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nalysis of Finnish Education-related Research Trends in Korean Journals : A Network Text Analysis

핀란드 교육 관련 연구 동향분석 : 네트워크 텍스트 분석을 중심으로

  • Received : 2024.03.15
  • Accepted : 2024.04.15
  • Published : 2024.04.30

Abstract

Since the release of the 2000 PISA results, Finland's education has consistently been regarded as a competitor or benchmark for South Korea's educational system. However, recent indicators of division, opposition, and discontent within our educational sphere suggest a considerable departure from Finland's ethos of happiness in education. Against this backdrop,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trends in Finnish education-related research appearing in Korean academic journals. Utilizing network text analysis, we examined 160 papers indexed in RISS with titles containing "Finland" and "education". Key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ly, research on Finnish education has been steadily increasing, albeit showing recent signs of decline. Secondly, the majority of research topics were micro-level, with literature review-based methodologies predominating. Thirdly, a minority of researchers accounted for one-third of the total research output. Fourthly, countries compared with Finland predominantly included neoliberal states such as Japan, the United States, the United Kingdom, Australia, and Singapore. Fifthly, research themes and subjects primarily focused on primary and secondary education, particularly in domains such as mathematics and science, influenced by PISA. Future research on Finnish education should transcend localized and fragmented areas of inquiry, undertaking comprehensive investigations into the processes and history of Finland's happiness-oriented education. Such endeavors are essential for deriving insights crucial for our learning. Particularly, consideration should be given to moving beyond literature-based methodologies, fostering international collaborative discussions facilitated online, and linking the Finnish education community with educators, parents, students, local councils, and governmental stakeholders to collectively discuss and research.

핀란드 교육은 2001년 PISA 발표 이래 계속 한국 교육의 경쟁자 또는 지향점이었다. 그러나 최근 우리 교육계에 나타나고 있는 분열과 대립, 그리고 불행의 지표들을 보면, 핀란드의 행복교육과는 거리가 너무도 멀다. 이런 배경에서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 학술지에 나타난 핀란드 교육관련 연구동향을 분석하는 것으로, RISS에서 논문 제목에 핀란드와 교육이 들어간 논문 160편을 대상으로 네트워크 텍스트 분석을 실시하였다.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핀란드 교육에 대한 연구는 점진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최근 감소세를 보였다. 둘째, 연구주제는 대부분 미시적이었으며 연구방법은 문헌연구 위주였다. 셋째, 소수의 연구자가 전체 연구의 1/3을 출판했다. 넷째, 핀란드와 함께 비교된 나라는 일본, 미국, 영국, 호주, 싱가포르 등 주로 신자유주의적 국가였다. 다섯째, 연구 주제와 대상이 주로 초중등, 수학·과학 등 PISA의 영향권에 있었다. 향후 핀란드 교육관련 연구에서는 지엽적이고 부분적인 영역에 대한 연구를 넘어 종합적인 관점에서 핀란드의 행복교육을 이루어온 과정과 역사에 대한 체제적 연구를 통해 우리가 배워야 할 시사점을 도출하는 후속 연구가 필요하다. 특히, 문헌연구 위주의 방법을 벗어나 핀란드 교육 커뮤니티와 온라인으로 연계하여 실제 교사, 학부모, 학생 그리고 지역협의회와 정부 관계자들이 함께 논의하고 연구하는 국제공동논의의 장을 만드는 것도 고려되어야 할 것이다.

