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cceptance of the Concept 'Jeongsa(精舍)' in the Mid-Joseon Period and Pavilion Architecture

조선 중기 정사(精舍) 개념의 수용과 누정 건축

  • 임한솔 (서울대학교 환경계획연구소)
  • Received : 2024.03.21
  • Accepted : 2024.04.25
  • Published : 2024.04.30

Abstract

This research interprets the unique hybridity of the pavilion architecture in the Joseon Dynasty, in which the name and form do not match and the rooms and floors are combined in various ways, through the Confucian architectural prototype Muijeongsa(武夷精舍) built by Zhu Xi(朱熹). The architectural representation of Muijeongsa, developed against the background of the mid-Joseon period of active pavilion management by Sarim(士林) groups, the spread of ondols due to the Little Ice Age, and an architectural culture following the footsteps of the Zhu Xi is likely to have influenced the perception and practice of pavilion architecture. In this research, by examining and analyzing the contents of the Muijeongsa Japyeongbyeongseo(武夷精舍雜詠幷序) containing the architectural composition of Muijeongsa, it was confirmed that different types of spaces such as Dang(堂), Jeong(亭), Jae(齋), and Gwan(館) are integrated into Muijeongsa. Based on this, the main examples of the architecture of Jeongsa in the mid-Joseon Dynasty were reinterpreted into four types from the perspective of the combination of Dang and Jeong, and the junction of Jeong and Jeongsa. Dang and Jeong were either juxtaposed as separate buildings or implemented with a relationship of inclusion within one building. And the concept of Jeong, which was considered secondary to Dang, was used as a category that was replaced with the Jeongsa itself. Lastly, the name 'Jeongsa' was used, but the location had a strong character of 'Jeong', and the architectural form adhered to the form of 'Dang', thereby exquisitely reconstructing the composition of Muijeongsa as a single building.

