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유아교사 대상 교사교육 실행 연구 동향: 2013~2023년 국내 학술지 중심으로

Analysis of Research Trends Related to Early Childhood Teacher Education in Korea: Focusing on Domestic Journals From 2013 to 2023

  • 최문경 (국립부경대학교 유아교육학과) ;
  • 김소이 (국립부경대학교 유아교육학과) ;
  • 이연우 (국립부경대학교 유아교육학과)
  • 투고 : 2024.03.08
  • 심사 : 2024.04.18
  • 발행 : 2024.04.30

초록

Objectiv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dentify trends in teacher education research for early childhood teachers in Korea from 2013 to 2023, aiming to provide practical data for early childhood teacher education research. Methods: For this purpose, 62 articles published in Korean journals were analyzed according to the specified criteria. Through the analysis, we closely examined research trends, educational practices, and trends in educational program development. Results: First, both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research have been conducted steadily since 2015. The majority of participants were childcare center teachers, and numerous studies focused on program development. Second, among the trends in teacher education practices, many studies aimed to improve teaching skills. Third, concerning the trend of teacher education program development research, various research methods were utilized, with quantitative research being conducted in 2015, 2020, and 2022. Particular, regarding independent and dependent variables, numerous studies focused on enhancing teaching effectiveness and educational knowledge. Conclusion/Implications: Based on the results, we offer implications for the education policy field and related organizations, along with recommendations for enhancing the guidance and support of early childhood teacher education in program development and implementation.

키워드

과제정보

본 논문은 2021학년도 국립부경대학교 연구년 교원 지원사업에 의하여 연구되었음.

