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Sangsaeng Ecological Theory of Daesoon Jinrihoe: Focusing on the Meaning of Sangsaeng

대순진리회의 상생생태론 연구 - 상생의 의미를 중심으로 -

  • Kim Gui-man (Department of Daesoon Studies, Daejin University)
  • Received : 2024.01.23
  • Accepted : 2024.03.25
  • Published : 2024.03.31

Abstract

This study aims to define the meaning of 'Sangsaeng (mutual beneficence)' within the context of 'Sangsaeng ecological theory,' a form of discourse of that has emerged from Daesoon Jinrihoe's perspective on ecology. Sangsaeng ecological theory applies the concept of interdependence to ecology in order to explain how Sangsaeng, which is commonly used as an ethical system for humans, can be applied to the realm of ecology such that it extends its scope of application to include non-human beings. Interdependence, when applied to ecology, is formed via relationships between individuals. Such relationships can be positive, negative, or neutral, and the type of interdependence that emerges can be competitive, predatory, parasitc, and symbiotic. Even if the relationship between individuals ends negatively, it can still exert a positive effect on the ecosystem. Consequently, all of these produce a type of 'dependence'. However, relationships that end negatively can generate grievances, and from the perspective of Sangsaeng ethics, this type of interdependence is to be avoided. Therefore, by way of contrast, ecological Sangsaeng may include both relationships of positive interdependence and relationships of predation, parasitism, and competition in so far as there no grievances. Ecological theory requires a perspective that enables an understand of the relationship between nature and humans in an integrated way that does not separate them. One view of universe, known as Cheonji-saengin-yongin (Heaven and Earth give produce humans make use of them) provides insights into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universe and humans and nature and humans from an interdependent perspective. Heaven and Earth take humans as the basis of their existence, and only after humans discover the law of nature and the sacredness behind it can a deep interdependence between Heaven and Earth and humans and nature and humans be established. However, as modern humans emerge, the interdependence between Heaven and Earth and humans collapses as they destroy nature and lower the authority of Shindo (divine order). Haewon Sangsaeng (the resolution of grievances for mutual beneficence) and Boeun Sangsaeng (the reciprocation of favors for mutual beneficence) is the solution to reestablish the interdependence that has been disconnected between Heaven and Earth and humans and nature and humans. The practice of Haewon Sangsaeng through Gongbu rituals is the way to restore interdependence between nature and humans. The process of humans achieving Dotong (mastery of the Dao) through religious practices is the practice of Boeun Sangsaeng, and humans will be reborn into Injon (Human Nobility or 'divine humans') with ecological nature and enjoy an eternal interdependent relationship with nature. In summary, Sangsaeng in the context of Sangsaeng ecological theory is the idea and practice of allowing nature and humans to restore their interdependence and live on eternally.

이 글의 목적은 대순진리회의 생태주의 담론인 '상생생태론'에서 '상생'의 의미를 생태적으로 규정하는 데 있다. 인간을 대상으로 윤리적 측면에서 통용되던 상생이 그 적용 범위를 비인간까지 확장시키는 생태학의 영역에서 어떻게 적용될 수 있는지 상호의존성이라는 생태학의 개념으로 설명한다. 생태학에서의 상호의존성은 개체와 개체 사이에서 발생하는 긍정적, 부정적, 중립적인 관계를 조합하여 경쟁, 포식, 기생, 그리고 공생으로 구분한다. 개체와 개체 사이의 관계가 부정적으로 끝나더라도 생태계에는 긍정적인 영향을 끼칠 수 있으므로 모두 '의존'이라는 개념에 포함된다. 그러나 개체와 개체 사이의 부정적 결말은 원을 발생시킬 수 있고 이러한 상호의존은 상생윤리의 관점에서는 그대로 통용될 수 없다. 따라서 생태적 상생은 긍정적 상호의존의 관계만 해당하거나 혹은 포원이 존재하지 않는 포식, 기생, 경쟁의 관계도 포함될 수 있다. 생태론은 자연과 인간을 분리하지 않고 둘 사이를 통합적으로 이해할 수 있는 관점을 요구한다. 천지생인용인(天地生人用人)이라는 우주관은 우주와 인간, 자연과 인간의 관계를 상호의존적 관점에서 포착할 수 있게 한다. 천지는 자신의 존재 근거를 인간으로 삼았고, 지인은 자연의 법칙을 발견하고 그 배후에 있는 천지의 신성성까지 깨달아 비로소 천지와 인간, 자연과 인간의 깊은 상호의존의 관계가 성립한다. 그러나 근대적 인간이 등장하면서 자연을 짓밟고 신도의 권위를 떨어뜨림으로써 천지와 인간의 상호의존성은 붕괴된다. 해원상생과 보은상생은 천지와 인간, 자연과 인간 사이에 끊어진 상호의존성을 다시잇는 해결책이다. 공부 의례를 통해 해원상생을 실천하는 것은 자연과 인간의 상호의존성을 회복하는 길이다. 수도를 통해 도통에 도달하는 과정이 보은상생의 실천이며 이로써 인간은 생태적 본성을 지닌 인존으로 거듭나 자연과 영원한 상호의존을 누리게 된다. 요컨대 상생생태론에서의 상생은 자연과 인간이 상호의존성을 회복하고 그것을 영원히 지속할 수 있게 만드는 이념이자 실천이다.