Keywords

References

  1. 강경희, 전홍주(2013). 스웨덴, 영국, 프랑스, 핀란드, 한국의 양육지원정책 변화 분석: 현금지원 정책, 보육시설서비스 정책, 조세혜택 정책을 중심으로. 유아교육학논집, 17(6), 283-304
  2. 권다은(2023). PISA 전후 우리나라의 교육 참조 국가 변화,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3(1), 719-730 https://doi.org/10.22251/jlcci.2023.23.1.719
  3. 권미선(2023). 핀란드 1~2학년 초등 수학 교과서에 제시된 프로그래밍 교육을 위한 수학적 요소 분석, 학교수학, 25(3), 385-406. https://doi.org/10.57090/sm.2023.09.25.3.385
  4. 권충훈, 김훈희(2009). 핀란드 교육의 성공 요인 분석과 논의. 교육사상연구, 23(30), 55-84.
  5. 김대석, 홍후조. (2010). 학교 과학교육과정이 과학과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의 크기 측정: 한국과 핀란드의 PISA 2006 과학영역 비교를 중심으로. 교육과정연구, 28(1), 87-112. https://doi.org/10.15708/KSCS.28.1.201003.005005
  6. 김병찬(2011). 핀란드의 대학 교육활동 재정지원 사업의 특징과 시사점, 비교교육연구, 24(1), 53-84.
  7. 김병찬(2015). 핀란드 교사교육 연구 동향 고찰. 한국교육학연구, 21(2), 249-277.
  8. 김선희(2014). 고등학교 수학과 교육과정 개선을 위한 외국 교육과정의 탐색 = 일본, 대만, 홍콩, 핀란드, 중국을 중심으로, 수학교육학연구, 24(4), 481-498.
  9. 김영환(2018). ICT 적용 교육혁신 연구들의 역대 정부별 연구주제 변화 동향분석: 18년간, 네트워크 분석을 중심으로, 교육혁신연구, 28(4), 239-264 https://doi.org/10.21024/PNUEDI.28.4.201812.239
  10. 김영환(2019). 국내 혁신학교 관련 연구주제분석: 네트워크 분석을 중심으로. 교육문화연구, 25(6), 113-132. https://doi.org/10.24159/JOEC.2019.25.6.113
  11. 김영환(2021). 인공지능교육 관련 연구주제 분석: 네트워크 텍스트 분석을 중심으로. 교육혁신연구, 31(4), 197-217. https://doi.org/10.21024/PNUEDI.31.4.202112.197
  12. 김영환, 이승민, 배혜림, 손미(2019). 교육혁신관련 연구주제 변화 동향분석: 네트워크 텍스트 분석을 중심으로, 교육혁신연구, 29(1), 91-116 https://doi.org/10.21024/PNUEDI.29.1.201903.91
  13. 김영환, 정현숙(2014). 핀란드의 영어교육환경의 현황 및 시사점. 비교교육연구, 24(6), 273-295.
  14. 김원경, 김가람(2019). 시각적 사고와 디자인 사고의 창의융합교육 적용 연구 - 우리나라.핀란드 수학교과서 시각요소 사례분석을 중심으로, 기초조형학연구, 20(6), 127-138.
  15. 김유정, 홍훈기(2019). 한국과 핀란드의 고등학교 내신평가체제 비교분석. 교육과정평가연구. 22(1). 77-100. https://doi.org/10.22799/JCE.2019.22.1.004
  16. 김은지(2023, 1월 17일). 핀란드 역량교육의 운영 실태와 성과, 교육을 바꾸는 사람들, https://21erick.org/column/9528/
  17. 김인옥, 박지희. (2017). 면담과 교과서 분석을 바탕으로 한 핀란드 영어교육의 시사점. 언어학 연구, 42, 289-310.
  18. 김정현(2014). 핀란드의 기초교육법과 교육제도, 공법연구, 42(4), 201-226
  19. 김하영(2020). 해외사례를 통한 국내 학교폭력 예방대책 탐색 : 노르웨이, 캐나다, 핀란드를 중심으로. 한국체육과학회지, 32(1), 555-564.
  20. 도미향(2013). 핀란드의 보육 및 육아지원정책에 관한 탐색적 연구. 코칭연구, 6(1), 91-108.
  21. 박창언(2023). 새로운 교육과정-제도적 과정의 분석. 서울: 학지사.
  22. 박현정(2008). 학습동기, 자아개념, 학업성취간 관계의 집단간 동등성 분석-PISA 2006을 중심으로. 교육평가연구, 21(3), 43-67.
  23. 방정숙, 김유경(2017). 한국, 일본, 홍콩, 핀란드, 싱가포르 초등 수학 교과서의 합동과 대칭에 대한 비교.분석, 수학교육, 56(3), 235-255.
  24. 서현수(2021). 핀란드 복지국가의 과거, 현재, 미래: 정치제도, 복지체제, 교육정책의 연계와 다이내믹을 중심으로, 스칸디나비아 연구, 28, 97-139 https://doi.org/10.26548/scandi.2021.28.097
  25. 서현수(2023). 역량 중심 복지국가와 교육혁신 4.0: 핀란드 교육개혁 모델의 특징과 함의, 스칸디나비아 연구, 31, 1-44
  26. 서현수, 최한수(2020). 보편적 복지국가에서 보편적 기본소득으로? 핀란드 기본소득 정책 실험의 최종 결과와 함의, 스칸디나비아연구, 26, 1-45 https://doi.org/10.26548/scandi.2020.26.001
  27. 성기선, 김준엽(2010). 고등학생들의 사교육 참여 시간과 학업성취도와의 관련성 비교연구. 교육사회학연구, 20(1), 103-126. https://doi.org/10.32465/KSOCIO.2010.20.1.005
  28. 성열관(2009). 핀란드는 어떻게 '핀란드식' 교육정책을 형성하게 되었는가?: 글로벌 거버넌스와 일국의 차용방식, 비교교육연구, 29(6), 55-82