참고문헌

  1. 강성리 (2020). 유아특수교사의 놀이 지도 역량 강화를 위한 교사 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유아특수교육연구, 20(1), 41-67. http://dx.doi.org/10.21214/kecse.2020.20.1.41
  2. 고미경 (2007). 전문성 향상을 위한 유아교사론. 창지사.
  3. 고은영, 박희숙 (2020). 유아교사를 위한 액션러닝 중심 부모 면담 역량 강화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검증.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0(10), 281-311. http://dx.doi.org/10.22251/jlcci.2020.20.10.281
  4. 고정리 (2020). 유아교사교육 관련 국내 연구동향 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0(19), 809-827. http://dx.doi.org/10.22251/jlcci.2020.20.19.809
  5. 교육부 (2017. 12). 공공성 강화를 통한 유아교육 혁신방안. https://www.moe.go.kr/boardCnts/viewRenew.do?boardID=294&lev=0&statusYN=C&s=moe&m=020402&opType=N&boardSeq=72951 에서 2024년 01월 30일 인출
  6. 김경은, 정지현 (2016). 국내 유아교사 학습공동체 관련 연구동향 분석. 어린이문학교육연구, 17(1), 213-238.
  7. 김교령 (2022). 유아교사의 디지털역량 강화를 위한 교육 프로그램 개발. 이화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8. 김근혜 (2019). 4차 산업혁명 시대와 교사역할에 대한 유아교사의 인식. 한국교원교육연구, 36(4), 1-19. http://dx.doi.org/10.24211/tjkte.2019.36.4.1
  9. 김민정, 김현주 (2015). 영유아교사 교육프로그램 관련연구 동향 분석. 한국교육문제연구, 33(4), 167-189.
  10. 김보현, 이홍재 (2021). 유아코딩교육에 관한 원장의 지지, 보육교사의 학습공동체 참여 및 코딩교육 실행 의도 간의 구조적 관계. 한국보육지원학회지, 17(5), 25-41. http://dx.doi.org/10.14698/JKCCE.2021.17.05.025
  11. 김빛내, 황희숙 (2019). 유아 창의성 교육을 위한 블렌디드 액션러닝 기반 교사교육에 참여한 교사의 경험. 영재교육연구, 29(3), 349-377. https://doi.org/10.9722/JGTE.2019.29.3.349
  12. 김수정, 이민주, 이영신 (2020). 질 높은 교사-유아 간 상호작용 수행을 위한 보육교사 학습공동체경험 탐색. 한국생활과학회지, 29(5), 589-604. http://dx.doi.org/10.5934/kjhe.2020.29.5.589
  13. 김승희, 김승희 (2017). 영재 유아와 일반유아 통합교육을 위한 교사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프로그램이 교수 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21(1),7-37. http://dx-doi-org.libproxy.pknu.ac.kr/10.22590/ecee.2017.21.1.7
  14. 김영신, 김희진 (2023). 제4차 어린이집 표준보육과정에 기초한 영아.놀이중심 교사교육 프로그램개발. 육아지원연구, 18(2), 105-134. http://dx.doi.org/10.16978/ecec.2023.18.2.005
  15. 김옥주, 조혜진 (2012). 영아반 초임교사의 직무수행을 돕는 교사교육프로그램 모형 개발. 한국교원교육연구, 29(2), 223-249. http://dx.doi.org/10.24211/tjkte.2012.29.2.223
  16. 김윤정 (2020). 의사소통 역량 신장을 위한 프레젠테이션 교육 연구: 대학생들의 인식 분석을 중심으로. 교양학연구, 11, 67-93. http://dx.doi.org/10.24173/jge.2020.04.11.3
  17. 김은영, 박은혜 (2006). 유치원 교사의 직무 분석. 한국교원교육연구, 23(2), 303-323.
  18. 김정은, 홍순옥(2015). PCK에 기초한 유아수학교육 교사연수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유아교육연구, 35(4), 5-30. http://dx.doi.org/0.18023/KJECE.2015.35.4.001
  19. 김정희 (2015). 보육교직원의 지지가 초임유아교사의 역할수행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셀프리더십의 매개효과. 한국보육지원학회지, 11(6), 199-219. http://dx.doi.org/10.14698/jkcce.2015.11.199
  20. 김태영 (2022). 놀이중심 교육과정 실천을 위한 유아교사의 교사학습공동체 참여 경험. 한국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26(2), 145-172. https://doi.org/10.22590/ecee.2022.26.2.145
  21. 김희정, 안진경, 안연경(2018). 감정코칭을 활용한 교사교육이 교사의 회복탄력성과 교사-유아 간 의사소통에 미치는 영향. 예술인문사회 융합 멀티미디어 논문지, 8(10),215-229. http://dx-doiorg.libproxy.pknu.ac.kr/10.35873/ajmahs.2018.8.10.021
  22. 노혜란, 박선희, 최미나 (2012). 교육방법 및 교육공학 (제2판). 교육과학사.
  23. 박나리 (2018). 장애 유아 통합보육을 위한 교사 지원이 어린이집 교사의 교사 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보육학회지, 18(4), 247-265. http://dx.doi.org/10.21213/kjcec.2018.18.4.247
  24. 박상완 (2014). 현직교사교육 연구 동향 분석: 특징과 과제. 한국교원교육연구, 31(2), 227-254. http://dx.doi.org/10.24211/tjkte.2014.31.2.227
  25. 박은혜, 김수연, 김희진, 김희태, 박정선, 이균, 이희경, 조부경, 조형숙, 황해익, 김미석, 김은영 (2010). 유아교육선진화 기반조성사업 5. 유치원 교원 양성임용 체제 개선 방안. 육아정책연구소.