Keywords

References

  1. 「겸암선생연보(謙菴先生年譜)」
  2. 「숙종실록(肅宗實錄)」
  3. 「신증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輿地勝覽)」
  4. 류성룡, 「서애집(西厓集)」
  5. 송시열, 「송자대전(宋子大全)」
  6. 이규보, 「동국이상국집(東國李相國集)」
  7. 이상정, 「대산집(大山集)」
  8. 이언적, 「회재집(晦齋集)」
  9. 이황, 「퇴계집(退溪集)」
  10. 주희, 「주자대전(朱子大全)」 (주자대전 번역연구단역, 「주자대전 2」, 전남대학교 철학연구교육센터, 대구한의대학교 국제문화연구소, 2010)
  11. 고영진, 「조선사회의 정치.사상적 변화와 시기구분」, 「역사와 현실」 18, 한국역사연구회, 1995, 84-10쪽.
  12. 계승범, 「국내 한국사학계의 환경.기후 문제 연구동향과 과제: 소빙기 학설의 활용을 중심으로」, 「韓國史學史學報」 46, 한국사학사학회, 2022, 11-48쪽
  13. 김나래, 「17세기 선비들의 건축성향 : 우암 송시열의 정사경영을 중심으로」, 경기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2
  14. 김도경, 「독락당과 계정의 원형과 변화과정 연구」, 「건축역사연구」 23(5), 한국건축역사학회, 2014, 23-36쪽 https://doi.org/10.7738/JAH.2014.23.5.023
  15. 김동욱, 「17세기 조선조 궁궐 내전건물의 실내구성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 논문집」 8(10), 대한건축학회, 1992, 85-93쪽
  16. 김동욱, 「朝鮮初期 地方都市內 樓亨의 形成過程과 建築特性」, 「論文集」 37, 경기대학교, 1995, 541-571쪽
  17. 김동욱, 「도산서당, 선비들의 이상향을 짓다」, 돌베개, 2012
  18. 김동욱, 「조선시대 건축의 이해」,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1999
  19. 김태완, 「주희(朱熹)의 「무이도가(武夷櫂歌)」와 조선도학자의 반응」, 「한국문학과 예술」 24, 사단법인 한국문학과예술연구소, 2017, 183-213쪽 https://doi.org/10.21208/kla.2017.12.24.183
  20. 김희곤, 「정신 위에 지은 공간, 한국의 서원」, 미술문화, 2019
  21. 남창근, 「朝鮮中期 精舍建築의 空間的 特性에 관한 硏究」, 청주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1
  22. 남창근, 「옥천 이지당(二止堂) 건립배경과 건물구성 및 구조를 통해 본 건축특징」, 「건축역사연구」 31(6), 한국건축역사학회, 2022, 17-31쪽 https://doi.org/10.7738/JAH.2022.31.6.017
  23. 도윤수, 「16-17세기 朝鮮 性理學의 分化와 그에 따른 建築空間의 特性에 관한 硏究 : 退溪學派와 栗谷學派의 思想을 中心으로」, 한양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6
  24. 문화재청, 「한국의 명승」, 2016
  25. 문화재청, 「한국의 전통가옥 기록화보고서: 안동하회마을I」, 2009
  26. 박정애, 「조선시대 朱子 崇慕熱과 그 이미지의 시각화 양상」, 「대동문화연구」 93, 성균관대학교 대동문화연구원, 2016, 199-241쪽 https://doi.org/10.18219/ddmh..93.201603.199
  27. 안세현, 「누정기를 통해 본 한국한문산문사」,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2015
  28. 안정희, 「기호.영남지방의 정사(精舍)건축 조영특성」, 충북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3
  29. 여상진, 「朝鮮時代 客舍의 營建과 性格 變化」,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5
  30. 우응순, 「누정, 선비문화의 산실」, 한국학중앙연구원출판부, 2016
  31. 유호진, 우응순, 「누정제영(樓亭題詠)의 시공간적 분포와 그 의미」, 「민족문화연구」 40,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2004, 51-72쪽
  32. 윤일이, 「聾巖 李賢輔와 16세기 樓亭建築에 관한 硏究」, 「대한건축학회논문집」 19(6), 대한건축학회, 2003, 81-88쪽
  33. 윤일이, 「朝鮮後期 上流住宅 사랑채의 空間的 特性에 관한 硏究」, 「대한건축학회 논문집 - 계획계」 20(7), 대한건축학회, 2004, 137-144쪽
  34. 윤일이, 「退溪學派 尙州學脈의 建築觀 變遷에 관한硏究」, 「건축역사연구」 13(3), 한국건축역사학회, 2004, 85-95쪽
  35. 윤일이, 「조선중기 영.호남사림 누정건축의 유교적토착화」, 「대한건축학회 논문집 - 계획계」 23(3), 대한건축학회, 2007, 153-160쪽
  36. 이강근, 「「신증동국여지승람」과 조선전기까지의 건축(1)」, 「강좌미술사」 2, 한국미술사연구소, 1989, 60-91쪽
  37. 이상해, 「교육, 수양공간과 유가건축사상」, 「한국유학사상대계 11: 예술사상편」, 한국국학진흥원, 2010
  38. 이은창, 「韓國儒家 傳統園林의 硏究: 儒學者의 卜居와九曲經營을 中心으로」, 「韓國傳統文化硏究」 4, 효성여자대학교 한국전통문화연구소, 1988, 191-304쪽
  39. 이준호, 「1623-1800년 서울지역의 기상기후 환경: '승정원일기'를 토대로」, 「한국지역지리학회지」 22(4), 한국지역지리학회, 2016, 856-874쪽
  40. 이호열, 「朝鮮前期 住宅史 硏究: 家舍規制 및 온돌에관련된 文獻을 中心으로」, 영남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91
  41. 정경주, 「한국 고전의례 상식」, 신지서원, 2000
  42. 정기철, 「17세기 사림의 묘침제 인식과 서원 영건」,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98
  43. 정정남, 「18세기 이후 조선사회의 온돌에 대한 인식변화와 난방효율 증대를 위한 건축적 모색」, 「건축역사연구」 27(3), 한국건축역사학회, 2018, 15-26쪽 https://doi.org/10.7738/JAH.2018.27.3.015
  44. 최준묵, 「퇴계와 율곡의 정사(精舍).구곡(九曲) 조영(造營)의 철학적 의미 연구」, 성균관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23
  45. 한국건축역사학회, 「한국 건축사 연구 1: 분야와 시대」, 발언, 2003
  46. 한동수, 「신증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輿地勝覽) 누정조의 사적(史的) 연구」, 「한국건축역사학회 2021년도 춘계학술발표대회 논문집」, 한국건축역사학회, 2021, 15-18쪽
  47. 查屏球, 「近世东亚士人的精神桃源: 由退溪及朝鲜文人诗画看武夷文化意象的传布 - 由退溪及朝鲜文人诗画看武夷文化意象的传布」, 「한국민족문화」 38, 부산대학교한국민족문화연구소, 2010, 311-346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