  29. 손미, 정주훈, 김영환(2016). 교육정보미디어연구의 역대 정부별 연구주제 변화 동향 분석: 20년간, 네트워크 텍스트 분석을 적용하여, 교육정보미디어연구, 22(1), 31-53 https://doi.org/10.15833/KAFEIAM.22.1.031
  30. 신문승(2011). 핀란드 종합학교 교육의 성공요인과 시사점, 통합교육과정연구, 5(2), 127-149
  31. 신문승(2018). 싱가포르와 핀란드의 수월성 교육 체제비교 연구, 영재와 영재교육, 16(4), 29-51.
  32. 유경훈, 임종헌, 김병찬(2017). 핀란드 교육개혁의 특징 분석. 한국교육학연구 (구 안암교육학연구), 23(1), 319-352.
  33. 윤승희(2015). 핀란드와 노르웨이의 양육수당 비교 연구, 한국사회복지조사연구, 44. 1-24
  34. 윤유진(2009). 핀란드의 영어교육과정 연구. 한국교육논총 (구 교육연구논총), 30(1), 61-73.
  35. 이경남(2022). 우리나라의 기초학력으로서 문해력 지원 정책 현황 분석과 시사점. 새국어교육, 133, 327-356.
  36. 이소영, 노석구(2014). 우리나라 2009 개정 초등 과학교육과정과 핀란드 초등 과학교육과정 비교 분석. 초등과학교육, 33(3), 491-509.
  37. 이수상(2014). 언어 네트워크 분석 방법을 활용한 학술논문의 내용분석. 정보관리학회지, 31(4), 49-68. https://doi.org/10.3743/KOSIM.2014.31.4.049
  38. 이인화, 구남욱(2019). PISA 2015 읽기 영역 결과에 나타난 한국 학생들의 성취 특성 및 교육맥락변인의 영향력 분석 연구. 독서연구, 50, 113-144.
  39. 이진경(2023). 한국과 핀란드의 중학교 영어 교과서 비교 연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3(15), 383-400.
  40. 이현지, 이동주(2022). Coh-Metrix를 활용한 한국과 핀란드의 대학입학시험읽기 지문 난이도 비교 연구. 영어교과교육, 21(3), 183-203.
  41. 임미나(2021). 핀란드 학교폭력 회복적 조정 프로그램 현황과 한국 교육에 주는 시사점. 이화젠더법학, 13(2), 135-170. https://doi.org/10.22791/EWHAGL.2021.13.2.004
  42. 임해미, 이현정, 김성숙(2016). 우리나라, 싱가포르, 일본, 핀란드의 PISA 2012 수학 성취와 교육맥락변인의 구조적 관계 분석, 교과교육학연구, 20(2), 97-110. https://doi.org/10.24231/RICI.2016.20.2.97
  43. 임해미, 한정아(2016). 우리나라, 싱가포르, 핀란드의 PISA 2012 수학에서의 성차에 대한 교육맥락변인 영향력 비교 분석, 수학교육학연구, 26(2), 189-204.
  44. 전하람, 이경양, 임은희, 윤민주(2021). 성인의 학습준비도와 청소년기 학습흥미도 간의 관계 국제 비교: PIAAC과 PISA의 활용, 한국교육문제연구, 39(4), 195-218. https://doi.org/10.22327/kei.2021.39.4.195
  45. 정경화(2020) 세상에서 제일 우울한 동네 핀란드가 천국을 만드는 법. 서울: 틈새책방.
  46. 정혜원, 박소영, 김정인, 김아름(2021). 청소년의 읽기 소양과 삶의 만족도의 영향변인 탐색: PISA 2018 한국 핀란드 국제비교. 교육과정평가연구, 24(1), 123-152.
  47. 조덕주.이경희(2013). 한국과 핀란드의 중학교 과학 교과서 비교 분석. 비교교육연구, 23(3). 177-206.
  48. 조문주(2011). 한국과 핀란드 수학교과서 삽화의 다문화적 내용 비교분석, 다문화교육, 2(1), 57-78.
  49. 채희인, 노석구(2015). 범교과적 핵심역량과 과학 핵심역량의 개념적 정의에 대한 연구 동향의 네트워크적 분석. 교과교육연구, 15(7), 23-40.
  50. 최은, 권오남(2020). 한국, 호주, 핀란드의 수학 교과서에서 삼각법 영역 비교. 수학교육논문집. 34(3). 393-419.
  51. 최혁준(2015). 한국, 일본, 핀란드의 PISA 2012 과학 결과 비교. 교원교육, 31(3), 379-399.
  52. 한유경, 박주형, 엄수정, 곽예린(2020). 학교폭력 예방 및 대응 대책에 관한 국제 비교 연구 : 영국, 프랑스, 독일, 핀란드를 중심으로, 비교교육연구, 30(3), 25-56. https://doi.org/10.15854/jes.2021.03.52.1.25
  53. 홍승아(2011). 양육수당제도의 젠더효과에 관한 연구 = 핀란드 가정양육수당제도를 중심으로. 비판사회정책, 31, 85-119
  54. Aho, E., Pitkanen, K. & Sahlberg, P. (2010). 에르끼 아호의 핀란드 교육개혁보고서 (김선희, 옮김), 서울: 한울림. (원서출판 2009).
  55. Park, H. W., & Leydesdorff, L. (2004). Understanding the KrKwic: A computer program for the analysis of Korean text.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6(5), 1377-1387.
  56. Sahlberg, P. (2011). Finnish Lessons. What Can the World Learn from Educational Change in Finland? New York: Teachers College, Columbia University.
  57. Sahlberg, P. (2016). 핀란드의 끝없는 도전 (이은진, 옮김), 서울: 푸른숲. (원서출판 20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