  26. 박진희 (2023). 대학 교양교육의 교수. 학습 방법에 대한 연구 동향.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3(21), 789-811. http://dx.doi.org/10.22251/jlcci.2023.23.21.789
  27. 방담이, 윤회정 (2023). 초등교사 전문성 관련 국내 연구 동향 분석. 교육연구, 88, 73-92. http://dx.doi.org/10.17253/swueri.2023.88..004
  28. 사가선, 이예다나 (2022). 특수교사의 자기효능감에 대한 연구동향. 통합교육연구, 17(1), 193-215. https://doi.org/10.26592/ksie
  29. 서은주, 홍순옥(2017). 유치원 부모면담 교사교육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열린유아교육연구, 22(2), 345-374. http://dx.doi.org/10.20437/KOAECE22-2-14
  30. 손승남 (2005). 교사의 수업전문성 관점에서 본 교사교육의 발전방향. 한국교원교육연구, 22(1), 89-108.
  31. 신은수, 박은혜, 조운주, 이경민, 유영의, 이진화, 이병호 (2011). 유치원 교원 핵심역량 구성 방향탐색. 유아교육학논집, 15(5), 203-226.
  32. 안의정, 이소현 (2019). 개별화 교육과정 중심의 통합교육 지원 컨설팅이 유아교사의 교사 효능감, 상호작용 행동 및 장애 유아의 교수목표 성취에 미치는 영향. 유아특수교육연구, 19(4), 141-163. http://dx.doi.org/10.21214/kecse.2019.19.4.141
  33. 안혜령, 이보람, 조우미 (2023). 유아보육. 교육기관의 교사 전문성 지원 환경이 유아교사의 인공지능 기술수용의도에 미치는 영향: 스마트. 디지털 기기활용 경험에 의해 조절된 과학교수태도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보육지원학회지, 19(2). https://doi.org/10.14698/jkcce.2023.19.02.061
  34. 양옥승 (1994). 한국의 영유아 보육현황과 발전방안. 여성연구, 43, 141-163.
  35. 엄희경, 송승민(2022). 창의성 기법을 통한 창의적 놀이 지원 교사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창의력교육연구, 22(4), 63-85. http://dx.doi.org/10.36358/JCE.2022.22.4.63
  36. 염지숙, 조형숙, 박지희 (2014). 예비유아교사교육 관련 국내연구 동향 분석: 유치원교사 핵심역량을 중심으로. 열린유아교육연구, 19(4), 165-186.
  37. 오영심 (2022). 유아교사교육이 교사의 핵심역량에 미치는 효과에 대한 메타분석. 협성대학교 박사학위논문.
  38. 오유미(2015). 유치원교사의 다문화역량 강화 교육프로그램 효과. 홀리스틱융합교육연구, 19(2), 83-103.
  39. 오인정, 김지현 (2019). 자연물 수학활동 증진을 위한 순환학습기반 교사교육프로그램이 유아교사에게 미치는 효과 연구. 인간발달연구, 26(3), 17-50. http://dx.doi.org/10.15284/kjhd.2019.26.3.17
  40. 이경숙, 정석진, 신의진(2016). 영유아 정신건강 증진을 위한 보육교사 교육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검증. 유아교육연구, 36(3), 514-537. http://dx.doi.org/10.18023/KJECE.2016.36.3.022
  41. 이다연, 강소산 (2023). 한국어 교육의 교사 연구 동향 분석. 교사교육연구, 62(3), 287-304.
  42. 이미나, 김민정, 김세경, 이영은, 정미라 (2016). 유. 초등교사의 전문성 증진 프로그램 효과에 관한 메타분석. 한국교원교육연구, 33(2), 367-393. http://dx.doi.org/10.24211/tjkte.2016.33.2.367
  43. 이상은, 소경희 (2019). 미래지향적 교육과정 설계를 위한 OECD 역량교육의 틀 변화 동향 분석:'Education 2030'을 중심으로. 교육과정연구, 37(1), 139-164.
  44. 이성희, 이미영 (2021). 2019개정 누리과정 현장 적용에 대한 유치원 교사의 인식.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1(3), 467-496. http://dx.doi.org/10.22251/jlcci.2021.21.3.467
  45. 이수기(2023). 유아교사를 위한 STEAM 전문성 향상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23(3), 672-687.
  46. 이은정 (2020). 유아교육기관 교사학습공동체 연구동향 분석. 교육연구논총, 41(3), 83-106. http://dx.doi.org/10.18612/cnujes.2020.41.3.83
  47. 이은정, 황해익 (2022). 긍정조직학에 기반한 보육교사 학습공동체 지원 프로그램 개발. 유아교육학논집, 26(5), 25-52. https://doi.org/10.32349/ECERR.2022.10.26.5.25
  48. 이춘영, 김지연, 어유정(2022). 긍정적 행동지원 교사연수가 보육교사의 긍정적 행동지원 인식과 문제행동지도 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유아특수교육연구, 22(4), 77-110. http://dx.doi.org/10.21214/kecse.2022.22.4.77
  49. 이효림, 김종훈, 김민정 (2018). 국내 현직 유아교사교육 관련 연구동향 분석: 빈도분석과 언어네트워크 분석의 비교: 2000-2017. 유아교육연구, 38(3), 143-178. http://dx.doi.org/10.18023/kjece.2018.38.3.006
  50. 임부연, 김성숙, 송진영 (2014). 유아교사론. 양서원.
  51. 임상도, 김진형 (2023). 보육교사교육 관련 연구논문의 동향 분석. 한국상담심리교육복지학회, 10 (5), 47-67. http://dx.doi.org/10.20496/cpew.2023.10.5.47
  52. 장인영 (2023). 공립유치원 교사의 놀이관찰과 기록 경험에 관한 자문화기술지. 한국육아지원학회 학술대회지, 117-123, 서울.
  53. 장지영, 조윤경 (2022). [2019 개정 누리과정] 실행에서 장애통합어린이집 일반교사와 특수교사의 경험 분석: 질적 면담을 중심으로. 한국보육지원학회지, 18(6), 101-126. https://doi:10.14698/jkcce.2022.18.06.101
  54. 조영남 (2001). 질적 연구과 양적 연구. 초등교육연구논총, 17(2), 307-329.