Keywords

References

  1. 대순진리회 교무부, 「전경」 13판, 여주: 대순진리회 출판부, 2010.
  2. 대순진리회 교무부, 「대순진리회요람」, 여주: 대순진리회 출판부, 2010.
  3. 대순진리회 교무부, 「포덕교화기본원리II」, 여주: 대순진리회 출판부, 2003.
  4. 「도전님 훈시」 (종단내부자료)
  5. 「書經」
  6. 「淮南子」
  7. 길희성, 「현대 윤리학의 위기와 상호의존의 윤리」, 「서강인문논총」 11, 2000. http://uci.or.kr/G901:A-0001485881
  8. 김귀만, 「대순사상의 우주론 연구」, 「원불교사상과 종교문화」 74, 2017. http://uci.or.kr//I410-ECN-0101-2018-228-001666918 10-ECN-0101-2018-228-001666918
  9. 김귀만, 「생태위기와 수도」, 「대순회보」 254, 여주: 대순진리회 출판부, 2022.
  10. 김남준, 「생태중심주의에서 내재적 가치 논쟁: 도덕과 교육내용으로서 생태중심주의 분석과 제언」, 「윤리교육연구」 54, 2019. https://doi.org/10.18850/JEES.2019.54.03
  11. 김종욱, 「불교생태학에서의 시스템과 상호의존성」, 에코포럼 엮음, 「생태적 상호의존성과 인간의 욕망」, 서울: 동국대학교출판부, 2006.
  12. 박이문, 「환경철학」, 서울: 미다스북스, 2002.
  13. 박호상, 「자연의 인간, 인간의 자연」, 서울: 후마니타스, 2012.
  14. 송인주, 「생태학에서의 시스템과 상호의존성」, 에코포럼 엮음, 「생태적 상호의존성과 인간의 욕망」, 서울: 동국대학교출판부, 2006.
  15. 유기쁨, 「생태주의와 종교연구 : 흐름과 전망」, 「종교문화연구」 9, 2007. http://uci.or.kr//G901:A-0002448135
  16. 이경원, 「대순진리회 신앙론」, 서울: 문사철, 2012.
  17. 이도원, 「생태학에서의 시스템과 상호의존성」, 에코포럼 엮음, 「생태적 상호의존성과 인간의 욕망」, 서울: 동국대학교출판부, 2006.
  18. 이재돈, 「생태문명으로의 전환」,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엮음, 「생태문명 생각하기」, 서울: 크레파스북, 2018.
  19. 장석길, 「지속가능성 개념에서 자연, 환경, 생태의 의미」, 「환경철학」 33, 2022. http://uci.or.kr//G901:A-0010794542 10794542
  20. 차선근, 「대순진리회 생태론 연구서설 : 상생생태론」, 「대순사상논총」 35, 2020. https://doi.org/10.25050/jdaos.2020.35.0.295
  21. 차선근, 「기독교와 대순진리회의 종교윤리 비교연구 : 원수사랑과 해원상생을 중심으로」, 「대순사상논총」 40, 2022. https://doi.org/10.25050/jdaos.2022.40.0.39
  22. 페터 쿤츠만 외, 「철학도해사전」, 여상훈 옮김, 파주: 들녘, 2016.
  23. 허남진, 「대순사상의 생태적 사유와 통합생태론」, 「대순종학」 1, 2021. https://doi.org/10.23209/jods.2021.1.67
  24. Lynn White, "The Historical Roots of Our Ecological Crisis," Science 155, 1967.
  25. 《불교평론》 https://www.budreview.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