(2014), "상세 건물에너지 시뮬레이션을 위한 표준공동주택모델 정의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 지회연합논문집」, 16(6): 285~296. Seo, D. H., B. I. Noh and P. C. Ihm (2014), "A Research on Prototypical Apartment House Definition for Detailed Building Energy Simulation", Journal of the Regional Association of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16(6): 285~296. 
  7. 유정현.김종엽.황하진(2012), "건물부문의 에너지 효율화를 위한 국가 건물에너지 통합관리 시스템의 활용방안 연구", 「LHI Journal」, 3(3): 263~270. 
  8. 이나현.김혜진.서동현(2019), "가구에너지상설표본 조사 결과를 활용한 지역, 주거유형, 전용면적, 준공년도별 주거에너지 소비특성 분석", 「한국건축친환경설비학회 논문집」, 13(6): 545~558. 
  9. 정영선.정해권.장희경.유기형(2014), "건축물 설계현황 분석을 통한 국내 비주거용 표준건물의 설정에 관한 연구", 「한국태양에너지학회 논문집」, 34(3): 1~11. 
  10. 정윤혜.이종성.김효진.박지영(2013), "기존 공동주택 그린홈 개보수 제도 마련을 위한 거주자 수요 조사에 관한 연구", 「토지주택연구」, 4(2): 201~209. 
  11. 정해권.정영선.허정호(2017), "공동주택의 표준건물 설정에 따른 에너지소비량 산정 및 특성분석", 「대한건축학회 논문집-계획계」, 33(9): 45~52. 
  12. 진혜선.임한영.이수진.김성임.임재한.송승영(2018), "표본건물 계측에 의한 공동주택 세대에서의 용도별 에너지사용량 및 CO2 배출량 연간 원단위(2016~2017) 분석", 「대한건축학회 논문집-구조계」, 34(7): 43~52. 
  13. 한국건설기술연구원(2007), 「건물의 에너지효율 등급 평가기준 및 정책개발에 관한 연구」, 2005-E-BD04-P-02, 일산. 
  14.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2001), 「에너지 절약형건물의 성능인증기준, 제도 및 보급촉진방안 연구」, KIER-1998-E-BD-01-O-09, 대전. 
  15. ASHRAE (2002), ASHRAE Guideline 14-2014: Measurement of Energy, Demand, and Water Savings, Atlanta. 
  16. Huang, H. J. and E. Franconi (1999), Commercial Heating and Cooling Loads Component Analysis, LBL-37208, Berkeley: Lawrence Berkeley National Laboratory. 
  17. Huang, H. J., J. A. Roberson and O. Sezgen (2005), Analysis of 1999 CBECS Data by Commercial Building Type, LBNL-57457, Berkeley: Lawrence Berkeley National Laboratory. 
  18. Huang, Y. J., H. Akbari, L. Rainer, R. Ritschard (1991), 481 Prototypical Commercial Buildings for 20 Urban Market Areas, Technical Documentation LBL-29798, Berkeley: Lawrence Berkeley National Laboratory. 
  19. NREL (2007.8.15). Building America Research Benchmark Definition, https://doi.org/10.2172/9209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