  55. 조형숙 (2015). 유아교사의 역량 강화를 위한 교사교육 현황 및 전망-유치원교사 핵심역량에 비추어 본 교사 연구 현황 및 과제를 중심으로. 한국유아교육학회 학술대회자료집, 2015(1), 94-106.
  56. 차인영, 최미미, 서영숙 (2016). 교사-유아 상호작용 및 교실환경과 유아의 또래 상호작용이 유아의 언어.인지발달에 미치는 영향: 한국아동패널 5차년도 자료를 중심으로. 육아정책연구, 10(1), 95-11.
  57. 한유진, 강민수, 안복희, 원용희(2020). 미술놀이치료를 활용한 유아교사의 놀이교수효능감 증진교사교육 프로그램 개발. 열린부모교육연구, 12(3), 1-21. http://dx.doi.org/10.36431/JPE.12.3.1
  58. 한정선, 김영수, 주영주, 강명희, 조일현, 이정민 (2011). 21세기 교사를 위한 교육방법 및 교육공학 (제2판). 교육과학사.
  59. 한찬희, 김명순(2015). 유아교사의 역할놀이 유능성 증진을 위한 교사교육 프로그램의 개발 및 효과. 아동학회지, 36(1), 99-124. DOI:dx.org/10.5723/KJCS.2015.36.1.99
  60. 황문희 (2013). 어린이집 교사의 적성 및 정서노동과 교사-유아 상호작용과의 관계. 중앙대학교석사학위논문.
  61. 홍희은, 신명선(2022). 의사소통장애 이해 및 선별을 위한 교육 프로그램 (ESC) 이 유아교사의 의사소통장애 인식에 미치는 영향. 유아특수교육연구, 22(2), 51-71. http://dx.doi.org/10.21214/kecse.2022.22.2.51
  62. Ashiabi, G. S. (2007). Play in the preschool classroom: Its socioemotional significance and the teacher's role in play. Early Childhood Education Journal, 35, 199-207. https://doi.org/10.1007/s10643-007-0165-8
  63. Biddle, B.J. (1997). Recent Research on the Role of the Teacher. In Biddle, B.J., Good, T.L., Goodson, I.F. (Ed.) International Handbook of Teachers and Teaching(Part of the book seires of the Springer International Handbooks of Education, vol 3). Springer. https://doi.org/10.1007/978-94-011-4942-6_14
  64. Darling-Hammond, L., Hammerness, K., Grossman, P., Rust, F., & Shulman, L. (2005). The design of teacher education programs. Preparing teachers for a changing world: What teachers should learn and be able to do. Jossey-Bass.
  65. Desimone, L. M. (2009). Improving impact studies of teachers' professional development: Toward better conceptualizations and measures. Educational researcher, 38(3), 181-199. https://doi.org/10.3102/0013189X08331140
  66. Haslip, M. J., & Gullo, D. F. (2018). The changing landscape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Implications for policy and practice. Early Childhood Education Journal, 46, 249-264. https://doi.org/10.1007/s10643-017-0865-7
  67. Kunter, M., Klusmann, U., Baumert, J., Richter, D., Voss, T., & Hachfeld, A. (2013). Professional competence of teachers: Effects on instructional quality and student development.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105(3), 805. https://doi.org/10.1037/a0032583
  68. Neugebauer, M. (2019). Teachers: Their characteristics and their role in the education system. In Becker, R. (Ed.) Research Handbook on the Sociology of Education, vol 20. Cheltenha. https://doi.org/10.4337/9781788110426.00030
  69. Nichols, B. L., & Honig, A. S. (1995). The influence of an inservice music education program on young children's responses to music. Early Child Development and Care, 113(1), 19-29.
  70. OECD. (2019). An OECD Learning Framework 2030. The Future of Education and Labor, (pp. 23-35). Springer.
  71. Rychen, D. S., & Salganik, L. H. (2003). Highlights from the OECD Project Definition and Selection Competencies: Theoretical and Conceptual Foundations (DeSeCo). https://files.eric.ed.gov/fulltext/ED476359.pdf
  72. Sterling, S. (2014). Education in change. In John, H., Sterling, S. (Ed.) Education for sustainability (pp. 18-39). Routledge.
  73. Waddell, J., & Vartuli, S. (2015). Moving from traditional teacher education to a field-based urban teacher education program: One program's story of reform. Professional Educator, 39(2), https://files.eric.ed.gov/fulltext/EJ1084839.pdf 1084839.pdf